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뒷날
내일
앞날
명일
다음날
이튿날
익일
d라이브러리
"
훗날
"(으)로 총 330건 검색되었습니다.
동화처럼 읽는 이상한 나라의 아인슈타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3
착실하고 꼼꼼한 성격이었던 그는 수학에도 뛰어나서 늘 내가 공부하는 것을 도와 줬지.
훗날
취리히 연방 공대 교수로 있으면서 나와 함께 일반상대성이론을 만들기 위한 공동 작업을 했단다. 마찬가지로 대학동창이었던 베소는 나의 생각을 가장 잘 이해해 주는 친구였어. 나는 그와 토론하는 ... ...
1905년 11월 1일 날씨맑음
과학동아
l
200512
독려하는 칙령을 내리기도 했다. 같은 날 경성에도 측후지소가 문을 열었는데
훗날
서울측후소의 전신이 된다. 하지만 이들 측후소들은 관측업무만 담당했을 뿐 예보기능은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1907년 4월 1일 마침내 일본은 일본 중앙기상대에 소속된 모든 임시관측소와 대한제국 소속의 모든 ... ...
에너지 독립국가 건설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0511
수 있던 가장 큰 힘은 평생 아들에게 무한한 애정을 쏟아내던 어머니, 그리고 태극기였다.
훗날
장 고문은 자신의 경험을 ‘응용’해 두 딸에게 써먹었다. 딸들이 유학을 떠날 때마다 가방에 몰래 태극기를 넣어둔 것. 나중에 유학생활을 하던 딸의 집에 가보니 벽에 태극기가 걸려 있었다. 태극기 한 ... ...
문학의 강에서 과학을 생각하다
과학동아
l
200509
통해 ‘일본과 만주를 한데 합해 독일과 같은 문명한 연방국을 만들자’고 주장하며
훗날
대동아공영권으로 발전한 일본의 입장을 간접적으로 대변한다. 이 같은 생각 역시 사회진화론을 자연법칙처럼 받아들인 토대 위에서 나올법한 것이다.이에 반해 경쟁을 당연한 것으로 여기되 살아남기 위해 ... ...
2. 무한 복제의 꿈
과학동아
l
200509
얼음 속에 냉동된 매머드에서 DNA를 얻어 복제 매머드를 만드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먼
훗날
에는 복제된 멸종위기 동물로 가득한 ‘복제 동물원’이 등장하지 않을까.그러나 멸종위기 동물 복제에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생명공학감시연대는 8월 4일 논평을 내며 “생태계 파괴로 멸종위기에 ... ...
우주에서 펼쳐진 별들의 판타지
과학동아
l
200507
가능하다고 하더라도 사람을 벨 만큼 강한 힘을 갖겠느냐”고 말했다. 장 교수는 “먼
훗날
새로운 물리 법칙이 발견돼 빛이 앞으로 나갔다가 되돌아오는 식으로 광선검이 나올지 모르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앞으로 50년 안에는 어렵다”고 전망했다.영화야 과학과 상상력이 결합한 것이니 잠깐만 ... ...
가상현실로 정신병 치료
과학동아
l
200506
주된 발병요인”이라고 설명한다.태아기나 초기 유년기에 뇌 발달과정에서 생긴 이상이
훗날
발현하는 생물학적 병이라는 얘기다. 지능이나 교육 수준, 부모의 양육태도, 성격 등은 무관하다는 게 권 교수의 설명이다.정신분열병 치료는 그만큼 어렵다. 지금까지 치료에는 항정신병약물이 주로 ... ...
2030년으로 떠나는 시간여행
과학동아
l
200506
‘우주와 지구’가 각각 22개로 가장 많았다. 100가지 기술 중에는 과학동아 독자들이
훗날
개발할 것도 적지 않을 것이다.순위 ---------- 기술 ---------- 국내 실현 시기1 인공위성 추적 및 감시 기술 실용화 20132 1km 규모 기상관측 위성기술 개발 20143 생물 이용 산림생태계 복구기술 실용화 20154 고에너지 .. ...
"여러분의 꿈을 남극에서 펼치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4
시시하게 보이는 작은 돌멩이라도 모양과 색깔이 모두 다른 것을 보고 호기심이 생겼고,
훗날
암석과 화석을 공부하게 된 계기가 되었죠. 미국의 허먼 멜빌이 쓴 ‘백경’을 읽고 크게 감명 받은 박사님은 미지의 세계를 꿈꾸게 되었어요.박사님과 남극의 인연은 1985년 한국남극관측탐험에 ... ...
냉중성자 연구로 나노혁명 이끈다
과학동아
l
200504
좌초될 뻔했다. 이를 막은 것은 설계자의 ‘선견지명’ 덕이다. 1987년 설계 당시
훗날
냉중성자 이용을 예측한 설계자는 다행히도 설계에 이를 반영했다. 원자로엔 다른 실험장치와 마찬가지로 냉중성자원 설치를 위한 수직구멍과 여분의 부지가 마련됐다. 그러다 1990년대 후반 나노기술과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