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뒷날
내일
앞날
명일
다음날
이튿날
익일
d라이브러리
"
훗날
"(으)로 총 330건 검색되었습니다.
세 쌍둥이 우주망원경
과학동아
l
201210
뒤를 돌아보다 소금기둥이되어 오늘날 사해(혹은 염해)의 기원이 되었다는 것처럼.
훗날
와이어에 대한 보고서를 보면, 적외선검출기의 기능을 보장하는 냉각수가 유실되는 바람에 위성이 기능을 상실하게 되었다고 공식적으로 발표되긴 했다. 정확한 경위야 어떻든, 수백 명이 10년 이상 몸담아 ... ...
꿈과 맞는 진로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207
진로를 잘 결정하고 바르게 커야 사회에도 더 좋기 때문에 그런 거야. 이 때 열심히 해서
훗날
성공하고 친구들도 도우렴.” 상담 선생님은 “너를 먼저 사랑해야 남에게 베풀 수 있다”며 “사소한 일로 너 자신을 뒤로 제치지 말라”는 이야기를 덧붙였다. “어떤 이유 때문이건, 네가 네 꿈을 ... ...
최종 병기 애니멀
과학동아
l
201207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결론을 내리고 곤충을 조종하는 쪽으로 방향을 바꿨다. 그러나
훗날
상어 조종에 성공한다면 해저탐지선에 비해 월등한 효율을 낼 것이다. 상어는 조용하게 움직여 소나의 탐색을 피할 수 있고 물속에서 스스로 에너지를 얻기 때문이다.지능 높은 동물은 훈련으로 ... ...
아이 러브 ♥ 고기
과학동아
l
201207
정도입니다.그런데 팔다리의 뼈나 머리뼈는 매우 단단합니다. 특히 팔다리 뼈는 먼
훗날
무기로도 사용할 정도로 굵고 단단합니다. 이빨로는 이런 뼈를 깰 수 없습니다. 초기 인류는 돌로 뼈를 깨서 골수를 빼먹는 방법을 찾았습니다. 뼈 깨는 돌은 점점 그럴싸 한 모양새를 갖춘 ‘석기’가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06
옳다면 여름날 에어컨이 없이도 방 안이 저절로 시원해질 수 있다(70쪽 박스기사 참고).
훗날
테이트와 맥스웰의 선배이자 저명한 영국 물리학자 윌리엄 톰슨은 이 ‘작은 존재’에게 ‘악마’라는 이름을 붙였다.맥스웰은 48세로 요절하기 전까지 이 작은 악마를 끝내 퇴치하지 못했다. 그러나 마의 ... ...
Part 1. 태양보다 100억 배 무거운 블랙홀 있다!
과학동아
l
201206
우리은하의 중심과 백조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에서 강력한 전파가 나옴을 알 수 있다.
훗날
카시오페이아 자리의 전파원은 초신성의 잔해로 밝혀졌지만 백조자리의 전파원(백조자리 A)은 은하이고 그 중심에는 태양질량의 약 25억 배인 거대질량 블랙홀이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지구에서 6억 광년 ... ...
Part2. 장내미생물, 민감한 면역계 길들인다
과학동아
l
201205
이유가 바로 생활환경이 훨씬 더 위생적이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담겨 있는 논문이다.
훗날
‘위생가설(hygiene hypothesis)’로 불린 이 상식 밖의 주장은 놀랍게도 갈수록 힘을 얻고 있다.그런데 위생가설이 말하는 현상이 왜 나타날까. 한마디로 선진국 아이들은 너무 깨끗한 환경에 살고 있기 때문에 ... ...
아이디어가 번쩍! 수학적인 특허소
수학동아
l
201205
높은 의미를 갖는 톱니바퀴는 바퀴 $\frac{1}{10}$만큼 회전해 계산이 이뤄지는 것이지요.
훗날
곱셈, 나눗셈이 가능한 계산기는 1671년 라이프니츠가 발명했습니다.추시계 발명으로 최초의 특허권 얻은 수학자,크리스티안 하위헌스(1629.4~1695.7)계산기보다 더 중요한 게 시계 아닐까요? 저의 대표적인 ... ...
1880년 헨리 폴즈의 지문에 대한 첫 보고
과학동아
l
201204
나라 사람들 것도 모으고 있는데 인종 분류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쓰고 있다. 그러나
훗날
지문 패턴은 인종과는 상관이 없다는게 밝혀졌다.폴즈의 논문이 나가고 한 달 뒤 네이처에는 윌리엄 허셜이라는 사람이 지문을 서명처럼 쓰는 방법에 대한 논문을 게재했다. 인도(당시 영국령)의 치안관인 ... ...
음악, 수학으로 연주해!
과학동아
l
201204
믿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우리가 인식하는 모든 것을 수로 나타낼 수 있다고 생각했죠.
훗날
플라톤(Platon, ca. 429 ~347 BC)은 소리는 최종적으로 ‘간’에서 듣는다고 생각했답니다. 인체 장기 중 가장 부드러워서 작은 떨림에도 민감한 것을 보고 상상한 것입니다. 또한 그는 피타고라스파의 생각에 ... ...
이전
5
6
7
8
9
10
11
12
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