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뒷날
내일
앞날
명일
다음날
이튿날
익일
d라이브러리
"
훗날
"(으)로 총 330건 검색되었습니다.
다이아몬드 자태 빛나게 한 백금 세팅 기술의 원조
과학동아
l
200806
시대를 풍미한 여성들의 아이콘영국 왕위까지 포기하게 만든 유부녀 월리스 워필드(
훗날
윈저공작부인이 됨), 당대 최고 상속녀인 바바라 허튼, 멕시코 출신의 디바 마리아 펠릭스.1900년대 중반 사교계와 언론에 연일 화제를 뿌리며 일세를 풍미한 여성들이다. 이들은 까르띠에의 일급 고객이기도 ... ...
PART1 "우주에서 본 한반도는 하나였다"
과학동아
l
200805
피울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350km 상공에서 힘겹게 12일을 보낸 초파리와 세포들이
훗날
한국의 과학 발전에 큰 보탬이 되리라는 생각에 벌써부터 마음이 벅차 오른다”고 밝혔다. 이 씨가 사용한 국산 과학실험 장비는 대부분 폐기처분되지만, ISS 내 소음을 측정하는 소음측정기와 우주저울은 ... ...
세포 반란 잠재울 단백질 구조학
과학동아
l
200804
1초에 수백만 개가 새로 생겨난다. 몸무게가 75kg인 사람은 약 60조 개를 지닌다. 며칠도 안 돼 늙어버리는 것부터 사람의 수명만큼 오래 사는 것 ... 눈에 보이지 않는 단백질의 구석구석을 스케치하듯 그려내는 이들의 노력이 밑거름돼
훗날
암환자에게 희망을 주는 신약이 탄생하지 않을까 ... ...
한강에 모인 새 박사들
과학동아
l
200803
역할을 한다.F 지도지도를 들고 다니며 새를 어느 장소에서 발견했는지 표시한다.
훗날
이 정보를 GIS(지리정보시스템)로 만들어 활용할 계획이다. ‘호사도요’ 손미나(이화여대 국문과 02학번) 양은 얼마 전 교원 임용시험에 합격했다. 선생님이 된 뒤에도 부임한 학교에 야생조류연구동아리를 ... ...
18세기 최첨단 요새 수원 화성
과학동아
l
200801
1권’에 수록됐다. 180년만에 부활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정조는 화성성역의궤가
훗날
큰 역할을 하리라 예측했을까. 수원 화성을 지은 곳은 ‘우로’ 위였다. 우로는 경제활동이 활발했던 18세기 당시 한양(서울)과 공주, 전주, 나주를 잇는 교통로였다. 그래서 1950년 한국전쟁이 벌어졌을 때 수원 ... ...
PART 1 태안의 기억을 채집하다
과학동아
l
200801
임 박사는 발만 동동 구르다 결국 한참이 지나서야 현장조사에 나설 수 있었다고 했다.“
훗날
유출된 기름이 얼마나 정화됐는지 알기 위해서는 ‘대조군’ 격인 현장의 초기시료가 필요합니다. 기름을 뒤집어쓴 가리비나 폐사한 물고기, 모래와 진흙도 사고의 기록을 담고 있는 소중한 자료죠 ... ...
사이언스 시간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715
늘이다 보니 기린의 목이 길어졌다고 설명했다. 그의 이론은 틀린 것으로 밝혀졌지만
훗날
진화론이 발전하는 데 큰 도움을 주었다.1610년 8월 6일허준 동의보감 완성허준은 선조 7년(1574년) 의과에 급제해 궁궐에서 왕의 건강을 돌보는 의관으로 일했다. 선조의 명을 받고 16년 동안 중국과 우리나라의 ... ...
PART2 막강 플라스틱 패밀리
과학동아
l
200712
모두 발포폴리스티렌으로 만들어졌단다. 폴리스티렌 못지않게 다재다능한 플라스틱이지.
훗날
알게 된 사실이지만 발포폴리스티렌이 이 세상에 태어난 것은 순전히 우연이었단다. 다우케미컬사의 레이 매킨타이어가 내게 그렇게 말했어.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그는 유연하면서 전기가 통하지 않는 ... ...
여인의 초상 제8화
과학동아
l
200711
그이가 만든 작품들을 하나하나 정리해주세요. 비록 지금은 공개하기 어렵지만 먼
훗날
그이를 위해 그것들이 필요할 때가 있을 법도 하니까요. 부탁해요.”29.....로즈의 부탁이 아니라고 해도 나는 래빗의 작품들을 목록도 만들고 사진도 찍으며 정리하고 있었다. 이제부터는 따로 보관할 수 있는 ... ...
2. 암모니아 합성 과정, 원자 수준에서 보는 고체표면화학
과학동아
l
200711
조각이 달궈지며 빛을 냈다. 화학자들은 백금이 촉매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훗날
독일의 화학자 프리츠 하버는 철을 촉매로 이용해 암모니아를 합성한 업적으로 1918년에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그들은 어떻게 고체가 기체 반응의 촉매가 되는지는 몰랐다.그로부터 89년 뒤인 2007년,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