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극히 적고, 중력이 큰 각 면의 중앙에 대부분 몰려 있다. 연구팀이 현재 지구에서 고도 100km의 대기압을 기준으로 정육면체 지구의 대기권을 계산한 결과 대기권의 형상도 바다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면 중심부에 대기가 몰리고, 모서리와 꼭짓점 위에는 대기가 거의 없었다. 대기 농도는 생명과 ... ...
- 과학 수사의 최전선, 겹친 지문을 분리하라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있다. 우선 두 사람의 지문이 겹치지 않은 부분에서 지름 6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인 미세한 점 60개를 찍어서 분광 스펙트럼을 얻고, 그 데이터를 딥러닝 기법으로 학습시켜 지문의 주인을 식별할 수 있게 했다. 그런 뒤 겹친 부분을 똑같은 방식으로 촬영해 분광 스펙트럼을 얻어 학습된 ... ...
- [Issue] 중국이 옮길 혁신이라는 산(山)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신호탄을 쏜 것이다. 이 기세라면 2030년에는 연산 속도가 현재보다 1억 배가량 빠른 100~1000큐비트 수준의 양자컴퓨터가 상용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컴퓨터가 상용화된다면 단백질 구조 파악, 난치병 원인 규명,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반 신물질 합성, 신약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획기적인 발전을 ... ...
- [Culture] 리코타 치즈 & 두부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바닷물에서 소금을 채취하고 남은 짠물로, 염도는 약 20%)를 만나 고체로 응고하지요. 약 100도에서 5~10분간 끓인 콩물에 간수를 조금씩 넣으면서 저어주면, 몽글몽글 하얀 두부가 생기기 시작합니다. 간수가 없으면 염화마그네슘(MgCl2)을 4배의 물로 희석해서 넣어줘도 됩니다. 저도 간수 대신 ... ...
- Part 1. 예보, 못 믿겠다?과학동아 l2018년 04호
- 날아가 모인다. 전문가들은 수차례 실험을 통해 지름 1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이하인 입자(PM10)와, 지름 2.5μm 이하의 입자(PM2.5)만 수거할 수 있는 필터를 만들었다. 필터를 열고 충돌판을 꺼내보니 가운데 조그만 구멍에 시커먼 먼지들이 쌓여 있다. 미처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진 큰 ... ...
- 심판이 볼 수 없다면 수학이 본다! 심판 판정 돕는 기술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중요한 경기는 이미 오래전부터 첨단 장비로 심판을 대신해 판정을 내리고 있습니다. 100분의 1초 차이로도 1등과 2등이 갈리는 육상 경기를 사람의 눈으로 정확히 판정하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우니까요. 구기 종목에선 서브 속도가 순간 시속 200km를 넘어가는 테니스에서 ‘호크아이’라는 라인 판독 ... ...
- Part 3. 선수 맞춤 장비를 마련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3호
- 1위 윤성빈 선수 슈트의 비밀 스켈레톤은 속도가 매우 빨라 100분의 1초 단위로 선수들의 순위가 정해진다. 따라서 스켈레톤 경기에서는 썰매는 물론 경기복과 헬멧 등 작은 장비 하나도 모두 중요하다. 온몸이 공기에 노출된 채 긴 거리를 달리기 때문에 공기 저항을 줄이는 것이 승패의 요인이 될 수 ... ...
- Part 2. 장비‘빨’ 제대로 받자!수학동아 l2018년 03호
- 함께 패럴림픽에서 흔히 보이는 장비는 의족이다. 특히 왼쪽의 조니 피콕이 가진 100m 달리기 기록이 10초 81에 달할 만큼 달리기용 의족은 성능이 좋다. 무릎이 없는 선수들은 달리기용 의족을 찬 채 허벅지를 앞뒤로 흔드는 운동만 한다. 의족을 차고 달릴 때 허벅지를 뒤로 미는 순간, 의족도 뒤로 ... ...
- [과학뉴스] 디카로 찍은 원자 하나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찍은 ‘이온트랩 속 단일원자(Single Atom in Ion Trap)’다. 사진 속 장비는 기압이 100만~100억 분의 1mmHg(수은주밀리미터) 이하인 초고진공 상태에서 전기장을 걸어 금속 전극 사이에 원자를 띄워 놓을 수 있는 ‘이온트랩’이다. 가운데 연필 두 자루가 마주보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부분이 바로 금속 ... ...
- [Culture] 정현 호주오픈 4강 비결 분석, 테니스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강하게 공을 때리면, 그 반작용으로 라켓에도 강한 힘이 가해진다. 이 충격으로 라켓은 100~180Hz(헤르츠·1Hz는 1초에 1회 진동을 뜻함)로 진동한다. 스위트 스폿은 진동의 진폭이 0이 되는 지점이다. 물리학적으로는 ‘마디(node)’라고 표현하며, 이 부분에 공이 맞으면 라켓은 거의 진동하지 않는다. ... ...
이전1581591601611621631641651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