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윈터 윙즈, 겨울엔 어떤 새를 만날 수 있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덧붙였지요. 겨울을 나려면 지방이 필요해!연구원의 강연과 대원들의 발표가 끝난 뒤 대원들은 겨울새에게 줄 먹이통을 직접 만들어 보았어요. 먹을 것이 부족한 겨울에 작은 새들이 굶어 죽는 것을 막고, 겨울을 나러 우리나라를 찾은 철새들에게 고향으로 돌아갈 에너지를 보충해주기 위해서예요 ... ...
- 우주로 갔쥐!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ISS)에 실험 쥐를 보낸 바 있지만, ISS에 특별히 설계된 연구용 사육장을 설치한 뒤 첫 입주하는 쥐들이었지요. 연구팀은 2019년 4월, 쥐 사육장에 부착된 가시광선, 적외선 비디오 영상으로 37일간 쥐의 행동과 건강을 분석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에 따르면 우주로 간 쥐들은 새로운 무중력 ... ...
- 영구동토, 온실 기체를 뿜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발표했어요. 알래스카 배로우 지역 대기의 이산화탄소 농도 변화 자료 42년치를 수집한 뒤, 토양이나 식물에서 흡수하거나 내뿜는 탄소량 자료만을 추출해 분석한 것이었지요. 그 결과, 연구팀은 영구동토층의 탄소 저장 시간이 지난 42년 사이 13.4% 줄어들었단 사실을 알아냈답니다. 정수종 교수는 ... ...
- 얼음이 녹으며 별별 일이 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이 미라를 처음 발견했어요. 강변의 영구동토가 녹으며 미라가 노출된 것이었지요. 그 뒤 연구팀은 이 미라의 갈비뼈를 분석해 1만 8000년 전에 살았던 생후 2개월 정도 된 어린 생물이라는 것을 알아냈답니다. 영구동토가 녹으며 이처럼 형태가 그대로 보존된 미라를 발견하는 빈도도 잦아졌어요. 20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교수에게 물어봤습니다. AI, 감히 나를 평가해? ☞ 바로가기 (104p) 한 달 뒤면 과학동아에 입사한 지 만 1년이 되는 이영애 기자가 다시 취준생의 마음가짐으로 입사 면접을 봤습니다. 요즘 웬만한 기업에서는 다들 한다는 인공지능(AI) 면접이 궁금했다는군요. 기계가 사람을 평가하는 기술적인 ... ...
- 마블링이 전부가 아닌, 소고기 맛의 비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성숙도 등)이 등급에 미치는 영향이 커졌다. 과거에는 마블링으로 예비 등급을 정한 뒤, 육색과 지방색, 조직감, 성숙도 등에서 결격 항목이 있으면 등급을 낮췄지만, 이제부터는 다른 항목들도 개별적으로 평가해 그중 최하위 등급을 고기의 최종 등급으로 정한다. 마블링이 아무리 좋아도 다른 ... ...
- 수소로 달리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점을 고려해 열량 기반 단위인 TOE(석유환산톤·1TOE는 1000만kcal)로 비교해야 한다). 20여 분 뒤 LPG 충전소와 나란히 위치한 H하남수소충전소에 도착했다. 흰색 철제로 밀폐된 수소탱크와 충전용 노즐 한 개가 충전소의 전부였다. 이곳은 비교적 규모가 작은 축에 속했다. 김태연 하남만남주유소 총무는 ... ...
- AI, 감히 나를 평가해? AI 면접 '찐후기'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선호하지만, 증권사는 위험성이 있더라도 이익을 많이 내는 것을 중시한다”며 “카드뒤집기 게임 등으로 지원자의 선택 패턴을 분석하면 82.1%의 확률로 고성과자를 가려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인에어는 49개 기업 6800여 명의 성과 데이터와 AI 면접 결과 데이터를 학습해 이를 기반으로 ... ...
- [융복합 파트너@DGIST] 뉴바이올리지전공, 잘 고른 항체로 새로운 항암제 만든다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대사성 질환이나 염증 치료에 효과가 있다. 연구팀은 G-CSF의 작용제 항체를 분리한 뒤 기능을 조사한 결과 골수세포가 신경세포로 분화하도록 유도한다는 사실도 추가로 알아냈다. “작용제 이용한 항암제 개발이 목표”예 교수가 어려워도 작용제 항체를 연구하는 이유가 뭘까. 그는 “작용제 ... ...
- [수학뉴스] 드론의 장애물 회피 기술 나방에게 배운다!수학동아 l2020년 02호
- 그 뒤 지름이 약 8cm 이하인 나무 100그루가 조밀하게 배치된 숲 영상을 보여준 뒤 비행하게 하면서 나방의 위치와 비행 방향을 측정했습니다. 그리고 그에 맞춰 영상을 움직s이거나 확대해 정말 숲에 있다고 착각하게 만들었죠. 8마리의 박각시나방에게 똑같은 실험을 반복해 데이터를 모았고, ... ...
이전225226227228229230231232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