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잘 얼려야 더 맛있다! 냉동의 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폴란드 브로츠와프환경생명과학대 연구팀은 과일과 채소를 다양한 방법으로 말린 뒤 부피와 구조를 비교해 2016년 국제학술지 ‘국제분자과학학회지’에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동결건조, 진공건조, 열건조 순으로 부피 변화가 적었다. doi: 10.3390/ijms18010071최근에는 과일 등을 동결건조해 ... ...
- ‘배민 떡볶이 마스터즈’ 결선에 가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결합한 수분 덕분에 쌀떡보다 노화가 느리게 일어난다”며 “덕분에 밀떡은 조리한 뒤 시간이 지나도 금방 딱딱해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떡에 양념이 잘 배어있고 수분을 머금은 경우는 밀떡, 떡이 다소 굳어있는 것처럼 보이면 쌀떡! 고추장 떡볶이, 조선 시대에도 먹었을까떡볶이 양념의 ... ...
- [10대의 약] 상처나면 소독약 꼭 발라야 한다 VS. 아니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있습니다. 다만 흉터 치료제들은 단기간에 효과를 보기 힘듭니다. 상처가 생기고 1~2주 뒤 상처가 아물고 나서부터, 하루에 2~3회씩 최소 3개월 이상 꾸준히 발라줘야 효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빠른 효과를 기대한다면 피부과에서 시술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흉터 연고를 바를 때는 흉터 ... ...
- 이건 영화가 아니라 현실... 스마트시티가 해킹 된다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대와 휴대전화 크기의 검은색 단말기 하나가 전부였다. 해커는 공용 와이파이에 접속한 뒤 해킹을 통해 카페에 있는 사람들이 자신의 단말기를 거쳐 와이파이를 사용하도록 만들었다. 그러자 해커의 노트북에는 카페에 있는 사람들의 온갖 정보가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름부터 직업, 취미, 최근 ... ...
- [SF에 묻는다] 200살을 맞은 사나이 vs. 블레이드 러너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레이첼이 인간이라는 가짜 기억을 주입받은 레플리컨트라는 사실을 알아냅니다. 그 뒤 도망친 레플리컨트가 살던 집에서 사진과 합성 뱀 가죽 같은 물건을 찾아냅니다.집으로 돌아온 데커드는 자신을 기다리고 있는 레이첼을 발견합니다. 인간이라고 생각하고 있던 믿음이 흔들리면서 혼란이 온 ... ...
- 양자우월성 배 라이벌 매치, 구글 VS IBM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시커모어는 양자 회로의 알고리듬을 이용해 200초 만에 이 확률을 빠르게 계산한 뒤 크로스 엔트로피 값을 구한 거야. 현재 이 결과는 학술지 네이처 10월 23일자 온라인 판에 실렸어. 서밋을 만든 미국의 컴퓨터 회사 IBM은 구글의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 것 같아. IBM은 구글이 양자우월성을 ... ...
- [수학미술관] 매듭의 마술사 김윤철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수천 번의 계산 끝에 크로마가 탄생한 거죠. ●제 2전시관 '임펄스' 크로마를 뒤로 하고 제2전시관으로 이동하면 샹들리에처럼 생긴 작품이 있습니다. 우주의 신호를 보여주는 ‘임펄스’입니다. 임펄스는 27개의 굵은 관과 얇은 관들로 이뤄져 있습니다. 바로 옆에 안테나처럼 생긴 작품 ... ...
- [전지적 수학 시점] 1010! 경우의 수로 최고 점수 얻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높습니다. 높은 점수를 얻으려면 꽉 찬 가로줄 또는 세로줄을 열심히 만들어 지운 뒤, 어떤 블록이 나오더라도 블록을 놓을 자리를 확보해야 합니다! 무작위 속 전략을 찾아라 1010!은 게임 오버 되기 전까지 얻은 점수를 비교해 순위를 매깁니다. 점수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얻습니다. 첫 번째는 ... ...
- [지구사랑탐사대] 쉿! 조용히 귀 기울여 보세요♬ 소리모아 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말씀에 지구사랑탐사대 대원들은 어리둥절해하며 뒤로 돌았어요. 그러자 대원들의 뒤쪽에서 교수님의 목소리가 들려왔지요. “지금 제 모습은 볼 수 없지만, 목소리는 들릴 거예요. 이게 바로 소리의 장점이랍니다. 눈으로는 앞에 있는 것들만 볼 수 있지만, 귀로는 모든 방향에서 나는 소리를 ...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내 맘대로 플레이 스틱, 스틱 폭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가소성이 나쁜 것은 아니에요. 가소성을 이용하면 물체를 내가 원하는 모양으로 만든 뒤 그 모양을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거든요. 금속판을 세게 구부리거나 두들겨 쉽게 변형되지 않는 튼튼한 자동차를 만드는 것을 그 예로 들 수 있답니다. 미션1. 탄성력을 배워보자 스틱 폭탄은 평범한 나무 ... ...
이전24024124224324424524624724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