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뒷날
내일
앞날
명일
다음날
이튿날
익일
d라이브러리
"
훗날
"(으)로 총 330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명! 사라진 생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02
아직 성공하진 못했어요. 조각이 아닌 완전한 DNA를 얻지 못했거든요. 그래서 최근에는
훗날
을 위해 전세계 나라들이 멸종 위기종의 유전 정보를 모아 보관하고 있어요. 우리나라에서는 야생동물유전자은행, 식물은 종자은행이 대표적이지요. 그 곳에는 반달가슴곰의 근육이나 뼈를 비롯해 삵과 ... ...
[특별 인터뷰] 천재수학자 테렌스 타오 교수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001
중에서 기억나는 것이 있나요?수학을 공부하느라 다른 공부를 충분히 하지 못했는데,
훗날
연구 논문을 쓸 때 작문 공부의 필요성을 느꼈지요. 수학을 좋아하더라도 어렸을 때부터 다양한 공부를 할 필요가 있습니다.다양한 연구의 비결은 무엇인가요?10개 국어에 능통한 동시통역사이신 고모님에 ... ...
나무 포유류의 조상 수미니아 제트마노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0916
말하면 저는‘ 단궁류’라는 포유류형 파충류로, 포유류는 아니에요. 하지만 단궁류는
훗날
포유류로 진화하는 파충류로, 끝까지 파충류로만 남은 도마뱀이나 공룡과는 다르답니다.파충류라고 다 똑같은 파충류가 아니었군요! 그럼 포유류형 파충류라는 사실을 알 수 있는 특징이 있나요? 몸의 ... ...
Part 2. 달력은 정보의 바다
수학동아
l
200912
우리가 쓰고 있는 연도다.그러나 당시 디오니시스가 사용한 자료는 정확하지 않았고,
훗날
예수의 탄생도 서기 1년이 아니라 그보다 몇년 전인 것으로 드러났다. 크리스마스도 예수의 생일과는 별 관련이 없다고 한다. 12월 25일은 기독교 이전에 태양을 숭배하던 종교의 기념일이었고, 이를 ... ...
광통신 구현한 광섬유 디카의 핵심 CCD
과학동아
l
200911
대안을 제시했다. 당시 기술로는 이런 광섬유를 개발할 수 없었지만 그의 연구성과는
훗날
빛 손실이 적은 광섬유를 개발하는 데 밑거름이 됐다.초고속 인터넷, 고화질 IPTV 구현광섬유는 ‘모재’라고 하는 유리 기둥으로 만들어진다. 이 유리 기둥을 1900℃ 이상으로 가열해 서서히 녹인 뒤 고속으로 ... ...
수학으로 하늘의 뜻을 알다
수학동아
l
200909
칠정산내편과 외편으로 각각 계산한 결과를 비교해 보며 계산이 정확한지를 확인했다.
훗날
칠정산은 오차가 너무 커져 새로운 역법인 시헌력으로 바뀌었지만 150년 동안이나 일식 예측에 사용됐다.일식과 같은 천문 현상을 설명하고 예측하기 위해서는 수학이 꼭 필요하다. 고대 바빌로니아의 ... ...
좌표 위에 선 χ의 변신
수학동아
l
200909
좌표를 개발한 날도 누워서 천장을 쳐다보다가 파리와 운명처럼 만날 수 있었던 거지.
훗날
그는 "명상이 수학과 철학의 기본이 되었다"고 말하기도 했어.약점을 강점으로 만든 데카르트, 정말 대단하지 ... ...
열 오른 지구의 신음을 보라
과학동아
l
200908
황사는 호흡기 질환이나 암의 원인이 됐다.투발루와 히말라야의 하소연기후변화는 먼
훗날
의 이야기나 남의 나라 이야기가 아니다. 우리는 기후변화의 단순한 목격자나 희생자가 아니라 그 사건의 일부이자 원인이다. 지구 전체의 기온이 서서히 올라가고 기후가 변하면서 산업 개발과 전혀 무관한 ... ...
멀티모델앙상블로 날씨 변덕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08
1961년 미국의 기상학자 에드워드 로렌츠가 기상관측을 하다가 생각해낸 나비효과는
훗날
카오스이론의 토대가 됐다.지구온난화로 전 세계 기온이 상승하며 기후가 변하고 있다. 한반도 역시 지난 100년 동안 평균기온이 약 1.7℃ 상승하며 예전과 다른 패턴의 기상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지난 몇 ... ...
수소연료의 실용화 가능성
과학동아
l
200904
조각이 달궈지면서 빛을 냈다. 화학자들은 백금이 촉매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훗날
독일의 화학자 프리츠 하버는 철을 촉매로 암모니아를 합성해 1918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그들은 어떻게 고체가 기체 반응의 촉매가 되는지 몰랐다. 그로부터 89년 뒤인 2007년, 독일 ... ...
이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