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d라이브러리
"
표면
"(으)로 총 3,369건 검색되었습니다.
진공청소기 발명 1백년
과학동아
l
200110
수 있다. 요즘에는 세제가 내장돼 있는 청소기도 있어 청소할 부위에 세제를 부어
표면
을 깨끗하게 닦아내기도 한다. 마지막으로 핸디형은 자동차에서 흔히 사용하는 있는 청소기로, 한손으로 들고 다닐 수 있어 좁은 공간을 청소하는데 사용된다.홈로봇으로 탈바꿈집안에 있는 먼지나 모래를 ... ...
4 SPM이 보여주는 환상의 나노세계
과학동아
l
200110
효과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한
표면
윤곽뿐 아니라 SPM의 종류에 따라 자기장이나
표면
마찰력과 같은 정보도 시각적으로 함께 표현해줄 수 있다.이같은 시각화가 SPM을 이용한 나노조작기술과 함게 구동되면 과학자는 지금보다 쉽게 나노세계를 다룰 수 있을 전망이다. 또한 교육용 자료로 이용할 ... ...
식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10
양쪽으로 갈라져 있고, 가장자리에는 가시모양의 돌기가 솟아있다. 곤충들이 좁은 잎의
표면
에 앉는 순간 곤충은 안테나를 건드리게 된다. 곧 잎에서는 미세한 전기자극이 일어나고, 두개의 잎은 불과 0.3초만에 닫혀버린다.그런데 파리지옥풀은 한번의 자극으로는 소화액을 분비하지 않는다. ... ...
2 활용 : ① 반도체개발 춘추전국시대 제패
과학동아
l
200110
이용한 프린터의 해상도는 2백만DPI에 이른다.실제로 나노펜 프린터을 이용해 금
표면
에 문장을 썼다. 여기에 쓰인 문장은 잘 알려진 물리학자인 고 리처드 파인만이 1959년에 한 연설(1960년에 책으로 발표됨)의 한 부분이다. 이 연설 내용은 놀랍게도 파인만이 2000년대 나노과학기술의 눈부신 ... ...
3 교육 : 차세대 나노주자 위한 소우주 여행
과학동아
l
200110
배워 어떤 이미지를 얻기는 무척 어렵다. 숭실대 강세종 교수는 SPM을 이용한 원자수준의
표면
윤곽을 얻기가 현재는 매우 어렵다고 토로했다.“같은 시료를 두고 오늘 본 SPM 사진과 내일 본 SPM 영상이 다르다. 아니 매번 다르다고 말할 수 있다. 그 이유는 SPM의 탐침이 단지 원자 몇개로 구성돼 있어 ... ...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
과학동아
l
200110
것으로0K=-273℃다) 정도에서 작동을 시킨다.윔프의 반응에 의한 미약한 에너지는 결정
표면
에 입혀진 초전도 물질을 순간적으로 보통 도체로 바꿔버린다. 그 순간에 도체의 저항이 매우 커지기 때문에(초전도 상태에서는 저항이 없다) 회로에 흐르는 전류의 양에 변화가 일어나고 이 전류변화는 ... ...
유리잔으로 물질 밀도 알아맞추기
과학동아
l
200110
구모양이 된다. 그 이유는 기름 분자들끼리 잡아 당겨 접촉 면적을 최소화하려는 힘, 즉
표면
장력 때문이다.액체 탑으로 알아본 물질의 밀도왜 그럴까?!밀도가 다른 여러가지 액체를 밀도가 큰 순서부터 차례로 조심스럽게 한개의 유리잔에 부으면 액체 탑을 쌓을 수 있다. 여기에서 이용한 액체의 ... ...
기출문제 정복해 2학기 수시 노린다
과학동아
l
200109
구조물이 커질때, 체적(부피)은
표면
적의 증가에 비례하지 않는다. 오히려 체적에 대한
표면
적의 비율은 작아진다. 이 주제에 대한 좀더 자세한 설명이 ‘과학동아’7월호 심층면접 실전대비 가상문답 ①번에 상세한 그림과 함께 나와있다.문제정지해 있던 질량 m인 블록이 그림과 같이 높이 h, 길이L, ... ...
Ⅱ 투수 헛스윙 유도하는 주무기 변화구
과학동아
l
200109
톰 캔디오티가 유명하다.그러나 반칙을 써서 너클볼의 효과를 낼 수는 있다. 공의
표면
에 침이나 비눗물, 바세린 같이 미끌미끌한 첨가물을 발라서 던지면 공이 손에서 미끄러지면서 회전을 거의 하지 않아 너클볼처럼 진행한다. 야구에서는 이같은 반칙 투구를 스핏볼(spit ball)이라고 한다. 다른 ... ...
가을밤에 만나는 밤하늘의 기준점
과학동아
l
200109
밝기는 0등급대다. 망원경으로 보면 이미 한쪽이 일그러진 모습이 나타난다. 화성의
표면
을 보기엔 이미 늦어버린 시간이지만 맨눈으로 다른 별자리와 어울리는 모습을 보기엔 참으로 안성맞춤이다. 화성이 서쪽하늘 너머로 사라지고 나면 약 2년 뒤 다시 동쪽하늘에서 찬란한 모습을 보인다. 이때 ... ...
이전
201
202
203
204
205
206
207
208
2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