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특명 사라진 가을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7호
”텃새가 돼버린 철새들한국에서 따뜻한 여름을 보내고 쌀쌀해지면 한국을 떠나 동
남아
시아에서 겨울을 나는 새는 백로 뿐만이 아냐. 내 친구 왜가리도 있단다. 하지만 요즘 우리들은 가을과 겨울에도 한국을 떠나지 않아. 왜냐고? 먹이가 많아졌거든~. 우리 철새들이 먼 길을 떠나는 가장 큰 이유는 ... ...
해양 생물의 낙원 츄라우미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가장 큰 물고기지요. 하지만 국제자연보호연맹이 취약종으로 분류할 정도로 이제 얼마
남아
있지 않아요. 아직 과학자들도 고래상어의 생태에 대해서는 아는 게 별로 없어요. 그래서 이렇게가까이에서 연구도 하고 또 보호하기 위해서 대형 수조를 만들어서 사육하고 있답니다. 특히 연구팀은 이 ... ...
곰팡이에 대한 오해와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지구에 살고 있는 모든 생명체는 결국 죽게 돼. 그런데 이 생명체들이 분해되지 않고
남아
있다면 지구는 죽은 생물과 배설물로 뒤덮일 거야. 상상만 해도 끔찍하지?물론 작은 곤충이나 세균들도 우리와 비슷한 일을 해. 하지만 우리 곰팡이들은 곤충이나 세균 친구들이 분해하지 못하는 생물도 ... ...
에디슨의 유령탐지기를 찾아라 !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게 하는 기계야. 눈앞에서 사라진 물체가 약 0.1초 동안 망막에
남아
있는 잔상효과를 이용한 거지. 우리가 지금 보는 영화도 같은 원리란다. ▲ 에디슨이 만든 영사기는 오늘날 영화의 원리와 같은 잔상효과를 이용했다.김현우 기자 : 음…, 에디슨의 발명품들을 보니 ... ...
특종! 고슴도치 섬에 우주인이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만나 이야기를 들려 주고 가셨어. 고산 형이 들려 준 이야기가 아직도 내 마음에 깊이
남아
있단다. 고산 형은 꿈을 위해 적극적으로 도전하라고 말했어. 도전하지 않으면 아무 꿈도 이룰 수 없다고 말이야. 내 꿈은 멋진 광고를 만드는 거야! 고산 형 말처럼 꿈을 위해 꾸준히 도전해서 꼭 이루고 말 ... ...
Part 2.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안 돼유용상 위원장은 “한의학은 현대과학과 연관성이 없다”며 “한의학이 아직까지
남아
있는 이유는 인문학적으로 연구해야 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한의학은 과학적인 이론으로 정립돼 있지 않기 때문에 결과를 보고 자의적으로만 해석할 뿐 예후를 예측하지 못한다는 것이 의사들의 ... ...
전기 만드는 벌집 구조 창문 생길까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풀러렌의 경계층에 마이크론 크기의 물방울을 흘렸더니 물방울이 증발한 폴리머만
남아
벌집 모양의 반복적인 패턴이 형성됐다. 리머가 비교적 높은 밀도로 응집해 있는 가장자리는 광자를 흡수하고 전하가 흐르는 성질이 어났다. 반면 중앙부는 이런 성질이 떨어지는 대신 폴리머의 응집 비율이 ... ...
향기가 퍼져나가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일부는 지구시스템공학이라는 과학의 한 부분으로 자리잡았다. 아직 논란의 여지는
남아
있지만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서 이 이론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가이아 이론에서 가이아(지구)는 지구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고 한다. 이와 관련해서 다음 문제를 풀어보자. 1) ... ...
외골격 로봇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실제로 외골격 로봇이 일부 도입될 전망이다.그러나 아직 해결하지 못한 큰 문제가
남아
있다. 바로 동력 확보다. 생기원의 하이퍼는 6시간 이상 움직일 수 있지만 하루종일 야외 활동을 하기엔 아직 부족하다. 헐크는 최대 12시간가량 움직일 수 있다. 실제 전장에 투입되기 위해서 메탄올이나 수소 ... ...
Part 2. 멸종의 시계를 멈춰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수는 없는 걸까. 다행히 황새는 한반도뿐만 아니라 러시아와 중국, 일본의 습지에 아직
남아
있었다. 2년 뒤인 1996년, 한국교원대 황새복원센터는 한반도에서 사라진 황새를 복원하기로 하고 러시아에서 야생황새를 들여와 인공번식을 시도했다.처음에는 번식이 쉽지 않았다. 가까운 사육장에서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