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d라이브러리
"
전극
"(으)로 총 648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 블록으로 미래 에너지 업그레이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할까. 이를 미래에너지인 태양전지나 연료전지에 대입해보자. 모래알은 전자, 그물은
전극
을 오가며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전자를 담는 전해물질이다. 마이크로미터 구조로 설계됐던 이 그물을 나노미터 구조로 바꿔 에너지 효율을 높이려는 시도가 기계항공공학 분야에서 이뤄지고 있다.최만수 ... ...
경칩맞이 개구리 총집합!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큰 기여를 했답니다. 18세기 이탈리아의 생물학자 루이기 갈바니가 죽은 개구리 뒷다리에
전극
을 꽂고 전류를 흘려주자 다리가 꿈틀거리는 현상을 발견한 건 유명한 실험이죠. 이 관찰을 토대로 갈바니는 동물의 신경계가 전기신호를 통해 작동한다고 추측했죠.과학에서 개구리가 가장 큰 기여를 한 ... ...
눈으로 느끼는 소리의 세계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내부장치를 영구적으로 귓바퀴 뒤에 부착하고 어음처리기로 장치를 조정해야 한다.
전극
은 일반적으로 달팽이관 안에 있는 고실계단에 있다. 부작용의 위험이 있지만 계속 이러한 분야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는 만큼 보다 나아진 장치가 계속 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중이의 시작인 고막은 ... ...
뽀로로가 이등신인 이유는?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결과다. 실험에 참가한 사람들이 간질을 치료하기 위해 뇌 속에 삽입하고 있는 미세
전극
을 통해 뇌세포의 전기신호를 직접 측정할 수 있었다.이 세포는 작고 귀여운 동물 캐릭터인 ‘피터 래빗’을 볼 때 활성이 더 좋기 때문에 ‘피터 래빗 세포’로 부르기도 한다. 코흐 교수팀은 이 세포가 자극을 ... ...
꿈을 저장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최근 마이크로 공정 기술이 급격히 발전하며 과학자들은 아주 미세한 바늘 형태의
전극
을 제작할 수 있게 됐다. 이 미세바늘을 대뇌 피질 표면에 찔러 넣으면 신경세포 한 개에서 발생하는 뇌의 전기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실제로 2004년 미국에서는 이 방법으로 ‘브레인게이트’라는 뇌-컴퓨터 ... ...
눈은 번쩍! 얼굴은 반짝! 과학으로 쓰는 안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8호
달린 카메라가 사물로부터 반사된 빛을 받으면, 이 빛이 신호로 바뀌어 망막에 심은
전극
에 전달된다. 이어 시신경이 이를 감지해 뇌로 전달하면 사용자가 사물을 알아차릴 수 있는 것이다. 이 안경을 쓰면 아주 정확하게 볼 수는 없지만 흐릿하게나마 사람과 사물을 분간할 수 있다.이모티콘 ... ...
깃털처럼 가벼운 금속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흡수율도 높아 음향이나 진동, 충격에 대한 완충제를 만드는 데 적격이다. 또한 배터리
전극
에 쓰면 배터리 무게를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연구팀의 로렌조 바더비트 박사는 “속이 비고 가벼우면서도 튼튼한 에펠탑과 금문교를 매우 작은 크기로 만들었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 ...
비닐에서 LCD까지, 미세 가공을 부탁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우리는 고출력, 고반복률을 가진 스캐너 가공 시스템을 개발해 고속으로 투명
전극
을 가공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연구실에서는 하지정맥류를 치료하는 의료용 광섬유를 개선하는 가공기술도 개발했다. 레이저를 이용한 하지정맥류 치료는 현재도 널리 시술하고 있다. 광섬유를 단 ... ...
아이언맨이 뛰쳐나왔다
과학동아
l
2011년 07호
방법도 연구 중이다. 두뇌-기계 연결장치(BMI)라고 부르는 방식이다. 과거에는 뇌 속에
전극
을 꽂아 넣는 수술을 받아야 했기 때문에 실용화가 어려웠지만 최근에는 근적외선을 이용해 뇌 속의 산소량을 읽는 방식도 개발됐다. 외골격 로봇 전문가들은 사람의 몸에서 나오는 신호를 읽는 여러 가지 ... ...
빛을 볼 수 있게 해 주는 기적의 안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해요. 그런 뒤 안경을 쓰면 안경이 빛을 감지해서 망막의
전극
에 빛 신호를 전달하지요.
전극
에 전달된 빛 신호는 다시 시신경으로 전해져요. 시신경이 감지한 신호는 다시 뇌로 전달되고, 그결과 빛을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랍니다.어서 앞을 볼 수 없는 많은 사람들이 빛을 볼 수 있게 되면 좋겠네요 ... ...
이전
20
21
22
23
24
25
26
27
2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