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대안은?사전 취재로 찾았던 남한강에는 낙동강 못지않게 맑고 아름다운 모래톱과 습지가
남아
있었다. 서울에서 보는 콘크리트 제방과 직선화된 물줄기가 한강의 전부가 아니었던 것이다. 오늘날의 한강은 1986년 끝난 한강종합개발사업의 결과다.모래를 파낸 뒤 강 주변을 직선으로 정리해 ... ...
좋은 곳 어디에나 함께해 줘~!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친근한 7을 느낄 수 있었다. 미처 다 살피지 못한 7은 생활 구석구석에 행복한 수로
남아
있다.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로는 부산에서 출발해 동해안을 따라 올라가는 길이다. 이 도로의 이름은 바로 7번국도. 우연인지 몰라도 참으로 멋진 이름이 붙었다. 7번 국도와 반대로부산에서 남해와 ... ...
국내 과학글쓰기의 현주소를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아직까지도 이공계인에게는 실험이나 연구가 글쓰기보다 더 중요하다는 인식이
남아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이러한 사회 분위기에서는 과학글쓰기 문화가 정착할 수 없다. 외국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별도의 과정을 만들어 과학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는 ‘과학 커뮤니케이터’라는 ... ...
독 있는 타란툴라, 길이 4m 보아 뱀, 애완동물로 어떠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않는다”고 말했다. 그는 “큰 뱀일수록 먹이를 조이는 힘이 강하고, 야생적 습성이
남아
있기 때문에 살아 있는 먹이보다는 죽어있는 먹이(냉동 쥐)를 줘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런데 해외 뉴스에서는 가끔 애완용 보아 뱀이 아기를 삼켰다는 엽기적인 뉴스가 보도된다. 대단한 ‘강심장’이 아닌 ... ...
효소라는 ‘핑킹가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아직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어 앞으로 해야 할 일이 많이
남아
있다.졸업 후 필자가 하고 싶은 일은 기존 화학 공정에 효소를 이용한 공정을 추가하거나 대체해 최적화된 공정을 만드는 일이다. 장차 인류의 에너지 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고자 효소를 이용한 효율적인 바이오 ... ...
펠리노의 정체를 찾아서~ 안데스 잉카 문명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서로 이어지지 않았다는 안타까운 사실을 깨달을 수 있었어요. 쿠스코까지 여행한 뒤,
남아
메리카에서 가장 물이 많이 저장된 호수인 티티카카 호와 페루의 수도 리마를 거쳐서 우리나라에 돌아왔어요. 힘든 여행이었지만, 안데스의 고대 문화를 느낄 수 있었던 귀중한 기회였답니다 ... ...
날갯짓 하는 로봇새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때문이다. 하지만 비행체 무게 이외의 추가적인 무게를 감당하는 게 아직까지는 과제로
남아
있다.그는 “새가 먹이를 낚아채면 먹이가 새 전체 무게의 20~30%에 달해도 상황에 맞게 비행모드를 바꿔서 날 수 있다. 박쥐도 마찬가지다. 임신을 해서 새끼가 뱃속에 있어도 여전히 잘 날고 있다”고 ... ...
리더십은 봉사활동으로 드러난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재미있고 도움도 많이 되는 것 같아요.” “책은 어떤 책을 읽었니? 독서기록장에 기록이
남아
있니?” O학생은 원자물리학을 공부하고 싶은 마음이 들게 한 ‘부분과 전체’ 외에도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와 같은 과학 추천도서를 여러 권 읽었다고 한다. “책을 읽고 너에게 어떤 변화가 ... ...
사건파일 2 도둑의 발자국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더 이상 자라지 않는다.도둑의 움직임 추적하기 발자국에는 도둑의 움직임이 그대로
남아
있어. 발자국을 연구해서 공룡의 움직임을 파악하려는 학자들도 있지. 앞서 발자국의 크기만으로 공룡의 크기를 정확하게는 알 수 없다고 했잖아. 그래도 학자들은 통계적인 방법을 통해 다리 길이를 ... ...
허풍의 그리스식 웨딩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헤라의 위엄은 온데간데없고 말이죠.”“기원전 6세기경에 지어진 건물이니 이 정도
남아
있는 것도 대단하지. 그 동안 얼마나 많은 싸움이 있었겠니. 이 앞은 4년마다 열리는 올림픽 성화를 붙이는 곳으로도 유명하단다.”“우와~. 선생님, 저 몰래 공부하세요? 요즘 부쩍 박식해지신 것 같아요 ... ...
이전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1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