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호랑이, 넌 누구냐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중국에는 호랑이를 좁은 공간에 가두고 사육하는 ‘비인간적인’ 호랑이 농장도 아직
남아
있다. 호랑이의 해를 맞아 ‘호랑이가 행복해질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볼 때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한반도 호랑이 복원 프로젝트호랑이, 넌 누구냐호랑이는 왜 가로줄무늬를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필요한 만큼만 물품을 골랐다. 항상 필요한 만큼만 자연에서 얻어온 생활방식이 아직도
남아
있는 듯 보였다. 문득 ‘총균쇠’의 저자 제레드 다이아몬드의 말이 떠올랐다. “오스트레일리아는 인간사회의 대륙 간 불균형에 대한 이론들을 검증하는 결정적인 판단 기준이 된다. 이곳의 환경은 가장 ... ...
달리는 인간형 로봇 휴보2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정말로 세계에서 2번째로 달린 로봇은 2008년 3월 개발된 KHR-2가 아닐까.아직 숙제는
남아
있었다. KHR-2의 달리기 기능을 휴보2에 이식해야 했다. 그리고 구현된 달리기 기능을 좀 더 안정적으로 가다듬어야 했다.연구팀은 아예 달리기 기능 개발용으로 휴보2를 한 대 더 만들었다. 모든 기능을 ... ...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만들어지는지는 아직 밝혀내지 못했다. 또 역고드름을 왜 보기 힘든지도 의문으로
남아
있다. 사실 이 점은 역고드름 연구 자체의 걸림돌이다. 역고드름이 생성되는 과정을 밝혀내려면 직접 생성 환경을 관찰해야 하지만 일상에서 쉽지는 않다.과학자들은 대신 역고드름을 실험실에서 만들어 보기로 ... ...
아귀 땀 뻘뻘 흘리며 먹는 한겨울 제맛 아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그중에서도 오래된 술집이 즐비한 오동동 네거리 일대는 지금까지도 아귀찜의 중심지로
남아
있다. 이태원 교사는 서울대 대학원에서 세포생물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우리나라 전통 문헌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조선 후기 학자 정약전의 어류학서 ‘자산어보’를 ... ...
미래 기후 예측 빙하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6호
있어요. 사람에게 뼈가 있듯이 조개와 게 등의 단단한 부분이 오랜 세월이 지난 뒤에도
남아
있는 거지요. 그 주요 성분이 바로 탄산칼슘(CaCO₃)이랍니다. 탄산칼슘은 바닷물에 녹아 있던 이산화탄소와 산소, 칼슘이 만나서 만들어진 거예요. 그런데 대기와 바다는 서로 상호작용하기 때문에 바다에 ... ...
다윈은 아르헨티나에서 무엇을 보았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탐사하기 위해 찾아간 콜로니아 요새에는 번개에 맞아 무너진 건물의 흔적이 아직도
남아
있다. 다윈은 번개에 맞은 건물을 직접 찾아가 보고 기록을 남겼다 ... ...
꽃매미를 추적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3호
유명한 녀석일세. 이 종이 우리나라에도 있었다면 최소 조선시대부터라도 문헌에 기록이
남아
있어야 하네.지구온난화로 환경이 변했기 때문에 최근에 나타났을 가능성도 있지 않은가?꽃매미는 중국에서도 거의 전역에 분포하는 종일세. 이 말은 따뜻한 남쪽에만 살고 있는 종류가 아니라는 걸세. ... ...
Part 2. 통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09년 12호
바라셨지. 그래서 딸보다 아들이 수학을 못 할 때 더 많은 걱정을 하신대. 이런 생각이
남아
있는 한 여자가 수학과 친해지기 어려운데도 말이야. 다른 어떤 것보다 학생에겐 선생님이 가장 중요해. 남자가 여자보다 원래부터 수학을 잘 한다고 생각하는 선생님이 있다면 여학생은 수학에 대한 ... ...
대변의 솔직한 자기소개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뒤, 5일이 지나면 복부를 X선으로 찍는단다. 방사선 비투과성 표지자가 20%(4개) 미만이
남아
있어야 내가 제때에 집에서 독립한다고 판독한다.고마운 존재나를 키운 건 8할이 장내세균이다. 우리 집에서 함께 살고 있는데, 그들은 식구가 많아 언제나 득실득실 붐빈다. 약 10조~100조 마리가 있으며 400여 ... ...
이전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