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d라이브러리
"
전극
"(으)로 총 64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뇌파를 내 손처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9호
전극
과 전선이 잔뜩 연결된 ‘모자’를 쓰고, 컴퓨터 앞에 가만히 앉아 있을 뿐이에요.
전극
은 뇌파를 읽어 전선을 통해 컴퓨터로 보내지요. 컴퓨터는 이 신호를 받아들여 그에 맞게 게임 캐릭터를 움직이게 돼요.흥미롭게도, 게임 참가자들은 ‘뛰어라!’, ‘걸어라!’ 같은 직접적인 지시를 내리지 ... ...
Part 2. 기계를 내 몸처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9호
뇌가 ‘검지손가락을 구부려라’는 명령을 내리면, 이 명령을 담은 전기신호를
전극
패치로 보내서 검지손가락의 근육을 움직이는 거죠. 다시 말해 마비된 신경을 대신해 뇌와 연결된 ‘의수’가 손을 움직이는 셈이랍니다.환자는 이 장치를 끼고 훈련을 거듭해 손동작 6가지를 자유롭게 해내는 데 ... ...
[과학뉴스] 젤리처럼 피부에 찰싹 붙는 터치패널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있도록 네 귀퉁이에
전극
을 달았답니다.이 터치패널에 손가락을 대면 각 귀퉁이에 있는
전극
에 흐르는 전류가 달라져요. 그리고 손가락이 닿은 위치를 측정할 수도 있지요. 이런 원리를 이용하면 터치패널에 그림을 그리거나 게임을 할 수도 있답니다. 스마트폰 터치패드를 말랑말랑하게 만들 수 ... ...
[과학뉴스] 돌돌~ 말리는 태양전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4호
지금까지 개발된 태양전지들은 두꺼워서 옷으로 만들어 입을 수가 없었어요. 태양전지는
전극
과 화학물질을 층층이 쌓아서 만들어요. 태양전지가 빛을 받으면 화학작용이 일어나 전자가 발생하고, 이 전자들이 모여 전기가 만들어지지요. 이때 화학물질이 코팅되는 유리 기판 때문에 태양전지가 ... ...
[과학뉴스] 어디에도 척! 달라붙는
전극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3호
접착제가
전극
을 고정시키는 거예요.실제로 이
전극
을 옷에 붙이고 생활을 해 본 결과
전극
이 옷에서 떨어지지 않고 전기가 잘 통했답니다. 고흥조 교수는 “이 기술을 활용해 몸에 부착할 수 있는 센서를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어요 ... ...
[과학뉴스] 간지럼 느끼는 뇌 부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통해 두뇌의 ‘체감각피질’에서 간지럼을 느낀다고 밝혔다.연구팀은 쥐의 대뇌피질에
전극
을 꽂고 간지럼을 태우면서 신경세포 반응을 관찰했다. 그 결과, 촉각을 담당하는 뇌 영역인 체감각피질이 활성화됐다. 또 직접 간지럼을 태우지 않고 이 부위에 전기 자극을 주자 쥐가 간지럼을 느낄 때 낸 ... ...
[과학뉴스] 사람 소장의 융모 흉내 낸 배터리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띤 기자리튬이온을 포획하는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연구팀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양
전극
부분에 리튬이온을 추가로 포획할 수 있도록 산화아연층을 쌓아 올렸다. 이 층은 우리 몸의 소장에서 표면적을 넓혀 소화를 돕는 융모 구조를 본떴다. 실험 결과, 산화아연층이 리튬-황 화합물과도 강하게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의수가 닿는 부분(소켓 내부)에
전극
이라고 불리는 작은 금속 조각을 여러 개 붙인다.
전극
은 바로 아래 운동 신경세포가 만드는 근전도 신호를 읽어낼 수 있다. 이 신호는 로봇 의수에 내장된 증폭기와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신호 변환기)를 거쳐 의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전달된다. ... ...
[Career] "머리카락보다 작은 소재의 활약을 기대하세요!"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두께가 수십 nm 이하의 표면에서
전극
이 되는 현상을 관찰했다. 김 교수는 “적층형 나노
전극
연구는 전세계에서도 거의 없을 정도로 독창적”이라고 밝혔다. 고분자팀은 최근 생체 내에서 쓸 수 있는 고분자를 연구하고 있다. 현재 생체친화적인 고분자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PEG ... ...
[과학뉴스] 인공지능, 사지마비 환자를 움직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있는
전극
을 심었어요. 그리고 환자의 팔에는 전달된 뇌의 신호로 근육을 움직이게 하는
전극
을 붙였답니다.연구팀은 이 장치에 ‘신경의 우회도로’를 뜻하는 ‘뉴럴 바이패스(neuralbypass)’라는 이름을 붙였어요. 뉴럴바이패스는 인공지능을 이용해 뇌가 보내는 명령을 분석하고, 이를 근육으로 ... ...
이전
12
13
14
15
16
17
18
19
2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