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뒷날
내일
앞날
명일
다음날
이튿날
익일
d라이브러리
"
훗날
"(으)로 총 330건 검색되었습니다.
고구려는 독자적 천문학 지닌 한민족 국가
과학동아
l
200409
같은 별자리는 모두 균일하게 그리는 것과 다른 면이다.고구려 천문학의 이같은 특징은
훗날
조선시대에까지 계승됐다. 별그림은 고대국가가 끝나는 수·당시대 이후 무덤을 나와 돌판으로 자리를 옮겨 하늘 전체적인 모습을 묘사하는 방식으로 바뀐다. 이를 석각천문시대라고 하는데 이때도 중국과 ... ...
우주의 '작은 귀신' 태양 같은 별의 최후 모습
과학동아
l
200408
땀이 주르르 흐르게 하는 무더위를 날려버리는데는 시원한 바람도 좋지만 오싹한 귀신 얘기만한 게 없다. 우주에도 귀신이 살고 있을까.여름철 남쪽하늘에서 ‘ ... 자그만 백색왜성은 10억년 동안 서서히 식어갈 것이다. 귀신 얘기처럼 섬뜩하지만 아직 먼
훗날
에 벌어질 사건일 뿐이다 ... ...
05. 자연과 호흡하는 도시생태 복원
과학동아
l
200407
담벽으로 둘러싸인 현대 도시에서 가당키나 한 일일까.하지만 이런 도시의 환경은 먼
훗날
에나 나타날 유토피아의 모습이 아니다. 이미 세계 여러 도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모습이기 때문이다. 국내에서도 서울과 대구, 제주도를 비롯한 일부 도시에서 이같은 움직임이 조심스럽게 시도되고 있다 ... ...
HOT ISSUE 2. 숱한 증명실험 통과한 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200406
뒤엎다’ 는 타이틀로 이 결과를 대서특필했다. 하지만 관측결과는 오차가 상당히 커서
훗날
에딩턴은 수많은 과학자로부터 호된 비판을 받았다.이후 천문관측기술이 발달하면서 별빛이 휘는 현상을 관측한 결과는 상당히 정밀해졌다. 1969-1975년 사이에 전파망원경으로 먼 곳에 떨어져있는 ... ...
아프리카 '루시' 부터 평양 '만달인' 까지
과학동아
l
200405
호모 하빌리스가 대체로 한면을 가공한 둔하고 불규칙적인 석기를 만든 반면 이들은
훗날
석기 주위를 돌아가며 양면으로 가공한 주먹도끼를 만들기 시작했다.“2백50만년 전 석기공작을 올도완 석기문화라고 부르고 1백50만년 전에 등장한 새로운 기법을 아슐리안 석기공작이라고 합니다. 아슐리안 ... ...
손에 들고 쓰는 컴퓨터 태블릿PC
과학동아
l
200404
보기에 배터리 성능도 너무 떨어졌다. 손에 들고 쓰는 컴퓨터란 말도 그저 먼
훗날
얘깃거리처럼 느껴질 뿐이었다. 이처럼 태블릿PC는 2002년 11월 처음 소개됐을 당시 업계의 기대와 다르게 주류에서 멀찍이 밀려나 있었다. PDA나 노트북과의 차이를 알수 없었던 일반인에게 태블릿PC는 또다른 성능좋은 ... ...
사카무라 겐 교수 인터뷰 : "2004년 유비쿼터스가 세상 밖으로 나온다"
과학동아
l
200402
발전 방향과 올해 주목할 만한 것들이 있다면.전시장에 마련된 미래 쇼핑몰은 먼
훗날
의 얘기가 아니다. 지난 한해 동안 인식칩 기술이 비약적인 발전을 이뤄 세상에 나왔다면 앞으로 1년은 인식칩의 상용화가 화두가 될 것이다. 생각대로만 된다면 올해안에 상용화가 가능하리라고 판단된다.또 ... ...
미래 휴대폰을 상상한다
과학동아
l
200312
동안은 거뜬히 버틸 수 있기 때문이다.‘이번 출장도 대만족!’김씨의 출장은 결코 먼
훗날
의 얘기가 아니다. 우리 생활에서 이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필수품이 돼버린 휴대전화. 전화 통화에서 이메일 확인, 음악감상에서 동영상 촬영은 이제 기본이다. TV시청, 위치안내, 지급결제까지 갖가지 ... ...
목성 탐사선 갈릴레오호가 남긴 것
과학동아
l
200311
목성의 대기에 정면 충돌하며 마지막 미션을 마쳤다. 탐사선의 연료가 다됐기 때문에
훗날
통제 불능 상태에 빠져 생명체가 있을지도 모를 유로파에 부딪치는 일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였다.화산 분출물, 남한의 세배 면적 뒤덮어이제 5년이 넘는 동안 갈릴레오가 목성의 인공위성으로서 목성 ... ...
어린 시절 꿈을 간직한 안드로메다은하
과학동아
l
200310
만들고 그녀를 구한다. 안드로메다는 자신을 구한 페르세우스와 결혼해 함께 살았고
훗날
죽은 후 밤하늘의 별자리가 됐다고 한다.가을이 되면 안드로메다자리는 한밤중에 하늘 높이 떠오른다. 안드로메다자리는 페가수스자리의 북동쪽에 위치해 있다. 페가수스 사각형에서 보면 세번째 별인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