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음도 음양의 조화가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반동형성이 일어나더라도 원래의 감정이나 충동은 사라지지 않고 무의식 속에
남아
있다. 자연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반드시 상반되는 두 가지 성질을 갖고 있다. 팽창하려는 성질(이것을 양(陽)이라 하고)과 수축하려는 성질(이것을 음(陰)이라고 한다)이다. 그와 같은 팽창과 수축, 다시 말해 ... ...
유해균까지 감싸 안는 장의 고차원 전략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장내 면역계를 안정화시키는 여러 메커니즘을 밝혀냈지만 아직도 연구할 분야가 많이
남아
있다. 왜 장 속에 공생균이 있어야 하는지, 어떻게 공생균은 장의 면역체계를 피하고 장에서 함께 살아가는지, 세균을 어떻게 인지해 선택적으로 반응하는지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다.하은미 박사는 “이에 ... ...
네안데르탈인, 미적 감수성 있었다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칠해져 있었다. 한편 구멍이 없는 굴 껍데기도 나왔는데, 안쪽에 붉은색과 검은색 안료가
남아
있어 안료 단지로 쓰였던 것으로 보인다.연구자들은 “지금까지 네안데르탈인의 유적에서 이런 상징적인 유물들이 거의 나오지 않은 건 그들이 상징 능력이 떨어져서가 아니라 인구밀도가 낮아 상징적 ... ...
태양보다 200배 큰 별 폭발 장면 잡았다 !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우주에 비하면 금속 함량 여전히 많아지난 수십 년 동안 빅뱅우주진화이론의 수수께끼로
남아
있던 쌍불안정성 초신성의 존재가 관측에 의해 최초로 확인됐다. 이런 사실은 갈-얌 박사팀이 초신성 2007bi의 관측 자료를 분석한 결과 폭발 직전 핵의 질량이 태양의 100여 배로 해석됐기 때문이다. ... ...
특명! 사라진 생물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0년 전 멸종된 쇼트페이스 불곰이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공룡은 유전 정보가 충분히
남아
있지 않아 복원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포함되지 않았다.➊ 네안데르탈인(멸종 2만 5000년 전)➋ 세이버투스(멸종 1만 년 전)➌ 쇼트페이스 불곰(멸종 1만 1000년 전)➍ 태즈메이니아 호랑이(멸종 1936년)➎ ... ...
최강! 로봇 원정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조종 방법을 모두 배운 주연이와 용진이. 하지만 로봇 조종사가 되기 위한 마지막 관문이
남아
있었어요. 바로 ‘러시&벨’ 테스트! ‘러시&벨’ 테스트는 두 팀이 각자의 로봇을 조종해서 장애물을 넘고, 무대 중앙의 종이 있는 곳까지 가서 로봇 펀치로 종을 울리는 경기예요. 먼저 종을 울리는 팀이 ... ...
달리는 인간형 로봇 휴보2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정말로 세계에서 2번째로 달린 로봇은 2008년 3월 개발된 KHR-2가 아닐까.아직 숙제는
남아
있었다. KHR-2의 달리기 기능을 휴보2에 이식해야 했다. 그리고 구현된 달리기 기능을 좀 더 안정적으로 가다듬어야 했다.연구팀은 아예 달리기 기능 개발용으로 휴보2를 한 대 더 만들었다. 모든 기능을 ... ...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만들어지는지는 아직 밝혀내지 못했다. 또 역고드름을 왜 보기 힘든지도 의문으로
남아
있다. 사실 이 점은 역고드름 연구 자체의 걸림돌이다. 역고드름이 생성되는 과정을 밝혀내려면 직접 생성 환경을 관찰해야 하지만 일상에서 쉽지는 않다.과학자들은 대신 역고드름을 실험실에서 만들어 보기로 ... ...
호랑이, 넌 누구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중국에는 호랑이를 좁은 공간에 가두고 사육하는 ‘비인간적인’ 호랑이 농장도 아직
남아
있다. 호랑이의 해를 맞아 ‘호랑이가 행복해질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볼 때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반도 호랑이 복원 프로젝트호랑이, 넌 누구냐호랑이는 왜 가로줄무늬를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필요한 만큼만 물품을 골랐다. 항상 필요한 만큼만 자연에서 얻어온 생활방식이 아직도
남아
있는 듯 보였다. 문득 ‘총균쇠’의 저자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말이 떠올랐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인간사회의 대륙 간 불균형에 대한 이론들을 검증하는 결정적인 판단 기준이 된다. 이곳의 환경은 가장 ... ...
이전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