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d라이브러리
"
전극
"(으)로 총 648건 검색되었습니다.
UNIST 세계무대 떠오르는 강자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친환경에너지공학부 조재필 교수 연구팀이 탄소로 코팅된 단결정 나노입자 클러스터를
전극
으로 이용해 출력은 높고 충전시간은 짧은 리튬 2차전지를 개발한 것이다. 사실 2차전지 음극소재는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해 왔다. UNIST 교수진이 이것을 개발함으로써 연간 1000억 원의 수입대체효과를 ... ...
Part 1. 과학자들이 탐내는 생체모방 명품 7선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것은 나노와이어에 금을 증착시킨 것이다. 왼쪽 아래와 가운데 보이는 까만 막대가
전극
이다. 이들로 회로를 만들어 전류를 흘렸다 끊었다 하는(스위칭) 저항메모리 반도체 성질을 구현했다. 오른쪽 아래 작은 그림은 회로도이다.][텅스텐 와이어를 연잎의 섬모 모양으로 설계해 물이 묻어도 반도체 ... ...
못 버리는 것도 병, 저장강박증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회로를 직접 교정해주는 방법이다. 심부뇌자극술은 대뇌안쪽으로 사람 머리카락 두께의
전극
을 삽입하고 전류를 통해 뇌세포의 활성을 조절한다. 과활성되어 있는 뇌신경은 억제하고 활성이 떨어져 있는 뇌신경을 자극해서 제기능을 되찾아준다. 주로 파킨슨 환자들의 손 떨림 같은 증상을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시스템을 고안했다. GPS 수신기와 전파기기, 센서만 갖추면 가능하다. 피부를 찢고 칩이나
전극
을 이식할 필요도 없다.먼저 진동 기능이 있는 벨트를 개에 입힌다. 조종자는 다양한 톤의 음성 명령을 내리면서 벨트에 달린 진동기의 진동을 조절한다. 진동의 위치와 음성 명령에 따라 개가 움직이도록 ... ...
전기 만드는 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바이러스를 우표만한 크기에 촘촘히 모은 뒤 20층으로 쌓았다. 이를 금으로 만든
전극
판 사이에 끼운 뒤 누르자 LCD 화면이 켜졌다. 생산된 전류의 양은 최대 6나노암페어(nA).실험에 쓰인 바이러스는 세균을 숙주로 하는 M13박테리오파지로 길이가 880나노미터(nm), 굵기는 6.6nm다. 표면이 나선형의 ... ...
생각만으로 로봇을 조종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목적에 맞춰 여러 방법으로 생각을 읽어내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고 설명했다.뇌에
전극
을 이식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은 전신마비 환자 같은 중증환자들을 돕기 위해 연구가 진행 중이다. 미국에는 200만 명, 국내에는 10만 명의 신체마비 환자가 있다. 신체마비 환자들이 보호자 도움 ... ...
뉴로피드백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장면을 묘사한 것이다. 뇌전증 환자들은 수술을 하기 전에 보통 두개골을 절개하고 뇌에
전극
을 넣어 신경신호를 측정한다. 연구팀은 신경신호를 측정 중인 환자들에게 유명 헐리우드 배우들의 사진을 보여주고 흥미로운 결과를 얻었다. 조쉬 브롤린 사진을 보고 있을 때는 뇌의 오른쪽 해마 부위가 ... ...
작지만 값진 성공의 경험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제조 촉매 개발을 하고 있다. 박사학위 기간 동안 서울대에서 전기화학을 기반으로 한
전극
측정 및 개발을 했고 이것을 기반으로 현재 실증적으로 연료전지를 운전하고 평가한다.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연료전지는 자동차뿐만 아니라, 발전소, 휴대용기기 등 다양한 곳에 사용될 것이다. 201 ... ...
차세대 연료전지 나노 기술로 상용화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성분에서 해답을 찾을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으로 건전지를 분해했다. 건전지에는
전극
이면서 이온을 저장하는 층상구조가 있는데 여기에 쓰인 산화물을 연료전지에 넣어 봤더니 수소 이온의 이동성이 활발해지는 것을 발견했다. 다른 분야의 아이디어가 문제 해결의 열쇠가 된 것이다. ... ...
뇌조절 기술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깊은 부분은 인간의 복잡한 감정이나 기억을 담당한다. 이곳을 자극하기 위해선 긴 바늘
전극
을 뇌에 찔러 넣어 전류를 직접 흘려주어야 했지만 이는 외과 수술이 필요하기 때문에 심각한 상태의 환자들에게만 쓰고 있다. 수술을 하지 않는 방법은 마이크로파 빔을 사용하는 것이다. 직진성이 높은 ... ...
이전
19
20
21
22
23
24
25
26
2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