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Issue] 최저임금 인상, 경제에 어떤 영향 미칠까?과학동아 l2018년 02호
- 대표할 수 있는 우량주 200종목을 선정해 산출하는 종합주가지수다. 1990년 1월 3일을 기준 100으로 산출한다. 둘째 늘어난 세수를 활용해 내수 경기를 부양하는 것도 고려할 만한 대안이다. 2018년 예산안이 매우 보수적으로 책정된 현 상황에서 추가경정예산 편성 등을 통해 재정 지출 확대를 적극 ... ...
- [매스미디어] 스튜디오 지브리 대박람회수학동아 l2018년 02호
- 건 크게 그리는 사람이거든요. 미야자키의 비행체를 실물로 볼 수 있는 곳이 있다네요! 100년쯤 전에는 항공기가 아주 위험한 물건이었습니다. 나무로 만들어 부서지기 쉬웠고, 엔진도 자주 고장이 났죠. 그래도 필사적으로 날아야겠다고 생각한 사람은 있었습니다. 1914년, 처음으로 엔진이 4개 달린 ... ...
- [과학뉴스] 모래 한 알에 미생물 10만 개과학동아 l2018년 01호
-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지름이 202~635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인 모래 입자에서 1만~10만 개에 이르는 미생물을 발견했다. 모래 한 알이 미생물에게는 수만 명이 사는 ‘대도시’인 셈이다. 게다가 모래 한 알에 서식하는 미생물은 수천 종에 이를 만큼 다양했다 ... ...
- [시사기획] 폴더블폰, 그분이 오신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뤄져 있으며, 점착제를 더해도 전체 두께가 2mm 이하로 얇은 편이다. 하지만 두께가 약 100μm인 종이로 따지면 20장을 겹쳐놓은 것과 같은 두께다. 접기가 쉽지 않다. 김 교수는 “두께를 최대한 얇게 만들기 위해서 기능을 합치는 방법을 연구했다”고 말했다. 가령 편광자와 터치스크린 패널을 ... ...
- [Future] 바이오 인공장기 시대, 인간 몸에 돼지 장기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돼지가 주목받는 이유는 효율성 때문이다. 임신 기간이 100일 정도로 짧고, 수개월만 기르면 이식에 충분한 크기로 장기가 자라나는 점 등이 장기 생산에 유리하다. 장기이식에 적합하도록 형질을 전환한 돼지의 가격이 실험용 영장류에 비해 10배 이상 싼 점도 중요한 ... ...
- [Career] 분자기계와 배터리의 효율적인 만남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장력을 분산시키는 연구였다. 결과도 좋았다. 그 연구로 2015년 국가연구개발 우수성과 100선에도 뽑혔다. 그랬던 그가 어떻게 기존 방식을 버리고 배터리에 분자기계를 적용하겠다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했을까. 최 교수는 다른 분야에서 부피 팽창을 어떻게 제어했는지 연구 결과를 조사했다. ... ...
- 전세계에 수학덕심 퍼뜨리기 전염병주식회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뒤 면역력을 만드는 방법입니다. 문제는 부작용이 컸다는 거예요. 인두 접종을 받은 사람 100명 중 99명은 다시는 천연두에 걸리지 않았지만 1명은 사망하고 말았습니다. 이 때문에 인두 접종을 도입할지, 말지 논쟁이 벌어졌죠. 농포★고름이 차있는 작은 융기로, 피부에 생긴다. 베르누이는 장기적 ... ...
- [Origin] 롯데월드타워의 시간은 빨리 흐른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의해 주파수가 흔들릴 수 있다. 실제로 초기에 표준연이 개발했던 레이저는 주파수가 100Hz 이상 흔들렸다. 초공진기만 해도 크기가 50인치 TV 보다 크다. 여기에 폭까지 있으니 이 장비만 해도 방 한쪽을 가득 채운다. 여기에 초공진상태를 만들기 위한 부대 장비까지 합치면 규모가 엄청나다. 그럼 ... ...
- [인터뷰]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팀장 김동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년에는 KAIST 부설로 전환됐다. 이공계 영재 육성이라는 설립 이념 아래 최근 4년간 졸업생 100%가 이공계열로 진학했다. 이공계 인재의 산실, 과학영재학교로 가는 길을 김동훈 한국과학영재학교 입학팀장에게 들어봤다. 입학 전형 3단계로 이뤄져과학영재학교의 입학전형은 3단계로 구성돼 있다. ... ...
- Part 2. 인공지능, 인간 못 넘는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그런데 이미 괴델이 인공지능이 증명할 수 없는 명제가 있음을 밝혔으니, 사람을 100% 따라잡을 수 없을 겁니다. 반면 우리는 다른 방법으로 증명할 수 없을까 생각하고 있겠죠?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 미래를 보다Part 1. 전자화폐 시대가 온다Part 2. 인공지능, 인간 못 넘는다Part ... ...
이전1631641651661671681691701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