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노트] 십 년이 지나도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발전과 성과는 시계 태엽처럼 딱딱 맞춰서 움직이지 않는다. 연구개발(R&D)의 성공 뒤에는 쉽게 세기 힘들 정도로 거듭된 도전과 실패가 쌓여있다. 그래서 이듬해 성공할 것이라는 예상이 적중하면 더 큰 박수를 보낸다. 물론 단지 늦는다는 이유로 무조건 비난하는 일도 없다. 내년, 아니 앞으로의 1 ... ...
- 교과서에는 없는 얼음의 특별한 비밀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총 17종의 얼음 결정이 실제로 관찰됐다. 결정의 종류마다 ‘얼음(ice)’이라는 글자 뒤에 로마 숫자가 붙는데, 이중 우리가 흔히 보는 얼음 결정인 육각형 모양은 ‘얼음 Ⅰh’형이라고 부른다. 종종 한 면이 정사각형인 정육면체 (cubic) 구조를 띠는 결정 구조도 소량 발견되는데, 이 결정은 ‘얼음 ... ...
- 긱블 메이킹 현장 급습, 다마스쿠스 호미 머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끝에 마침내 납축 배터리를 놓을 최적의 위치를 찾아냈습니다. 기계장치 중앙에서 약간 뒤쪽입니다. 여기에 납축 배터리를 놓고 글루건으로 고정했습니다.이제 몸체에 바퀴를 달아 이동도 가능하게 해야 하고, 블루투스로 조종할 수 있도록 아두이노도 코딩해야 합니다. 각 부품들을 만들기 위해 3D ...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 조립완료, 시행착오 1000번 혹독한 지상 검증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불합격되는 일이 여러 번 있었다. 발사 일정에 차질이 생길 정도로 시행착오를 거친 뒤에야 노하우를 터득했다. 네 번째는 장비 사용시간 문제였다. 나로호의 경우 3일 동안 발사 운용을 한다. 따라서 발사대 시설 등 지상 지원 장비들도 3일 동안 연속으로 동작할 수 있어야 한다. 대부분의 지상시설 ... ...
- 양자컴퓨터 시대에 대비하는 수학!수학동아 l2019년 12호
- 5개 팀이 1라운드를 통과했지만, 아쉽게 2라운드에서 모두 떨어졌어.김 교수는 2~3년 뒤에 약 3개 팀의 암호가 최종적으로 선정될 거라고 예상해. 이미 2라운드 전에 떨어진 암호를 보완한 뒤, 최종 선정된 암호보다 성능이 좋다는 걸 밝히면 후양자 암호로 채택될 수 있다고 하니 어쩌면 국내 연구팀이 ... ...
- 수동의 크리스마스 교통지옥 돌파기, 빅데이터 히어로가 탄생하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수동이 알려줬을 때 환한 얼굴로 “와~, 굉장하다. 너 정말 똑똑하구나!”라고 말한 뒤, 줄곧 그 미소는 수동이의 마음속에 자리 잡고 있다. 학년이 끝나기 전에 친해질 만한 계기를 찾던 중 태형이 크리스마스 파티를 연다는 소식을 들었다. 하지만 파티 당일까지도 태형은 아무 연락도 하지 않았다 ...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답을 틀러도 되는 신기한 수업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수학 개념의 등장 순서입니다. 일반 교과서는 개념 설명이 먼저 나오고 예제 문제 뒤, 연습문제를 푸는 순서로 구성돼 있습니다. 반면 수학의 발견은 과제부터 나오고, 이 과제에 대한 ‘나의 첫 생각’을 적어야 합니다. 내 생각을 친구들과 함께 이야기하고, 친구를 통해 알게 된 내용을 교과서에 ... ...
- [미국유학일기] 3주 겨울방학은 휴식, 석 달 여름방학은 연구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오후 5~6시에 퇴근하는 친구가 있는가 하면, 마치 대학원생처럼 저녁을 먹고 야근을 한 뒤 이튿날 아침 일찍 출근하는 친구도 있다. 분야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내가 연구하는 유기합성 분야는 시간을 많이 투자할수록 더 많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래서 여름방학마다 일주일에 50시간 이상 ... ...
- 지구방위대 모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3배 밝은 섬광이 번쩍 나타났어요. 지름 17~20m로 추정되는 소행성*이 대기권에 들어온 뒤 상공 30km에서 폭발한 거예요. 그 결과, 강한 충격파가 발생해 유리창이 깨지는 등 건물 7000여 채가 파괴되고 1400여 명의 부상자가 발생했어요. 아무도 예측하지 못한 사건이었지요. 천문학자들은 지구 주변 ... ...
- [과학뉴스] 청소년 음주, 위험한 이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RNA의 일종인 miR-137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 청소년기에 알코올에 노출된 쥐는 성인이 된 뒤 뇌에서 miR-137 농도가 높게 나타났다. miR-137은 건강한 뉴런 성장에 필요한 단백질(LSD1)의 발현을 감소시켰다. 또한 청소년기에 알코올에 노출된 쥐는 생후 100일 이후부터 불안장애와 우울증 같은 행동 장애와 ... ...
이전23823924024124224324424524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