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d라이브러리
"
전극
"(으)로 총 648건 검색되었습니다.
INTERVIEW 1. 올해 노벨상 수상자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머리 위에 직접 달 수 없었다. 장비가 작아진 덕분에 살아있는 동물의 뇌에 직접 미세
전극
을 삽입할 수 있었다. 덕분에 해마에서 장소세포를 찾아낼 수 있었다. 본인의 연구에 집중하면서도 최신 기술 경향을 놓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장소세포 논문을 3쪽 분량으로 ‘브레인 리서치’에 ... ...
[과학뉴스] 다이아로 반지? 이젠 뇌에 꽂아야지!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DBS)을 선정하고, 3년간 약 27억 원의 연구비를 지원하기로 결정했다.뇌심부자극술은 뇌에
전극
을 꽂아 뇌 활동을 직접 조절하는 치료술이다. 미국 식품의약품안전청(FDA)의 허가를 거쳐 파킨슨 병 등 뇌 질환 치료에 쓰이고 있으며, 한국에서도 매년 수십에서수백 명이 시술을 받고 있다. 다이아몬드 ... ...
[과학뉴스] 폭발 위험까지 알려주는 똑똑한 배터리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했다. 이 층은 이온이 통과할 수 있어 평소에는 전압을 잴 수 있는
전극
역할을 한다. 하지만 합선이 일어나기 시작하면 양극 사이의 전압차가 갑자기 사라지면서, 그 사이에 있는 구리막의 전압 역시 0이 된다. 연구팀은 이 전압을 관찰해 합선이 일어나기 직전에 사용자에게 ... ...
INTERVIEW 2. 톰슨로이터가 지목한 한국인 후보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탄소 메조다공성 물질의 응용성을 찾아내는 연구에 집중하려고 합니다. 촉매나 투명
전극
, 저장장치 같은 게 좋은 예겠죠. 누가 알아요, 정말 10년 뒤에 그 성과로 노벨상도 받게 될지. 그런데 똑같은 연구 한다고 연구비 안 줄까봐 걱정이에요. 어쨌든 논문이 아니라 진짜 좋은 연구에 집중할 겁니다 ... ...
PART 3. 생리의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자리를 옮겨 1960년대 말부터 본격적으로 연구를 시작했다. 먼저 살아 있는 쥐의 해마에
전극
을 삽입했다. 그리고는 쥐가 길을 탐색하고 움직일 때 해마의 뇌세포에서 발생하는 전기신호를 측정했다. 쥐가 특정 위치에 도달하자 조용히 있던 해마 신경세포가 갑자기 전기신호를 냈다. 공간에 민감하게 ... ...
100배 빠른 통신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기가헤르츠 이상 진동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었다.김 교수팀은 실리콘 반도체의 양
전극
에 전자가 집단적으로 움직이도록 해 이 문제를 해결했다. 집단으로 움직이는 전자는 개별 전자로 움직일 때보다 최대 100배까지 이동속도가 빨라졌다. 또 전자 집단의 밀도가 높아졌다 낮아졌다를 반복했는데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1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최대 4배까지 늘어난다. 손을 놓으면 원 상태로 돌아간다. 연구팀은 지름 2mm짜리
전극
100개를 S자 모양의 스프링으로 연결해 이 배터리를 만들었다. 각 소자를 커튼처럼 주름을 만들어 연결하거나 ‘Ω’ 모양으로 연결하기도 했는데, 결국 S자 모양으로 만드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고 한다. 성능 ... ...
아바타 기술에 수학이 있다!
수학동아
l
2014년 07호
따라 생기는 아주 약한 전류인 생체 정보를 실시간 측정하는 기술로, 머리에 30~100여 개의
전극
을 붙이면 대략 1000억 개의 뉴런이 만들어 내는 미세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이렇게 측정된 뇌전도 생체 신호에는 사람의 두뇌 활동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하지만 사람의 두뇌 활동은 생명이 유지되는 ... ...
멍청아! 문제는 배터리야 PART 2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
전극
활물질’ 표면이 불규칙해 그래핀을 코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흑연과
전극
활물질을 함께 갈아 그래핀을 만드는 방식을 개발했다. 이 그래핀으로 만든 리튬전지는 용량이 2배 이상 늘어났다. 연구팀은 “상용화되면 스마트폰의 배터리 용량이 약 1.5배 이상 늘어날 것”이라고 ... ...
매년 쥐 100마리 신체검사 하는 독일마우스병원
과학동아
l
2014년 06호
있었다. 쥐가 앉아있는 회색 판이 바로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감지하는 심전도(EGC)
전극
이었다. 병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심전도 기계의 축소판인 셈이다. 마치 소인국에 와 있는 듯한 느낌이었다. 사뭇 귀여웠다.운이 좋게도 일종의 엑스레이(DEXA)를 촬영하는 것도 볼 수 있었다. 실험실 책상 가운데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