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life & tech] 세척사과 정말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미생물, 공기 중 산소 등에 의해 자연적으로 분해되기 때문이다. 0.9%에 불과한, 농약이
남아
있는 농산물도 크게 염려할 필요는 없다. 수돗물에 담가두었다가 흐르는 물에 씻는 것만으로도 남은 농약을 깨끗이 제거할 수 있다.오히려 농약보다 미생물이 문제다. 대부분의 식품은 조리하는 중에 열로 ... ...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자료다. 방대한 디지털 자료 속에는 사람들의 웹 속 행적인 ‘디지털 로그’가 고스란히
남아
있다. 김승환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는 “특히 소셜네트워크서비스는 거대한 가상 실험실”이라고 말했다. 데이터 과학자들이 인터넷 속의 데이터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다.미래를 예측하는 일은 아직 꿈 ... ...
Part 3. 백신 접종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뜻이다. 그러나 현재 걷잡을 수 없이 번지는 구제역에 살처분 정책을 고집했다가는
남아
나는 가축이 없을 지경이다. 정책 전환이 불가피했던 셈이다. 그러나 백신을 쓰게 되면 당장은 위기를 넘길 수 있지만 구제역 청정국 지위를 회복하는 길고 지난한 과정이 남는다. 왜 그럴까.국제수역사무국(OIE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기술을 최대한 활용한다면 아쉬운 대로 스텔스기로 ‘변신’ 할 수 있는 기회는
남아
있는 셈이다. 실제로 일반 전투기를 스텔스 전투기로 개조한 적도 있다. 미국 보잉사는 F-22가 등장하기 전까진 세계 최강 자리를 고수하던 F-15 전투기를 개조해 스텔스 기능을 추가한 ‘F-15SE 사일런스이글’의 ... ...
올 여름엔 김떡과 아이스떡볶이 맛볼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굳지 않는 떡이 수분을 잡아두기 때문이에요. 시간이 지나도 떡에 촉촉한 기운이 계속
남아
있기 때문에 굳지 않는 셈이죠. 그래서 녹을 때도 수증기가 날아가지 않습니다.”떡이 어떻게 수증기가 날아가지 않게 한다는 걸까. 한 박사는 일반 떡과 굳지 않는 떡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을 ... ...
진공에서도 식물은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진공에 가깝게 만들어 30분 간 지속시켰다. 22℃였던 온도는 16℃까지 떨어졌다. 그나마
남아
있는 공기의 대부분은 수증기였다. 다시 기압을 정상으로 되돌리자 모든 식물은 정상적으로 자라기 시작했고, 일주일 후 수확할 때까지 눈에 띄는 이상이 없었다. 이 실험은 우주공간에서 진공상태에 식물이 ... ...
수학으로 푼 석회암 동굴 비밀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그런데 이렇게 긴 동굴이 생기려면 꽤 빨리 석회암을 녹여야 하는데, 이것은 의문으로
남아
있었다.폴란드 바르샤바대학의 물리학자 피오르드 스짐스자크는 탄산수가 석회암을 녹이며 구멍을 만들 때 생기는 불안정을 설명하는 새 방정식을 만들어 ‘지구와 행성과학’에 최근 발표했다. ... ...
비상! 슈퍼박테리아 한국 상륙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쓰면 병원균을 모두 사멸할 때까지 사용해야지, 중단하거나 너무 적은 양을 복용하면
남아
있는 균들에 의해 내성이 생긴다”고 말했다.병원에서는 수술기구를 소독하고 손을 씻는 등 위생관리에 철저해야한다. 일본의 한 병원에서만 9명이 다제내성균에 감염돼 사망한 것은 감염 자체가 아니라 ... ...
아라온 호 '남극 200일'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것은 한번 쌓인 눈이 녹지 않고 쌓인다는 뜻이다. 눈 속에는 당시의 공기가 기포로
남아
있다. 물속에 쌓인 퇴적물에는 기후 변화에 따른 변화가 나이테처럼 기록된다.아라온 호는 극지의 빙하와 퇴적물 연구에 큰 도움이 되고 있다. 아라온 호에 탑재된 시추기 덕분이다. 10m 깊이의 퇴적물을 시추할 ... ...
하메드의 정체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39더군요. 저기 자료 더미에서 39라고 적힌 종이를 찾아보니 세계지도였어요. 이 지도에는
남아
프리카공화국의 프리토리아에 동그라미 표시가 돼 있었죠.”“그래, 그래서?”“그리고 거울. 거울에 나타난 물체는 실제 물체와 좌우가 바뀌는 특징이 있죠. 따라서 이 지도에 표시된 프리토리아와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