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공학의 꿈 키우며 정 나누는 공간”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지내고 있어요. 반 친구들과 함께 전교생 앞에서 공연을 펼쳤던 일이 가장 기억에
남아
요.” 중학생 때부터 과학고 준비하는 학생 맞냐는 얘길 들을 정도로 운동을 비롯해 다양한 활동을 해왔다. 한성과학고에 들어와서 그 에너지를 본격적으로 발휘했다. 리더십을 갖고 다른 친구들을 이끄는 데도 ... ...
Part 3. 환경과 장묘문화가 만든 시간의 마법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발견된 ‘얼음공주 미라’도 사망 후 2000년이 지나도록 피부에 새긴 문신 모습이 그대로
남아
있다.알타이 고원에 살았던 파지릭 문화 사람들은 사람이 죽으면 시산의 내장을 빼고 약초를 채운 후, 발삼(침엽수 분비물. 송진 등)을 발라 부패를 방지했다. 하지만 알타이 미라가 썩지 않았던 이유는 ... ...
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바뀌었다고 하자. 여전히 곡면은 모든 방향에 대해서 대칭적이다. 그러나 입자는 원점에
남아
있지 못하고 어느 한 방향으로 굴러 떨어질 것이다(떨어지는 방향은 완전히 무작위로 결정된다). 이렇게 굴러 떨어진 입자는 이제 공간의 어느 한 방향에 치우쳐 있게 된다. 입자의 입장에서 보면 더 이상 ... ...
배아줄기세포, 이제 병원으로 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기존 유도만능줄기세포보다 훨씬 간단하다. 또 줄기세포를 썼을 때 내재돼 있는,
남아
있는 미분화세포로 인한 발암 가능성이 없다는 장점도 있다.다만 체세포에서 체세포로 가는 것이기 때문에 세포 수가 늘어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많은 세포가 필요한 치료용으로는 부적합하다. 반면 ... ...
[Global Math] 만화 속에서 수학을 찾다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눌러 적은 정성을 느낄 수 있는 유품이다.풍차방앗간 옆에는 그린이 살던 집이 그대로
남아
있다. ‘방앗간 주인이자 수학자였던 조지 그린이 살았던 집’이라는 문패가 붙어 있다. 유리창과 벽에 새겨진 ‘그린의 정리’도 확인할 수 있다. 영국 학생들은 이곳에서 수학자의 삶과 숨결을 느끼며 ... ...
[수학뉴스] 동물의 멸종을 계산하는 수학공식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멸종 여부를 결정하는 최소의 개체 수는 경험적으로 5000마리다. 즉
남아
있는 동물의 개체 수가 5000마리보다 적을 경우 멸종할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현재 멸종위기에 처한 것으로 알려진 포유류는 95종이다. 이들 포유류를 세이프 공식에 적용시켜 본결과 1/5에 해당하는 ... ...
눈먼 쥐의 일주리듬에 미치는 빛의 영향 확인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않았기 때문이다. 여기에는 rd쥐에서 원뿔세포가 100% 파괴된 건 아니었기 때문에
남아
있는 소수의 원뿔세포가 빛의 신호를 전달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는 이유도 있었다.1995년 영국(런던대)으로 돌아온 포스터 교수는 막대세포와 원뿔세포가 완전히 파괴된 돌연변이를 만들어 1991년 실험과 ... ...
금혜원 사진전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타포린’이 이루는 모습을 담고 있다. 몇몇 사진은 거대한 타포린의 물결이 아직
남아
있는 동네 건물들을 삼키려는 듯한 광경을 보여 준다. 이 물결 아닌 물결은 재개발이라는 거대한 흐름을 상징 한다. 작가는 이 풍경에서 ‘일상에 가해진 폭력과 재개발의 부정성을 타포린으로 덮어 버리려는 ... ...
자연의 가장 깊숙한 음악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치아의 건강을 위협한다. 플라그는 초기에는 칫솔질만으로 쉽게 사라지지만, 오래
남아
있을 경우 단단하게 굳어서 치석을 이루고, 결국 잇몸질환을 일으킨다 ... ...
라푼젤도 모르는 머리카락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사건 현장에서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를 추측할 수 있게 하는 단서가 된다.
남아
있는 모근의 양과 모양을 관찰하면 자연적으로 떨어졌는지, 강제로 뽑힌 것인지 알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모발의 잘린 부분은 범행도구가 망치 같은 둔탁한 물건이었는지 칼과 같은 예리한 물체인지도 판단할 수 있게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