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별의 죽음을 밝혀 낸 과학자 찬드라세카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1000만℃가 안 되면 핵융합 반응을 하는 별이 되지 못하고 그냥 뜨거운 가스 덩어리로
남아
천천히 식는다. 이런 천체를 갈색 왜성(brown dwarf)이라고 하는데 태양계의 목성이 좋은 예다.가스 덩어리의 중심부 온도가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는 1000만℃보다 높으려면 질량이 태양의 0.08배보다 커야 한다. ... ...
‘바이러스’의 두 가지 정의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학생이 세미나실에 도착했을 때, 3자리 이상이
남아
있는 테이블이 없다면 3명의 학생은
남아
있는 자리 중 한 자리 색을 임의로 선택해서 앉는다. 물론 어떤 2명은 같은 테이블에 앉을 수도 있다. [전문가 클리닉] 주어진 문제를 잘 해결하기 위해서는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에 대한 시나리오를 ... ...
3D 기술로 살아난 백제의 혼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거대 도시 로마의 모습을 충실하게 전달했다.‘문화재 디지털 복원’이란 현재
남아
있는 정보를 최대한 활용해 과거의 도시, 문화재 등을 3차원 입체영상으로 복원해 내는 일이다. 작은 소품 하나에서부터 크게는 도시 하나를 완벽하게 재현하기도 한다.이런 복원기술을 이용하면 이미 사라져 버린 ... ...
‘곰보 자국’이 달 과거 알려줄까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지역과 남반구 중앙 지역에는 비교적 오래된 크레이터들이 ‘거의 지워지지 않고’
남아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 크레이터들은 다른 지역의 것과 비교해 비교적 컸다. 연구팀은 “수십억 년 전에는 큰 유성이 많이 충돌했으나, 약 38억 년 전부터는 작은 유성이 많이 충돌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 ...
미션! 이상한 공장에서 고양이를 구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가려지지 않은 부분이 계속 바뀌며 나타난다. 그런데 우리 눈은 먼저 본 그림의 잔상이
남아
있어 연결된 동작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이처럼 줄무늬가 있는 그림 위에서 줄무늬 필름을 움직이면 일렁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무아레’라고 한다. 애니메이션이나전광판도 같은 원리! Stage 4 ... ...
자물쇠 속 수학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지금으로부터 약 4000년 전 고대 이집트에서 자물쇠의 흔적이 처음 발견됐다.기록에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자물쇠는 잠금목이다. 잠금목은 이집트 사원의 벽화에도 잘 나타나 있다. 이는 나무에 홈을 파 빗장을 끼운 다음, 그 위에 몇 개의 구멍을 뚫어 딱 맞는 나무 핀을 꽂아 고정한다. 자물쇠를 열 ... ...
감쪽같은 소금 흉내로 뇌 속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즐거움을 느끼도록 유전정보가 저장돼 있다. 이미 먹어봤던 음식에 대한 기억이
남아
있어 그 음식을 입에 넣었을 때나 냄새를 맡았을 때 침이 혀에 저절로 고이는 경험은 누구나 해봤을 것이다.맛을 내는 물질은 침이나 물에 녹아 분자 또는 이온의 형태로 분해된다. 혀에 오돌토돌하게 나 있는 미뢰 ... ...
퍼레이드의 여왕과 함께 놀이동산으로 고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여왕님!호호호~, 뭐 이 정도를 가지고. 그런데 벌써 가려고? 가지 마~. 아직숨겨진 과학이
남아
있다구~!그게 뭔가요?예를 들자면…, 솜사탕! 솜사탕이 왜 사르르~, 녹는지 궁금하지 않니? 솜사탕은 설탕을 녹여 액체 상태를 만든 뒤, 아주 가는 구멍으로 길게 뽑아 내서 만들어. 가는 실 상태가 된 액체 ... ...
조선왕조 500년의 상징 광화문의 귀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합쳐 현판 글씨를 복원해 냈다”고 설명했다.공사 대부분이 끝났지만 아직 숙제는
남아
있다. 경복궁과 연결되는 망루인 동십자각 주변의 궁장(성벽 등)을 설치하고 복원된 경복궁 지역의 하수도 시설을 정비하는 공사는 연말까지 계속 진행할 예정이다.복원된 광화문이 8월 15일 처음 공개되자 ... ...
클럭에 매달린 프로세서에는 미래가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인터페이스(API)을 이용해 프로그램을 짠다는 것이 매우 난해해 소수 사람들의 전유물로
남아
있을 가능성도 높다. 다만 지금까지 GPU가 발전한 추이를 살펴보면 그래픽이란 특수 목적 프로세서에서 점점 범용으로 진화하고 있는 것만은 틀림없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클럭에 매달린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