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밀"(으)로 총 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암흑물질, 버리거나 취하거나?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점점 세게 만들면서도 광자의 압력에는 영향을 받지 않았을 것이다. 광자와 물질의 밀도 요동은 우주배경복사에 패턴을 만들었는데, 이 같은 암흑물질의 존재가 이 패턴에 영향을 미쳤다. 이런 특성을 가정해 우주배경복사에 나타날 진동의 강도를 예측한 결과, 실제 더블유맵(WMAP)의 관측 결과와 ... ...
- 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빅뱅 이전에 우주가 팽창하므로 지평선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후 수축하는 동안 밀도 요동이 만들어져 거대구조의 씨앗이 된다고 설명한다. 그럴듯 하지만, 검증이 불가능하다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급팽창 이론의 문제는, 아마도 우리가 우주초기의 양자론적 중력을 아직 제대로 이해하지 ... ...
- [과학뉴스] 독개구리 뱃속은 개미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몸길이가 0.7cm 정도이고, 길고 큰 주둥이로 흰개미 같은 작은 먹이를 잡아먹지요.레노밀멕스 호엘도프레리는 자연 상태에서는 발견하기 어려웠어요. 하지만 이 개미를 개구리가 먹은 뒤에 그 위 내용물을 분석하면 쉽게 찾아낼 수 있답니다. 개구리 뱃속이 개미 연구소가 된 셈이지요.연구에 참여한 ... ...
- [국립수목원과 함께하는 숲이야기 열] 다시 보자! 잡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없으면 풀을 먹는 개미, 꿀벌, 노린재, 호랑나비도 없고 작은 곤충을 먹는 귀뚜라미, 밀잠자리, 무당벌레, 거미도 안 올 거예요. 또 그들을 먹는 참새, 곤줄박이, 직박구리, 까치도 볼 수 없을 거예요. 잡초가 살기 힘든 곳에서는 다른 생물들, 심지어 사람도 살기 힘들답니다.잡초는 또 제철 먹거리와 ... ...
- PART 2. 우주배경복사가 들려준 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적었다(밀도가 낮다)는 뜻이다. 이것은 빛이 최초로 우주로 퍼져나갈 때 영향을 줬다. 밀도가 높았던 곳은 빛에서 에너지를 더 빼앗았고, 그 빛은 온도가 낮아진 것이다.사실 이 미세한 온도 차이는 당연하다. 우주가 완벽하게 균일하다면 지금 우리가 보고 있는 은하나 별이 만들어질 수가 없었기 ... ...
-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완화시킨, 녹색혁명의 주인공이다. 그는 여러 품종의 밀을 교배육종한 ‘앉은뱅이 밀’을 개발해, 1960년 약 60%에 달하던 기아를 17%까지 감소시켰다. 지금은 교배육종이 아무 문제 없이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당시만 해도 환경에 안 좋은 영향을 끼칠 것이라는 우려가 매우 많았다.수상자들과의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운하의 경우 바다와 호수 간의 높낮이 차가 약 25m 정도다. 이 높이 차이를 극복할 비밀 병기는 ‘갑문’이다. 배가 지나갈 때마다 갑문을 열어 수위를 높이기도 하고, 낮추기도 한다.파나마 운하의 경우 대서양에서 가툰호, 미라플로레스호를 지나 태평양으로 이어지는데, 대서양과 태평양의 수면이 ... ...
- PART 2. 파랑을 만드는 마법사들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때, 그리고 다른 카멜레온과 의사소통하기 위해서도 색을 바꾼다. 스위스 제네바대 미셸 밀린코비치 교수팀은 지난해 3월, 카멜레온이 어떻게 피부색을 바꾸는지 알아냈다.카멜레온의 피부는 매우 얇은 층 두 개로 돼 있다. 그리고 각 층마다 나노 수준으로 매우 작은 크리스털이 무수히 많다. 이 ... ...
- [Editor’s note] 같이 해요!수학동아 l2016년 07호
- Mamihlapinatapai얼마 전에 인터넷에서 이런 단어를 봤습니다. 무슨 뜻인지 아는 건 고사하고 읽기도 힘듭니다. 이 단어는 티에라델푸에고 제도의 ‘야간’어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위키백과의 설명에 따르면, ‘서로에게 필요하지만 내가 먼저 하고 싶지 않은 어떠한 것에 대해 상대방이 먼저 해주기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입 안 대고 풍선을 불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곧바로 승화가 일어나지요. 이때 부피가 커지는 정도는 주변 온도나 드라이아이스의 밀도 등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수십에서 수백 배까지 늘어나요. 따라서 풍선 속에 드라이아이스를 넣으면 곧바로 이산화탄소 기체로 변하면서 부피가 늘어나 풍선을 부풀게 만든답니다.정말 풍선 속에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