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향기가 퍼져나가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일부는 지구시스템공학이라는 과학의 한 부분으로 자리잡았다. 아직 논란의 여지는
남아
있지만 지구온난화가 진행되면서 이 이론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가이아 이론에서 가이아(지구)는 지구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을 사용한다고 한다. 이와 관련해서 다음 문제를 풀어보자. 1) ... ...
테라포밍, 지구의 조건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최근 행성계에서 퇴출된 명왕성은 카이퍼벨트에 들어있던 큰 미행성으로 짐작된다.
남아
있는 미행성들이 분산되는 데 1천만년~1억년이 소요됐다. - 과학동아 1999년 6월호 ‘행성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미완의 시나리오, 미행성 성운설’ 물은 어디에서 왔을까 생명체가 살아가기 위해서는 외부 ... ...
산타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수학자인 윌리엄 해밀턴은 정십이면체의 한 꼭짓점에서 출발해 변을 따라
남아
있는 19개의 꼭짓점을 차례로 단 한번만 통과해서 처음 출발한 꼭짓점으로 돌아오는 경로를 찾는 게임을 제안했다. 이것이 ‘해밀턴 경로문제’의 원조인 ‘해밀턴 게임’이다.산타가 이동하는 거리 이제 크리스마스에 ... ...
Part 2.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안 돼유용상 위원장은 “한의학은 현대과학과 연관성이 없다”며 “한의학이 아직까지
남아
있는 이유는 인문학적으로 연구해야 할 문제”라고 설명했다. 한의학은 과학적인 이론으로 정립돼 있지 않기 때문에 결과를 보고 자의적으로만 해석할 뿐 예후를 예측하지 못한다는 것이 의사들의 ... ...
익룡은 장대높이뛰기 선수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작은 새만 정지 상태에서 날 수 있다”고 덧붙였다.연구팀은 “익룡은 화석이 거의
남아
있지 않아 거의 한 세기 동안 연구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앞으로도 익룡에 관한 연구를 계속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학술지(PLoS ONE)’ 온라인판 11월 15일자에 실렸다 ... ...
Part 2. 멸종의 시계를 멈춰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수는 없는 걸까. 다행히 황새는 한반도뿐만 아니라 러시아와 중국, 일본의 습지에 아직
남아
있었다. 2년 뒤인 1996년, 한국교원대 황새복원센터는 한반도에서 사라진 황새를 복원하기로 하고 러시아에서 야생황새를 들여와 인공번식을 시도했다.처음에는 번식이 쉽지 않았다. 가까운 사육장에서 ... ...
기대와 숙제를 동시에 남긴 2010 F1 코리아 그랑프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않게 됐다. 문제는 갓 포장한 서킷의 아스팔트에서 나온 기름막이 빠지지 않고 표면에
남아
도로를 미끄럽게 만들었다는 점이다. 실제로 경기를 마친 한 드라이버는 “마치 얼음판 위에서 달리는 것 같았다”고 표현했다.이 드라이버의 말처럼 세이프티 카가 빠져나가고 경기가 경쟁 모드로 바뀌자 ... ...
슛~~ 과학으로 즐기는 2010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1호
방을 꾸미고, 공기를 고지대처럼 만든 것이다. 선수들은 매일 한 시간씩 이 방에 머물며
남아
공 월드컵에 대비해 왔다.음하하! 축구에 이렇게 많은 과학이 숨어 있다는 걸 이제 잘 알겠지?그럼 왜 축구 선수를 하지 과학자가 되었냐구? 오호호~, 축구 선수들은 전후반 90분 동안 자그마치 11㎞ 정도를 ... ...
다리엔 왜 줄이 많을까?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자주 옮기거나 비바람이 닥치면 쉽게 상해, 자주 수리를 해야 했다.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나무다리도 기둥만은 돌로 된것이 많다. 그래서 중요한 길목에는 꼭 돌다리를 놓았다. 세계적인 다리 유적은 대부분 돌다리다.돌은 튼튼한 만큼 무게가 많이 나간다. 좁은 개울에는 긴 돌판 하나면 ... ...
캐나다, 선배가 수학 도우미로 나선다
수학동아
l
2010년 11호
찾아간다. 최고 학년학생 중에서 수학을 잘하는 학생들이 도우미로 자원해 학교에
남아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시험을 앞두고는 많은 학생이 도우미를 찾는다. 일정 수준을 넘지 못하면 낙제하는 유급을 피하기 위해서다. 도우미 학생은 후배를 돕는 만큼 봉사활동으로 인정받는다. 선생님이 도와주고 ... ...
이전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