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혜초 따라 실크로드 걷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국립중앙박물관의 ‘실크로드와 둔황’ 특별전에 전시돼 있다. 앞뒤가 잘려 일부만이
남아
있지만 글을 읽을 수 있을 만큼 잘 보존돼 있다. 혜초의 육신은 타향에 묻혔지만 그의 영혼은 약 1300년 만에 이렇게 다시 고향 땅을 밟았다. 실크로드 여행 중 만난 혜초혜초는 무슨 이유로 그 먼 길을 ... ...
Part 1. 데이터 과학, '소셜'을 분석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자료다. 방대한 디지털 자료 속에는 사람들의 웹 속 행적인 ‘디지털 로그’가 고스란히
남아
있다. 김승환 포스텍 물리학과 교수는 “특히 소셜네트워크서비스는 거대한 가상 실험실”이라고 말했다. 데이터 과학자들이 인터넷 속의 데이터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다.미래를 예측하는 일은 아직 꿈 ... ...
진공에서도 식물은 살아남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진공에 가깝게 만들어 30분 간 지속시켰다. 22℃였던 온도는 16℃까지 떨어졌다. 그나마
남아
있는 공기의 대부분은 수증기였다. 다시 기압을 정상으로 되돌리자 모든 식물은 정상적으로 자라기 시작했고, 일주일 후 수확할 때까지 눈에 띄는 이상이 없었다. 이 실험은 우주공간에서 진공상태에 식물이 ... ...
Part2. 지구 살리는 13가지 방법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예를 들어 대류권에서 올라온 황화카르보닐 같은 기체는 안정한 성층권에서 오랫동안
남아
있다.지구공학으로 사용하려면 전문가들은 연간 100만~500만t의 황을 뿌려야 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이 정도면 매년 비행기가 내뿜는 양의 10분의 1 수준이다. 하지만 황산의 효과는 단 몇 년 동안만 ... ...
보이지 않는 하늘의 제왕 스텔스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기술을 최대한 활용한다면 아쉬운 대로 스텔스기로 ‘변신’ 할 수 있는 기회는
남아
있는 셈이다. 실제로 일반 전투기를 스텔스 전투기로 개조한 적도 있다. 미국 보잉사는 F-22가 등장하기 전까진 세계 최강 자리를 고수하던 F-15 전투기를 개조해 스텔스 기능을 추가한 ‘F-15SE 사일런스이글’의 ... ...
올 여름엔 김떡과 아이스떡볶이 맛볼까
과학동아
l
2011년 02호
“굳지 않는 떡이 수분을 잡아두기 때문이에요. 시간이 지나도 떡에 촉촉한 기운이 계속
남아
있기 때문에 굳지 않는 셈이죠. 그래서 녹을 때도 수증기가 날아가지 않습니다.”떡이 어떻게 수증기가 날아가지 않게 한다는 걸까. 한 박사는 일반 떡과 굳지 않는 떡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을 ... ...
수학으로 푼 석회암 동굴 비밀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그런데 이렇게 긴 동굴이 생기려면 꽤 빨리 석회암을 녹여야 하는데, 이것은 의문으로
남아
있었다.폴란드 바르샤바대학의 물리학자 피오르드 스짐스자크는 탄산수가 석회암을 녹이며 구멍을 만들 때 생기는 불안정을 설명하는 새 방정식을 만들어 ‘지구와 행성과학’에 최근 발표했다. ... ...
비상! 슈퍼박테리아 한국 상륙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쓰면 병원균을 모두 사멸할 때까지 사용해야지, 중단하거나 너무 적은 양을 복용하면
남아
있는 균들에 의해 내성이 생긴다”고 말했다.병원에서는 수술기구를 소독하고 손을 씻는 등 위생관리에 철저해야한다. 일본의 한 병원에서만 9명이 다제내성균에 감염돼 사망한 것은 감염 자체가 아니라 ... ...
Part2. 다강체_물질계의 엄친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자기장 방향으로 나침반 바늘이 놓이듯이) 자화가 되고, 자기장이 사라져도 자화가
남아
있으면 강자성체라고 부른다.강자성체의 역사는 강유전체보다 훨씬 더 오래됐다. 기원전 그리스에서 철을 끌어당기는 힘을 가진 물질을 마그넷(magnet), 즉 자석이라고 불렀는데 이것이 바로 처음 발견한 ... ...
아름다움과 슬픔의 공존 - 서해5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유명한 비도다.] [❺ 비도에서 촬영한 저어새의 둥지. 부화에 실패한 알만 덩그러니
남아
있다. 슬픈 사건이 많이 일어난 지역이라 그런지 더욱 쓸쓸해 보인다.]분단의 아픔이 담긴 풍경NLL은 북방한계선의 약자로 한강에서 시작해 백령도 앞바다까지 이어진다. 휴전 직후 유엔군 사령관이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