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수면 바지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매우 가느다란 실로 만들었습니다. 굵기가 머리카락의 약 100분의 1밖에 되지 않습니다. 양털의 굵기가 머리카락의 4분의 1이니, 얼마나 얇은지 짐작할 수 있겠습니다. 이렇게 가느다란 실을 여러 개 모아 함께 꼰 다음 이것으로 천을 만든 것이 바로 극세사천입니다. 실과 실 ... ...
- [과학뉴스] 세상에서 가장 작은 ‘DNA 모나리자’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고작 0.05μm²(제곱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모나리자의 상징인 온화한 미소는 10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에 불과하다. 룰루 치엔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교수팀은 DNA를 종이접기 하듯 조합해 특정 구조물을 형상화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네이처’ 2017년 12월 6일자에 ... ...
- Part 1. 30대 중반, 제 건강 상태는요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가까운지 진단하는 방식이다. 이 소장은 “환자군의 장내미생물 분포를 반영한 위험도를 100점, 정상인 그룹을 0점으로 가정했을 때 검사 결과 위험도가 50점으로 나왔다면 현재 정상 상태라 해도 향후 질병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고 해석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환자군에서 그 분포가 월등히 ... ...
- [Culture] 좌완투수의 시대 왼손의 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맞는 순간까지 걸리는 시간의 평균을 이용했다. 그리고 2009~2014년 이들 종목별로 상위 100위에 드는 선수들 중 왼손잡이의 비율을 조사한 뒤, 공과 라켓의 반응 시간과 왼손잡이 비율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평균 0.4초 안에 스윙을 해야 하는 야구에서는 좌완투수가 무려 30%나 존재하는 데 ... ...
- Part 3. 로봇의 시대, 엄마로 산다는 것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썼어?”사무실에 들어서자마자 편집장의 고함소리부터 들렸다.27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 분의 1m) 크기의 미세 로봇이 몸 속에 들어가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는 소식이 경쟁사에서 보도됐기 때문이다. 어떤 기자가 작성했는지 찾아보니 또 로봇 기자다. 2009년쯤 처음 세상에 ...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장치는 거대한 원형의 저장링이다. 3세대 방사광가속기는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가 100~200m 길이의 선형가속기에서 빠른 속도로 가속되고, 이를 지나 저장링에 들어올 때 원 운동을 하면서 접선 모양으로 방사광을 만들어내는 방식이다. 반면 4세대 방사광가속기는 전자총에서 나온 전자가 긴 ... ...
- Part 1. 1998~2018, 해시태그로 본 20년의 기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ISS로 보냈다. 가장 많은 실험이 이뤄진 분야는 중력이 거의 없고 방사선이 지구보다 100배 강한 우주 공간에서 인체의 변화를 살피는 연구다. 지구를 벗어난 인간이 다른 행성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극한 우주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지 파악하는 일이 최우선이기 때문이다. 가령 하루에 16차례나 ... ...
- [Culture] 혼밥족을 부탁해, 3대 간편식 분석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부착된 형태로 보면 된다. 전투식량에 달린 줄을 잡아 당기면 급속도로 발열이 시작돼 100도에 가까운 온도로 내부 식품을 데운다. 물이 살짝 끓을 정도의 열이 30분 간 지속돼 갓 지은 밥 같은 고슬고슬한 밥을 먹을 수 있다. 전투식량 생산업체인 참맛 관계자는 “철과 마그네슘으로 구성된 ... ...
- [인터뷰] KAIST 입학처장 신하용, 기본기 갖춘 ‘능력자’가 유리과학동아 l2018년 01호
- 1)와 비슷한 수준이다. KAIST의 가장 큰 장점은 장학금 제도다. 1학년은 성적과 무관하게 100% 전액 장학금을 받는다. 2학년부터는 평점 평균 2.7(B-학점) 이상이면 전액 장학금을 받을 수 있다. 2017학년도 기준 92%가 전액 장학금을 받고 있다. 장학금 외에 매월 일정 금액의 생활 보조비를 지급하며, 학생 ... ...
- 위대한 수학자의 발자국, 괴팅겐을 걷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모두 더하면 몇일까?”초등학교 수학 수업 시간이었습니다. 선생님은 아이들이 1부터 100까지 차례로 더해서 답을 구할 거라 생각하며 문제를 냈어요. 당연히 시간도 오래 걸리겠다고 생각하며, 잠시 쉬기 위해 자리에 앉았습니다. 그 순간 학생 한 명이 손을 번쩍 들며 답을 말합니다.“5050이요 ... ...
이전16416516616716816917017117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