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입체도형 종합선물세트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만큼의 재료를 사야 합니다. 재료를 적게 사면 상자를 만들 수 없고 많이 사면 재료가
남아
, 버리는 부분이 많아지므로 측정을 통해 적당한 양을 사야합니다. 즉 물건의 크기를 측정할 줄 알아야 합니다.다면체와 회전체의 크기는 전개도와 겨냥도를 통해 구할 수 있습니다. 겉넓이는 전개도를 ... ...
집적시스템 설계공학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설계하려는 경쟁이 일어나고 있다. 로봇산업에서도 집적시스템 발전은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이처럼 다양한 분야에서 필요성이 커지고 있어서 전공생들의 취업 전망은 매우 밝다. 특히 세계적인 국내 기업에서 우수한 전공생을 모집하고 있다 ... ...
“최고의 면학 분위기!”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학교에
남아
있던 두 학생을 만나 직접 겪은 입학사정관제에 대해 물어봤다. 두 학생 모두 일찌감치 포스텍에 관심을 갖고 지망했다. 복지 제도나 연구 시설이 뛰어나고 취업보다는 연구를 중시하는 분위기가 매력적으로 느껴졌다고 했다.“원래 고등학교 때 여러 가지 활동을 많이 했는데, 고3이 ... ...
백두산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홋카이도와 혼슈 북부에 비처럼 내렸다. 이곳은 지금도 화재가 5cm 이상 쌓여 있는 곳이
남아
있다. 이 화산재를 ‘백두산-토마코마이 화산재’라고부른다. 당시 폭발은 83~117km3, 최대 150~170km3의 화산분출물을 뿜어내고 화산폭발지수 7.4로 추정된다. 필자는 역사시대에서 최대 화산분출 사건이라고 ... ...
여름바다의 낭만 등대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한국에서도 1985년부터 이 방식에 따라 항로표지를 설치해 운영 중이다. 미국이나 남미, 동
남아
시아나 일본 등은 우리와 같은 방식을 쓴다. 반면 유럽이나 러시아 등은 다른 규칙을 쓰고 있다.선박을 운행하는 뱃사람이라면 두 규칙을 모두 알고 있어야 한다.등대는 종합정보 센터항로표지를 ... ...
국내 과학글쓰기의 현주소를 진단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아직까지도 이공계인에게는 실험이나 연구가 글쓰기보다 더 중요하다는 인식이
남아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이러한 사회 분위기에서는 과학글쓰기 문화가 정착할 수 없다. 외국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별도의 과정을 만들어 과학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는 ‘과학 커뮤니케이터’라는 ... ...
발자국이 쿵쿵~, 공룡이 깨어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7호
내 발자국이 찍힌 돌이 진흙과 고운 모래가 굳은 ‘셰일’이라는 점과, 근처의 돌에
남아
있는 물결무늬를 보고 추리를 한 것이다. 짹짹짹~, 공룡시대의 새 발자국!발굴에 참여한 진주교육대학교 김경수 교수님은 우리 공룡발자국 화석 사이에서 새의 발자국 화석도 찾아 냈다. 그러고 보니 살아 ... ...
인터월드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침략을 막기 위해 싸웁니다. 하지만 아직 동료들끼리 티격태격하는 습관은 그대로
남아
있네요. 조우는 자이에게 너무 어려운 단어를 써서 말을 한다고 불평합니다. 머리에 사전을 저장하고 있는 자이보그도 12테라바이트나 되는 사전에도 없는 단어를 쓸 때가 있다며 거듭니다. 대화를 듣고 보니 1 ... ...
좋은 곳 어디에나 함께해 줘~!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친근한 7을 느낄 수 있었다. 미처 다 살피지 못한 7은 생활 구석구석에 행복한 수로
남아
있다.우리나라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로는 부산에서 출발해 동해안을 따라 올라가는 길이다. 이 도로의 이름은 바로 7번국도. 우연인지 몰라도 참으로 멋진 이름이 붙었다. 7번 국도와 반대로부산에서 남해와 ... ...
작은 은하 잡아먹던 과거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왜소은하 규모의 천체가 우리 은하에 붙잡혀 병합되는 과정에서 왜소은하의 중심핵만
남아
있는 것임을 강력히 시사한다. 이는 현재 학계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는, 우주론적 계층 합병에 의한 은하 형성 모형에 부합한다. 즉 우주가 진화하면서 왜소은하들이 계층적으로 합병해서 커다란 은하들이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