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과학글쓰기의 현주소를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아직까지도 이공계인에게는 실험이나 연구가 글쓰기보다 더 중요하다는 인식이
남아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이러한 사회 분위기에서는 과학글쓰기 문화가 정착할 수 없다. 외국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별도의 과정을 만들어 과학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는 ‘과학 커뮤니케이터’라는 ... ...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대안은?사전 취재로 찾았던 남한강에는 낙동강 못지않게 맑고 아름다운 모래톱과 습지가
남아
있었다. 서울에서 보는 콘크리트 제방과 직선화된 물줄기가 한강의 전부가 아니었던 것이다. 오늘날의 한강은 1986년 끝난 한강종합개발사업의 결과다.모래를 파낸 뒤 강 주변을 직선으로 정리해 ... ...
연세대 수시의 핵, 논술 만점 비법 추론과 글쓰기 집중 훈련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1차로 옮겨오면서 구술시험이 논술시험으로 대체됐다. 하지만 여전히 구술시험의 특징이
남아
있어 통합과학적인 소재를 대상으로 짧은 제시문과 함께 단일 과목에 대한 배경지식 중심의 심층적 문제가 제시됐다. 2011학년도 역시 논술시험에 변화가 예측되고 있다. 연세대 입학 설명회에 따르면 ... ...
Text Messaging To Be Self-destructed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스파이에게 문자 메시지를 보낸다고 가정할 때, 그가 지정한 기간 동안만 메시지가
남아
있게 된다. 1분에서 5일 사이로 지정할 수 있는 그 시간이 지나면, 메시지는 자동으로 삭제된다. 그 메시지는 스파이의 휴대전화에서도 지워지고 보낸 사람의 휴대전화에서도 지워진다. 프로그램 개발자에 ... ...
사건파일 2 도둑의 발자국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더 이상 자라지 않는다.도둑의 움직임 추적하기 발자국에는 도둑의 움직임이 그대로
남아
있어. 발자국을 연구해서 공룡의 움직임을 파악하려는 학자들도 있지. 앞서 발자국의 크기만으로 공룡의 크기를 정확하게는 알 수 없다고 했잖아. 그래도 학자들은 통계적인 방법을 통해 다리 길이를 ... ...
허풍의 그리스식 웨딩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헤라의 위엄은 온데간데없고 말이죠.”“기원전 6세기경에 지어진 건물이니 이 정도
남아
있는 것도 대단하지. 그 동안 얼마나 많은 싸움이 있었겠니. 이 앞은 4년마다 열리는 올림픽 성화를 붙이는 곳으로도 유명하단다.”“우와~. 선생님, 저 몰래 공부하세요? 요즘 부쩍 박식해지신 것 같아요 ... ...
꿀벌보다 못한 인간의 선거방식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걸 알면서도 왜 이런 반응을 보이는 걸까. 토도로브 교수는 우리에게 원시시대의 버릇이
남아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낯선 사람을 만났을 때 순식간에 그 사람이 나에게 이로울지 해가 될지를 판단해야 했던 습관이 지금까지 이어져 내려온다는 뜻이다.외모만으로 평가한 결과와 실제 선거 ... ...
펠리노의 정체를 찾아서~ 안데스 잉카 문명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서로 이어지지 않았다는 안타까운 사실을 깨달을 수 있었어요. 쿠스코까지 여행한 뒤,
남아
메리카에서 가장 물이 많이 저장된 호수인 티티카카 호와 페루의 수도 리마를 거쳐서 우리나라에 돌아왔어요. 힘든 여행이었지만, 안데스의 고대 문화를 느낄 수 있었던 귀중한 기회였답니다 ... ...
효소라는 ‘핑킹가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아직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어 앞으로 해야 할 일이 많이
남아
있다.졸업 후 필자가 하고 싶은 일은 기존 화학 공정에 효소를 이용한 공정을 추가하거나 대체해 최적화된 공정을 만드는 일이다. 장차 인류의 에너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고자 효소를 이용한 효율적인 바이오 ... ...
어느 6 · 25 참전군인의 60년 만의 귀향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남아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 가운데 6만 명은 비무장지대(DMZ)나 북한 지역에
남아
있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한국전에 참전한 미군 전사자도 8000명 이상 고국으로 돌아가지 못했다. 여기에 북한군과 중공군, 민간인 전쟁 피해자를 포함하면 그 수는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아직은 인력과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