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아"(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비한 수 π의 발견수학동아 l2009년 11호
- 계산한 것으로 보인다. 이 값은 그 뒤 1000년 가까이 세계에서 가장 정확한 π값으로 남아 있었다.1596년 독일의 수학자 루돌프 반 쿨렌은 아르키메데스와 같은 방법으로 π값을 계산하는 데 평생을 바쳤다. 무려 320억각형의 둘레 길이를 계산해 소수점 35자리까지 구한 π값을 발표했다. 마지막 숫자 288은 ... ...
- 광통신 구현한 광섬유 디카의 핵심 CCD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처음 광통신을 연구하던 1957년에는 빛 신호가 광섬유를 타고 20m만 가도 처음 신호의 1%만 남아 있을 정도로 전송 효율이 낮았다.가오 박사는 그 원인을 빛이 불투명한 광섬유 자체에 산란되거나 흡수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했다. 그는 1966년 1월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발표하고 광섬유를 순도 높은 투명한 ... ...
- 달 복제토, 제2 남극기지 만드는 극한토목기술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원을 들여 짓는 2번째 남극기지 역시 극한 토목기술의 예라고 덧붙였다. 사실 아직까지 남아 있는 지구의 미개척지 대부분이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극한환경인 셈이다.극한토목기술 개발에는 다른 분야와의 협력도 필수적이다. 복제토만 하더라도 광물학자와 재료공학자의 공동연구가 필수다. 또 ... ...
- 세계적 여자 육상선수 세메냐, 결국 남자?과학동아 l2009년 11호
- 한다.만약 46XY형의 염색체를 가졌는데, 생식샘(고환)에서 발달장애가 일어났다면 남아 있는 생식샘이 악성종양으로 변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를 제거하고 여성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세메냐의 경우처럼 음낭을 갖고 있는 상태에서 수용체 결함이 있다면 고환을 음낭으로 내려서 남성으로 ... ...
- Part 2. 하나를 알면 열을 아는 즐거움!수학동아 l2009년 10호
- 것과는 다르다. 그렇지 않다면 요즘처럼 컴퓨터가 발달한 시대에 수학자라는 직업이 남아 있을 이유가 없다.컴퓨터와 달리 사람은 패턴을 인식하는데 뛰어난 능력이 있다. 따라서 수학을 공부할 때 하나의 문제를 푸는 방법을 익히려고 하는 것보다 일반적인 풀이 방법의 패턴을 익히는 것이 좋다. ... ...
- 3. 교통안전 지킴이수학동아 l2009년 10호
- 3년 교통사고를 줄이기 위해 경찰청의 지시로차도와 인도를 구분하기 시작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안전한 세상을 만드는 수학의 원리. 참 신기하죠? 이 세상은 수학으로 가득 차 있답니다. 오늘 배운 원리들을 가족과 친구에게 전해 보세요. 수학과 함께라면 모두 더욱 안전하게 살 수 있어요 ... ...
- 은빛 비늘에 뒤덮인 두툼한 속살 갈치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아닌 것처럼 보이게 한다. 그물이 아닌 낚시로 잡아 올린 갈치는 아름다운 은빛이 그대로 남아 있어 은갈치라고 불리며 먹갈치보다 훨씬 비싼 값에 거래된다. 갈치의 은빛은 구아닌(guanine)에서 유래한다. 구아닌은 핵산의 일종이며, 사람의 유전물질인 DNA의 재료가 되는 물질이다. 그런데 구아닌의 ... ...
- 지구촌 일일생활권을 꿈꾸며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없어 구조가 간단하다.그러나 이들 엔진이 실용화되기에는 해결해야할 문제점이 아직 남아있다. 우선 유입되는 공기는 엔진 내부를 고속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그 속으로 연료를 투사해 연소시키기가 쉽지 않다. 공기가 너무 빨리 흐르면 미처 연소가 일어나지 않은 상태에서 공기가 뒤로 빠져버리기 ... ...
- 5+1이 좋을까, 20%할인이 좋을까?수학동아 l2009년 10호
- 장기적인 측면에서 보면 판매 부진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습니다. 물론 팔지 못하고 남아 있는 물건을 처리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할인판매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끼워팔기는 좋기만 할까?끼워팔기를 하는 업체들이 과연 손해를 볼 것인지, 이득을 볼 것인지에 대한 해답은 끼워팔기에 숨겨진 ... ...
- 세계 최대 익룡발자국 국내서 발견!과학동아 l2009년 10호
- 4족 보행을 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이 가운데 7.3m에 이르는 가장 긴 단일 보행열이 남아 있는데, 이 발자국을 남긴 익룡은 ‘해남이크누스 우항리엔시스(Haenamichnus uhangriensis)’라고 2002년 공식적으로 명명됐다. 그 뒤 경남 사천시 서포면, 하동군 금성면, 거제시 남부면 갈곶리에서도 익룡 발자국 ... ...
이전1701711721731741751761771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