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끝
나중
다음
배후
뒤쪽
후방
꽁무니
d라이브러리
"
뒤
"(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귀한 똥탑 쌓는 지렁이의 재발견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굴을 따라 소위 ‘뒷걸음질’을 쳐 땅 표면까지 올라온
뒤
항문만 지표면 바깥으로 내민
뒤
배설한다. 지렁이의 똥탑이 가득한 흙은 고급 비료로 대접받는다. 옛말에도 지렁이가 많으면 농사가 잘 된다고 했다. 최 박사는 “지렁이 똥은 미생물이 풍부해 농작물의 생장을 돕는다”며 “지렁이 ... ...
[10대의 약] 상처나면 소독약 꼭 발라야 한다 VS. 아니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있습니다. 다만 흉터 치료제들은 단기간에 효과를 보기 힘듭니다. 상처가 생기고 1~2주
뒤
상처가 아물고 나서부터, 하루에 2~3회씩 최소 3개월 이상 꾸준히 발라줘야 효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빠른 효과를 기대한다면 피부과에서 시술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흉터 연고를 바를 때는 흉터 ... ...
[로보트 재권V] 마침내 완성된 '로보트 재권v'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설치된 각종 센서를 통해 세상을 인식하게 하고, 인식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한
뒤
프로세서를 통해 연산 과정을 거쳐 무언가를 결정하게 합니다. 그리고 몸에 장착된 액추에이터를 움직여, 이 결정에 대해 적절히 행동합니다. 로보트 재권V가 이렇게 작동할 수 있다면 마음을 가진 것처럼 ... ...
[SF에 묻는다] 200살을 맞은 사나이 vs. 블레이드 러너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레이첼이 인간이라는 가짜 기억을 주입받은 레플리컨트라는 사실을 알아냅니다. 그
뒤
도망친 레플리컨트가 살던 집에서 사진과 합성 뱀 가죽 같은 물건을 찾아냅니다.집으로 돌아온 데커드는 자신을 기다리고 있는 레이첼을 발견합니다. 인간이라고 생각하고 있던 믿음이 흔들리면서 혼란이 온 ... ...
[포토뉴스] 양자 물질 들여다보니 프랙털이 숨어있었네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MIT) 연구진은 ‘양자 물질’의 일종인 네오디뮴 니켈산화물(NdNiO3)을 X선 촬영한
뒤
관찰했습니다. 양자 물질은 원자에서나 나타나는 것으로 여겨졌던 양자역학적인 특성이 나타나는 물질로, 기존의 물질과 다른 성질을 가집니다. 연구진이 관찰한 네오디뮴 니켈산화물은 자기력의 방향이 같은 ... ...
알고 리의 나 혼자 산다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두 개의 일부를 바꾸는 ‘교차’와 무작위로 식단을 바꾸는 ‘돌연변이’ 연산을 진행한
뒤
사용자가 좋아할 만한 식단인지 평가해요. 사용자가 만족할 때까지 선택부터 돌연변이 연산을 반복해 식단을 추천한답니다. 나의 흥을 책임지는 순열 알고리듬 갈 길이 멀 때 음악을 빠뜨릴 수 없죠. ... ...
[수학미술관] 매듭의 마술사 김윤철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수천 번의 계산 끝에 크로마가 탄생한 거죠. ●제 2전시관 '임펄스' 크로마를
뒤
로 하고 제2전시관으로 이동하면 샹들리에처럼 생긴 작품이 있습니다. 우주의 신호를 보여주는 ‘임펄스’입니다. 임펄스는 27개의 굵은 관과 얇은 관들로 이뤄져 있습니다. 바로 옆에 안테나처럼 생긴 작품 ... ...
[중국유학일기] 한국보다 짧은 방학 ‘알바’ 대신 ‘열공’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신이 난다. 그리고 설레는 마음으로 이것저것 계획을 세우곤 한다. 그런데 방학이 끝난
뒤
친구들과 이야기를 나눠보면, 중국 학생이나 한국 학생이나 계획을 100% 실행하는 데 성공한 경우는 별로 없다. 방학을 알차게 보내기란 쉽지 않은 일인 것 같다 ... ...
[특별인터뷰] 한국의 도시 생태를 연구하는, 오통스 세레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어떻게 한국에 오게 됐나요?2014년에 프랑스 국립자연사박물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 생태 도시를 계획하는 전문가로 활동했어요. 그러다 문득 일상을 깰 큰 변화를 찾고 싶었지요. 평생 프랑스 파리에서만 살았기 때문에 잠시 파리를 떠나보고 싶었어요. 한국에 온 건 당시 K-pop 등 한국 문화가 ... ...
[과학뉴스] 청소년 음주, 위험한 이유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RNA의 일종인 miR-137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 청소년기에 알코올에 노출된 쥐는 성인이 된
뒤
뇌에서 miR-137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miR-137은 건강한 뉴런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LSD1)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청소년기에 알코올에 노출된 쥐는 생후 100일 이후부터 불안장애와 우울증 같은 행동 장애와 ... ...
이전
237
238
239
240
241
242
243
244
2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