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뒷날
내일
앞날
명일
다음날
이튿날
익일
d라이브러리
"
훗날
"(으)로 총 330건 검색되었습니다.
메시에와 메섕
과학동아
l
200612
걸친 노력으로 완성된 메시에 목록은 원래 100번까지의 천체를 담고 있었다. 그러나
훗날
후배 천문학자들이 10개를 보충해 오늘날에는 모두 110번까지 목록에 남아 있다.지금도 메시에는 메시에 목록이라는 이름 속에 남아서 별을 보는 모든 사람에게 기억되고 있다. 아마추어 천문가라면 누구나 ... ...
맨눈 관측의 달인, 망원경 압도
과학동아
l
200611
관측 정밀도에 대한 증명서를 써주기를 원했고 핼리는 망설이지 않고 증명서를 써줬다.
훗날
헤벨리우스는 자신의 저서에서 핼리의 증명서를 언급했다. 그러나 그는 핼리가 영국의 공식적인 대표로 자신을 방문해 자기가 관측한 상당수의 별을 함께 검증한 뒤 증명서를 써줬다고 과장했다. 사실 ... ...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중력 이야기
과학동아
l
200609
아인슈타인이 복잡한 기하학(리만의 미분기하학)을 이용해 일반상대론을 만들어냈을 때
훗날
GPS에 자신의 이론이 응용되리라고는 예측하지 못했을 것이다. 9 차원 공간 속의 3 차원 막에 산다면?지난 10년 동안 중력에 대한 입자 물리학자의 관점은 혁명적으로 바뀌었다. 소위 ‘초끈 이론’에 ... ...
캐롤라인 허셜과 마리아 미첼
과학동아
l
200607
유럽과 미국의 최초 여성천문학자가 정신적으로 만나게 된 셈이다.마리아 미첼은
훗날
바자르여대 천문대장을 역임했다. 그는 프로 천문학자가 아니었음에도 미국 과학아카데미 최초의 여성 회원이자 미국 철학회의 회원이 됐다. 그는 평생을 후학 양성에 힘썼고 과학계에서는 그의 뜻을 기려 ... ...
움직이는 '붙박이별'
과학동아
l
200606
붙어있는 바너드 별은 현재에도 많은 사람들에게 주목을 받는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먼
훗날
우리가 그 별로 직접 가봤을 때 과연 그 별 주위에는 몇 개의 행성이 돌고 있을까 궁금하다. 동반성망원경으로 볼 수 있는 쌍성 가운데 밝게 보이는 별은 주성, 가볍고 어두운 별은 동반성이라 불린다. 183 ... ...
발견자와 후원자, 갈릴레이와 메디치
과학동아
l
200604
수 있게 한 것이다.결론은 어찌 됐을까? 아무도 먼저 보았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없어서
훗날
첫 발견자는 당연히 갈릴레이로 결정됐다. 갈릴레이의 훌륭한 업적은 비밀편지까지 썼던 학문적 꼼꼼함이 낳은 결과다. 주전원 : 천동설은 금성이 해뜨기 전과 해진 후 잠깐 등장하는 이유도 설명해야 ... ...
천재 미디어 아티스트 백남준을 추모하며
과학동아
l
200603
소음 ,시간, 침묵도 음악이 될 수 있다는 케이지의 새로운 음악 이론에 흠뻑 빠진 것이다.
훗날
그는 종종 케이지가 그의 인생을 바꿔 놓았다고 고백한다.케이지의 영향으로 아방가르드 예술에 심취한 백남준은 1959년 살아있는 수탉과 오토바이, TV 수상기를 연결한 작품을 선보인다. 이어 그는 1960년 ... ...
로봇을 통해 휴머니즘 그리고파
과학동아
l
200603
끌기 위해 시나리오 표지에 마징가 그림을 그려 넣는 고육지책을 쓸 수밖에 없었다.
훗날
태권V가 표절 논란에 종종 휩싸인 것도 여기서 비롯된 것이다.“인간형 거대로봇을 그리다 보니 비슷한 점이 점점 많아졌어. 대신 우리 캐릭터에 고유 무예인 태권도를 구사하게 하고 조선시대 무장의 투구를 ... ...
진화하는 월드와이드웹
과학동아
l
200602
것일까. 방법은 ‘교육’이다. 채팅로봇은 입력된 문장 가운데 새 단어를 기억해 뒀다
훗날
필요할 때 사용하는 기억 기능을 갖추고 있다. 만일 자신의 취향이나 상황에 맞는 ‘대화친구’를 원한다면 아직까지는 자신의 채팅로봇에게 직접 말을 가르쳐야한다. 문장의 문맥을 정확히 파악하고 ... ...
공룡에 관한 여덟 가지 미스터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21
뜻을 가진 이름과 달리 머리뼈에서 뿔을 찾아볼 수 없어요. 학자들의 연구에 따르면
훗날
프로토케라톱스가 진화하여 트리케라톱스와 같이 멋진 뿔을 가진 다양한 각룡류로 발전한 것이라고 합니다.이제 조금 더 올라와 볼까요? 공주의 계룡산 입구에는 계룡산자연사박물관이 있답니다. 이 곳에서는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