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2010 리얼리티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현실과 동등하게 느껴지지 않는 이유는 감각 정보들 간에 불일치하는 부분이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일 것”이라고 설명했다.성균관대 이정모 교수는 “과거에 인간은 호랑이 그림자와 비슷한 것만 보고도 호랑인 줄 알고 도망쳐야 살아 남을 수 있었을 것”이라며 “사람의 인지특성은 체험적으로 ... ...
정자에 관한 색다른 보고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연구팀이 조사한 패충류 화석의 경우는 좀 예외였다. 화석 내부에 부드러운 장기까지
남아
있었던 것이다. 독일 연구팀은 첨단 영상 기술을 동원해 이 패충류의 3차원 모습을 복원했다. 그러자 이 패충류에 자신의 몸보다 긴 슈퍼정자가 2개 들어 있음이 드러났다. 이 패충류는 슈퍼정자를 만들어내기 ... ...
개화유전자 FT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단백질의 이동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로 보인다. 그러나 아직도 해결해야 할 의문이 많이
남아
있다. FT 단백질이 식물의 정단 부위까지 이동하는 것은 분명한데, 이 FT 단백질이 실제 꽃을 피게 만드는 결정적인 원인인지에 대한 답은 아직 없다. 또 이동한 FT 단백질이 어떻게 꽃봉오리까지 개화 ... ...
내 몸 안에 수학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3호
예로부터 키 큰 사람이 공동체를 보호하는 데 많이 기여해 지도자로 생각하는 경향이
남아
있다는 설명이다.이와 함께 키를 크게 하는 운동도 주목받고 있다. 줄넘기나 농구처럼 위아래로 뛰거나, 수영이나 태권도처럼 몸을 쭉쭉 뻗는 운동이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이런 운동은 뼈가 자라는 ... ...
구글어스로 재난 복구 돕고 신종 생물 찾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호주 원주민의 전설 중에 하늘에서 별이 떨어졌다는 이야기를 듣고 혹시 이 증거가
남아
있지 않을지 궁금해졌다. 그는 구글지도로 핀케 국립공원을 둘러보던 중 둥그스름하게 홈이 파 있는 지형을 발견했다. 현장을 방문한 결과 이 구덩이는 크레이터(운석이 떨어지면서 생기는 거대한 구덩이)임이 ... ...
천 년 전 경주의 밤하늘을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신라시대 해시계 파편이 소장돼 있다. 신라에서 물시계를 운영했다는 기록도 삼국사기에
남아
있다. 별자리를 보며 나랏일 점치다 신라 사람들은 별과 행성의 위치, 유성(별똥별)이나 혜성의 출현을 관측해 나랏일을 점쳤다. 이는 국가의 길흉을 점치던 점성술과 관련이 깊다. 별자리 체계를 ... ...
네안데르탈인, 미적 감수성 있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칠해져 있었다. 한편 구멍이 없는 굴 껍데기도 나왔는데, 안쪽에 붉은색과 검은색 안료가
남아
있어 안료 단지로 쓰였던 것으로 보인다.연구자들은 “지금까지 네안데르탈인의 유적에서 이런 상징적인 유물들이 거의 나오지 않은 건 그들이 상징 능력이 떨어져서가 아니라 인구밀도가 낮아 상징적 ... ...
블랙홀을 연료 삼아 우주 여행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암흑물질을 가둘 수 있는 엔진을 만드는 것도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장거리 우주여행에는 미니블랙홀이 제격류 씨가 신개념 우주선을 발표하고 하루 뒤, 미국 캔자스주립대 루이스 크레인 교수와 박사과정생인 숀 웨스트모어랜드 씨는 블랙홀 우주선이라는 또 다른 신개념 ... ...
마음도 음양의 조화가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반동형성이 일어나더라도 원래의 감정이나 충동은 사라지지 않고 무의식 속에
남아
있다. 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반드시 상반되는 두 가지 성질을 갖고 있다. 팽창하려는 성질(이것을 양(陽)이라 하고)과 수축하려는 성질(이것을 음(陰)이라고 한다)이다. 그와 같은 팽창과 수축, 다시 말해 ... ...
천 년을 견디는 종이 ‘한지’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합지를 만들기 때문에 종이가 더욱 질기고 강해진다.이렇게 해서 대나무발 위에 물기가
남아
있는 상태의 종이가 만들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종이는 평평한 곳에 400~500장 정도를 쌓고 무거운 돌을 올려놓아 서서히 물기를 뺀다. 수분이처럼 전통 방식으로 한지를 만드는 과정에는 복잡하고 어려운 ... ...
이전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