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식량
양식
음식
영양물
식료품
식료
음식물
뉴스
"
식품
"(으)로 총 3,344건 검색되었습니다.
"연구용원자로, 양자컴퓨터·소아백혈병 신약 등 첨단기술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4.10.10
같지는 않다"고 말했다. 정병엽 원자력연 첨단방사선연구소장은 "루테튬-177은 2022년 미국
식품
의약국(FDA)에서 전립선암치료제로 승인했다"고 덧붙였다. 원자력연은 2027년 말까지 부산 기장군에 동위원소 생산 전용 원자로인 '수출용신형연구로' 건설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과기부는 의료용방사성 ... ...
안구마취 의료기기 '오큐쿨', 국내 첫 美 FDA 드 노보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24.10.10
리센스메디컬 제공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가 창업한 기업이 안과용 마취기기로 미국
식품
의약국(FDA) 드 노보(De Novo) 승인을 받았다. 드 노보는 기존에 없던 신기술 의료기기에 적용되는 승인 절차로 검증 과정이 까다롭다. 국내 의료기기 중 드 노보 승인은 이번이 처음이다. UNIST는 김건호 ... ...
[노벨상 2024] 단백질과 분자 상호작용도 예측…화학상 알파폴드2에서 진일보한 알파폴드3
과학동아
l
2024.10.09
예측하는 등 신약 후보 물질을 발굴하는 시간을 줄여준다. 석 교수는 "현재 미국
식품
의약국(FDA)에서는 신약을 발굴할 때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하는 임상 단계를 단축하려는 노력도 있다"면서 "미래에는 AI가 이 부분에서 시간을 당겨주는 역할을 해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미노산 서열을 토대로 ... ...
[의학바이오게시판] 연세대, 치매 유발 ‘타우 단백질’ 응집 기전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개발의 중요한 이정표로 국제학술지 ‘앙게반테 케미’에 지난달 24일 게재됐다. ■
식품
의약품안전처는 GLP-1 계열 비만치료제 주사제는 의료전문가의 처방에 따라 허가된 용법대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고 7일 밝혔다. 10월 중 국내에 출시될 예정인 비만치료제 주사제는 체질량지수 30 이상인 ... ...
망상·환청 부르는 조현병 정복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BMS)의 새 조현병 치료제인 ‘코벤피’가 지난달 26일(현지시간) 미국
식품
의약국(FDA) 사용 승인을 받았다. 1950년대 초까지 조현병 환자는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되거나 전전두엽을 드릴로 손상시키는 비인간적인 수술을 받았다. 이후 마취제 용도로 개발된 ‘클로르프로마진’이 조현병 환자의 증상 ... ...
[킁킁과학] 은행 열매는 왜 토 냄새를 풍길까
과학동아
l
2024.10.05
실제로 악취를 유발하는지에 관한 연구는 찾기 쉽지 않다. 오히려 눈에 띄는 연구는 미국
식품
회사인 제너럴 푸드에서 화학자로 일하던 토마스 팔리먼트가 1995년 발표한 내용이다.(doi: 10.1021/bk-1995-0596.ch025) 부탄산 - 부티르산이라고도 불린다. 탄소 4개를 가진 포화 지방산이다. 게티이미지뱅크 ... ...
쥐눈이콩, 비 알코올성 지방간 개선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지방간 개선을 돕는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국
식품
연구원은
식품
기능연구본부 기능성소재연구단 하상근 본부장 연구팀이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앓는 생쥐 10마리에 쥐눈이콩 추출물을 생쥐 체중 1㎏(킬로그램)당 최대 0.2g(그램)을 투여한 결과 지방간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고 30일 밝혔다. ... ...
"의정갈등 장기화로 국내 병원 임상·연구 급감"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R&D(연구개발) 규모가 크게 줄었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안도걸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은
식품
의약품안전처에서 제공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의정갈등 여파로 임상시험·학술대회 등 바이오의료 R&D(연구개발)가 위축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30일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올해 1분기 262건이었던 ... ...
폐암 치료제 '에롤로티닙', 치매 치료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저해제가 알츠하이머 병증 치료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 제기돼왔다. 연구팀은 미국
식품
의약국(FDA) 승인을 받은 폐암 표적치료제이자 EGFR 저해제인 에롤로티닙이 알츠하이머 병증 조절과 인지기능 개선 효과가 있다는 점을 실제로 확인했다. 알츠하이머 원인으로 알려진 타우 단백질이 ... ...
시야장애 뇌졸중 환자에 '디지털 치료제' 국내 첫 처방
동아사이언스
l
2024.09.30
비비드브레인은 가상현실(VR)에 기반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다. 지난 4월
식품
의약품안전처로부터 품목 허가를 받아 국내 3번째 디지털 치료제가 된 비비드브레인은 시각 자극에 대한 반복적인 학습 훈련을 통해 시각 정보 인식 능력을 향상시키는 디지털 치료제다. 강 교수는 디지털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