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일본유학일기] 미타카 프리즌 탈출기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공원 내에 있다. 기숙사에 들어간 지 얼마 안 됐을 때, 나의 취미는 학교가 끝난 뒤 맛집 탐방 겸 마을 구경 삼아 자전거를 타고 정처 없이 돌아다니는 것이었다. 이노카시라 공원을 비롯해 마을 구석구석을 구경하곤 했다. 마을 분위기는 전체적으로 아기자기했고, 동화에 나올법한 귀여운 카페와 ... ...
- [수학뉴스] 초등학생 수학 실력 높이려면?수학동아 l2020년 02호
- 5개 학급은 일반 교육과정을, 나머지 5개 학급은 새로운 교육과정으로 학습시킨 뒤 시험을 쳐서 결과를 비교했습니다.그 결과 일반 교육과정으로 교육받은 학생 중 29.8%가 복잡한 문제를 해결했지만, 새로운 교육과정의 경우 50.5%가 복잡한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연구팀은 학생들이 직관보다는 산술 ... ...
- 눈에 보이지 않는 유물을 찾아라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주로 ‘지하투과레이더 탐사법(GPR)’을 사용합니다. GPR은 땅속에 전자기파를 쏜 뒤, 물체에 반사돼 오는 신호를 이용하는데요, 반사의 세기, 반사 시간과 위치를 이용하면 어디에 얼마나 큰 물체가 있는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최대 2m 깊이에 있는 지름 10cm 크기 작은 돌을 찾을 수 있을 정도로 ... ...
- 테렌스 타오 그는 누구인가?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이후 더 좋은 결과를 다른 수학자가 냈죠.3. 에르되시 불일치 문제1과 -1을 잘 섞은 뒤 늘어 놓은 수열에서 아무 수(n)를 하나 고른 다음 n의 배수 번째 있는 수만을 골랐을 때 1과 -1이 골고루 섞여 있게 할 수 있는가를 묻는 문제입니다. 83년 동안 난제였지만, 2015년 타오가 불가능하다는 것을 ... ...
- 거의 다 풀었다는 타오의 연구 결과는?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시러큐스 함수로 바꿔서 생각했습니다. 시러큐스 함수란 어떤 수에 3을 곱하고 1을 더한 뒤 그 수를 나눌 수 있는 가장 큰 홀수를 구하는 겁니다. 예를 들어 Syr(7)은 7×3+1=22이고 22를 나눌 수 있는 가장 큰 홀수는 11이므로 Syr(7)=11입니다. 타오가 시러큐스 함수를 콜라츠 추측 대신 사용한 이유는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로그] 신기한 대칭의 세계수학동아 l2020년 02호
- 예를 들어 60° 먼저 회전한 다음 120°를 회전하는 것이나 120°를 먼저 회전하고 그 뒤 60°를 회전하는 것 모두 같은 180° 회전입니다. 하지만 정삼각형 군에서는 순서가 중요해집니다. 시계방향으로 120° 회전하고 세로축 반사하는 것과 세로축 반사를 먼저 하고 시계방향으로 120° 회전하는 것은 다른 ... ...
- [이달의 과학사] 최초의 전자레인지 발명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차대전 중 만들어진 가장 중요한 발명품 중 하나는 ‘레이더’예요. 공중으로 전파를 쏜 뒤, 물체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반사파를 감지해 그 물체의 위치와 거리를 알아내는 장치죠. 레이더의 중요한 부품 중 하나가 공중으로 쏘는 전파를 만드는 ‘캐비티 마그네트론’이에요.1945년, 레이더 부품을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교수에게 물어봤습니다. AI, 감히 나를 평가해? ☞ 바로가기 (104p) 한 달 뒤면 과학동아에 입사한 지 만 1년이 되는 이영애 기자가 다시 취준생의 마음가짐으로 입사 면접을 봤습니다. 요즘 웬만한 기업에서는 다들 한다는 인공지능(AI) 면접이 궁금했다는군요. 기계가 사람을 평가하는 기술적인 ... ...
- 위험한 달콤함, 초콜릿의 이중성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미친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 실험 참가자들에게 다크초콜릿 48g을 섭취하게 한 뒤 뇌파검사(EEG)를 진행했더니 감마파(25~40Hz)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감마파는 기억을 회상하는 등 고차원적인 인지활동에 수반되는 뇌파입니다. doi: 10.1096/fasebj.2018.32.1_supplement.878.10연구팀은 이런 효과가 ...
- 제주에서 바닷바람을 느끼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구성된다. 제어부에는 회전날개 앞쪽에 있는 피치 제어 장치를 포함한 허브시스템과 그 뒤쪽으로 회전속도를 높이는 증속기, 에너지 변환 장치인 발전기, 베어링, 주축 등을 포함한 발전시스템이 있다. 참고로 풍력발전기의 회전날개가 3개뿐인 이유는 바람이 초속 12m로 분다고 가정할 때 ... ...
이전22522622722822923023123223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