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호킹이 남긴 21세기 이론물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의해 소멸되고 나니 반반의 확률로 죽었거나 살아있는, 전혀 양자역학적이지 않은 100마리 고양이들이 남아 있더라는, 알고 보면 매우 비극적인 우화다. 그런데 고양이들의 생사를 도외시하고, 양자 정보에만 관심을 가져보면, 100% 양자적이었던 상태가 100% 고전적인 상태로 바뀌었으니, 중간 과정에 ... ...
- Part 4. 중국 탓에 심해졌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마친 날은 5~10μm/m3 정도이지만, 빨래를 널면 50μm/m3까지 올라간다. 요리할 때는 100μm/m3까지 나타나고, 특히 고기나 생선을 구울 때는 200~400μm/m3까지 치솟는다. 정부가 ‘매우 나쁨’으로 표기하는 미세먼지 농도가 150μm/m3 이상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집 안도 미세먼지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수치가 ... ...
- [BJ맹추의 수동TV] 기사 속 수학 개념 완전정복수학동아 l2018년 04호
- 히 큰 자연수의 모임’을 집합 기호로 적으라고 하고 한번 살펴보세요. 어떤 친구는 100보다 큰 자연수를 쓰고, 1억쯤 돼야 크다고 생각하는 친구는 1억보다 큰 수를 쓸 겁니다. 영어처럼 집합 기호도 전 세계 사람이 공통으로 쓰는 거니까 누가 봐도 똑같은 집합을 떠올리도록 명확하게 적어야 합니다 ... ...
- Part 2. 초대형 로켓을 쏘아 올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더 큰 로켓도 개발되고 있어요. 바로 NASA가 만들고 있는 SLS 로켓이지요. SLS는 높이 100여m, 무게 4000t에 달하는 거대한 화성 탐사 로켓으로, 내년 쯤 달까지 시험 발사를 할 예정이에요. 만약 이 프로젝트가 성공한다면 팰컨 헤비를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큰 로켓 발사로 기록될 예정이랍니다. 한국형 ... ...
- [Culture] 매, 매, 매운맛을 주세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책임연구원은 “500여 년 전 중남미의 매운 고추가 유럽에 넘어간 뒤, 아시아에 전파돼 100년 뒤 한국 고추가 됐다는 주장이 틀린 것으로 판명됐다”며 “오히려 수천 만 년 전 야생고추가 새를 통해 여기저기 전파된 뒤, 지역의 기후와 환경에 적응해 다양하게 진화했다고 해석하는 게 맞다”고 ... ...
- [Origin] 계란의 ‘슈퍼 파워’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이 겔의 단백질 함량을 분석했더니, 날계란과 크게 다르지 않았습니다. 날계란은 1mL에 100~110mg의 단백질이 들어 있는데, 이 겔에는 124~154mg이 들어 있었습니다. 놀라운 점은, 이 겔 성분의 약 80%가 물이라는 점입니다. 물이 80%인 재료로 이렇게 강도가 높은 재료를 만들 수 있다니 정말 신기합니다. 그 ... ...
- [Issue] 미백 화장품으로 하얀 피부 만들 수 있나요?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미백 화장품은 멜라닌을 파괴하지 못한다피부는 50~100μm(마이크로미터· 1μm는 100만 분의 1m) 두께의 표피와, 바로 아래 2~3mm 두께를 가진 진피로 나뉩니다. 표피는 표면부터 순서대로 각질층, 과립층, 유극층, 기저층으로 구분되는데, 기저층에 멜라닌을 만드는 세포인 멜라노사이트가 있습니다 ... ...
- Part 1. 호킹의 말로 되돌아 본 그의 삶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내용 탓인지 오늘 날 출판계에는 ‘호킹 지수’라는 지표가 있다. 책의 전체 페이지를 100페이지라고 가정할 때 실제 읽은 페이지를 나타내는 숫자로, ‘시간의 역사’를 실제로 읽은 사람이 거의 없다는 점에 착안해 만들어졌다(참고로 ‘시간의 역사’의 호킹 지수는 6.6이다). ‘시간의 역사’에는 ... ...
- Part 7. 사십춘기도 아프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35~45세에 급격한 노화가 진행된다. 사십춘기는 노화를 몸으로 느끼기 시작하는 시기다. ‘100세 시대’에서는 너무 이르지도 늦지도 않은 나이다. 세상의 온갖 책임과 의무를 짊어지고 있는 나이이기도 하다. 전문가들은 일차적으로 사십춘기가 외로움에서 비롯된다고 분석한다. 인구주택총조사에 ... ...
- [매스미디어] 도시어부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어종을 정할 수 있는 황금배지를 달아준답니다. 도시어부 3인방의 낚시 경력은 총합 100년이 넘습니다. 55년 낚시 경력으로 안 가본 낚시터가 없다는 이덕화 씨, 어복을 타고나 일단 뭐든 많이 잡고 보는 낚시 경력 30년의 이경규 씨, 7살 때부터 시작해 벌써 18년 째 낚시를 한다는 도시어부의 막내 ... ...
이전157158159160161162163164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