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피 한방울 이즈 베리 임폴턴트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알츠하이머병 진단은 뇌 아밀로이드 양전자단층촬영(PET)으로 확인했다. 정확도가 100%에 이를 정도로 높고, 뇌 안의 베타아밀로이드를 확인할 수 있지만 검사비용이 150만~200만 원으로 비싼 편이어서 알츠하이머병 조기 진단에 어려움이 많았다. 묵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증상이 전혀 없는 ... ...
- [이투스교육] 지각과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과학동아 l2018년 03호
- 탄소나노튜브가 된다. 그래핀은 구리보다 100배 이상 전기가 잘 통하고 실리콘보다 100배 이상 전자 이동 속도가 빠르다. 강도는 강철보다 200배 이상 강하다. 또 신축성이 좋아 본래 면적의 20% 이상으로 늘어날 수 있으며, 접어도 전기전도성이 우수하게 유지된다. 그래서 그래핀을 초경량, 고강도 ... ...
- [교과연계수업] 대한민국 금메달! 스켈레톤! 최첨단 과학 장비, 봅슬레이, 루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Michael Eriksson)● 세계랭킹 1위 윤성빈 선수 슈트의 비밀 스켈레톤은 속도가 매우 빨라 100분의 1초 단위로 선수들의 순위가 정해진다. 따라서 스켈레톤 경기에서는 썰매는 물론 경기복과 헬멧 등 작은 장비 하나도 모두 중요하다. 온몸이 공기에 노출된 채 긴 거리를 달리기 때문에 공기 저항을 줄이는 ... ...
- [과학뉴스] 블랙홀처럼 빛을 흡수하는 새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보통 새의 깃털보다 얇고 길쭉하며, 중심 깃대의 양 옆으로 마이크로미터(1㎛=100만분의 1미터) 크기의 미세한 잔가지들이 나 있었지요. 또 보통 새의 깃털은 한 방향으로 가지런히 누워있는데, 최고극락조의 깃털은 미세한 잔가지들이 복잡하게 얽혀 있었답니다. 연구팀이 깃털의 빛 흡수율을 ... ...
- [매스미디어] 블랙 팬서수학동아 l2018년 03호
- 때 공원을 만들고 나서 땅의 가격이 100만 원 올랐다면 공원의 가치는 100만 원의 a배(a×100만 원)라고 추정한다. 그렇다면 블랙 팬서의 재산은 어느 정도일까? 미국의 잡지 포브스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이용해 제작사에 상관없이 가장 부자로 꼽히는 영웅 3명의 재산을 계산해 비교해 보자. 1달러는 2월 ... ...
- Part 1. 비장애인과도 겨룬다?수학동아 l2018년 03호
- 경기 부문을 잘게 쪼개면 메달 경쟁률이 들쑥날쑥하다. 실제로 리우 하계 패럴림픽의 100m 남자 달리기는 메달이 걸린 부문이 16개나 되는 반면, 뇌성마비 선수가 나갈 수 있는 장거리 달리기 경기는 없었다. 원래 방식으로는 여러 부문을 합칠 수 없다. 과거에 경기가 열린 횟수와 규칙이 부문마다 ... ...
- [과학뉴스] 이것이 진짜 ‘입체 홀로그램’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부유입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어느 각도에서나 볼 수 있다. 약 1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정도의 부유입자가 픽셀 역할을 한다. 스몰리 교수는 “빛과 입자를 이용해 공중에서 3D프린터로 원하는 물체를 출력하는 기술에 비유할 수 있다”고 말했다. doi:10.1038/nature2517 ... ...
- 이보다 안전할 수 없다 양자암호통신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첫 번째 자리의 0을 만들었다면, B 역시 수평-수직 편광자로 이를 측정해야 0이라는 값을 100% 정확도로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대각선 편광 방식으로 이를 측정하면 0이라는 신호는 각각 50%의 확률로 0 또는 1로 변한다. A가 보낸 0에 대응하는 0도 편광은 135도(0)와 45도(1) 편광이 중첩된 상태이기 때문에, ... ...
- [Origin] 생명을 설계한다, 합성생물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뒤 효모에 넣어주면 레고 블록을 잇듯이 자동으로 조립되는 것입니다. 마침내 2010년 약 100만 개의 염기쌍으로 이뤄진 마이코이데스 인공유전체가 효모 생체 내부에서 조립됐고, 유전체 전체를 카프리콜럼의 세포에 이식하는데 성공했습니다. 연구팀은 자연계에 이미 존재하는 마이코이데스와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8년 03호
- 발전한 현대 사회에도 전염병에 대한 편견은 여전하다. 장티푸스 메리 사건으로부터 100여 년이 흐른 지금, 우리는 전염병에 대해 얼마나 많이 깨우쳤을까. 2015년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를 겪은 한국에 시사하는 점이 많다 ... ...
이전16016116216316416516616716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