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3,369건 검색되었습니다.
1년은 항상 3백65일인가
과학동아
l
200201
조금씩 멀어진다. 이는 실제 관측되는 현상이다.아폴로 우주선이 달을 방문했을 때 달
표면
에 반사경을 설치했다. 과학자들은 지구에서 레이저빔을 발사한 후 레이저빔이 달의 반사경에 반사되고 되돌아오는 시간을 쟀다. 이를 통해 지구와 달 사이의 거리를 측정했다. 그 결과 현재 달은 지구로부터 ... ...
'진짜' 감기약 세계 최초 개발
과학동아
l
200201
수 있는 감기약은 단지 막힌 코를 뚫어주고 몸살기운을 가라앉히는 역할을 할 뿐이다.
표면
에 나타난 감기 증세를 가라앉혀 환자의 고통을 없애줄 뿐 근본적인 치료법은 아니다 ... ...
새해 더 밝아진 목성 즐기는 법
과학동아
l
200201
그렇다면 지금부터 대적반을 볼 수 있는 시각을 계산해보자. 대적반의 위치는 목성
표면
에서 위도 -23.3°, 경도 75° 부근에 위치한다. 즉 목성 적도에서 약간 남쪽 띠에 있다. 따라서 대적반을 볼 수 있는 때는 대적반의 경도가 지구에서 볼 때 목성 중앙부근에 오는 시기다.우선 오른쪽 (표)를 이용해 ... ...
세계 최고 하이테크 축구공 피버노바
과학동아
l
200201
배열된 것. 따라서 피버노바의 각종 능력이 어떤 공보다 뛰어난 것이다.또 피버노바의
표면
은 패널과 패널을 이어 꿰맨 재봉선까지 투명 폴리우레탄으로 코팅이 돼있다. 폴리우레탄 코팅은 기존 비닐 코팅보다 내구성이 뛰어나다. 따라서 오래도록 방수능력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1970년 ... ...
3 득점의 꽃 프리킥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201
중간에 속도가 느려져 층류 영역에 접어들 때 공은 가장 많이 꺾이게 된다. 따라서 공
표면
의 공기 흐름이 난류에서 층류로 바뀌는 지역, 즉 공이 극적으로 휘는 지점이 수비벽을 통과한 바로 뒤가 되도록 공의 속도와 회전, 그리고 방향을 열심히 연습해야 할 것이다. 물론 훌륭한 선수들은 ... ...
BT - 생체 혁명 주도하는 전초기지
과학동아
l
200201
가구와 생활용품의
표면
처리제로 바뀌는데, 이는 기존 정밀화학산업의 합성수지
표면
처리제를 전량 대체할 것이다. 1백여종 오염물질 정화하는 효소제주도의 숙원사업도 해결됐다. 농업진흥청에서 비타민C를 생산하는 감귤나무의 개발이 성공했기 때문이다. 신품종의 감귤은 기존 감귤보다 1백배 ... ...
단1회 탐사로 밝혀진 절반의 이력서 수성
과학동아
l
200201
수많은 크레이터에는 이름이 필요했다. 수성은 달이나 화성의 경우와는 달리 아무도
표면
을 본 적이 없어 작명이 쉬울 것 같았으나 논란은 있었다. 과학자나 천문학자의 이름은 이미 다른 행성에 사용됐기 때문에 도시에서부터 새의 이름까지 새로운 명명법이 제시됐다. 국제천문연맹(IAU)의 ... ...
파브르의 곤충기
과학동아
l
200201
머리는 뾰쪽하고 꼬리는 잘린 듯한 … 숨을 쉬는 숨구멍인 두개의 작은 갈색점이 피부의
표면
에 나타나있다. 앞쪽의 머리라고 불리는 곳은 두개의 집게 갈고리로 무장돼 있다”.구더기 관찰에 대한 그의 의미부여는 자연관찰자의 모습이 어떠해야 하는가를 더욱 잘 보여준다. “구더기는 우리들의 ... ...
시판허가 내려진 응급피임약 논란
과학동아
l
200112
노레보의 수입허가 과정 전모를 알아보자.지름 5mm, 무게 0.75g, 무광택으로 처리된 흰색
표면
. ‘노레보’의 외관상 특징이다. 설명만 들어서는 흔히 보는 여느 알약과 별반 달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응급피임약’이라는 수식어를 붙어주면 사정은 달라진다. 성관계 후 72시간 내에 복용하면 ... ...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소행성 베스타
과학동아
l
200112
밝은 이유는 무엇일까. 다른 소행성에 비해 태양과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더 가깝고,
표면
이 다른 소행성보다 빛을 잘 반사하기 때문이다.올해 베스타가 가장 잘 보이는 때는 10월부터 내년 1월 사이다. 11월 28일 태양-지구-베스타 순으로 일렬로 위치한다. 이때부터 약 1개월 동안은 다른 때보다 밝기 ... ...
이전
198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