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특별
고유
특수
독특
특이
특권
뉴스
"
특유
"(으)로 총 429건 검색되었습니다.
깡통 하나 못 띄우던 한국 '위성 개발 강국' 만들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4
제공 연구소 출신들이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이유는 위성 개발이 가진
특유
의 문화 때문이다. 연구소에서 원격탐사 연구를 맡았던 이정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가스분석표준센터 책임연구원은 “위성에는 가장 가볍고 멀리 봐야 하며 민감도가 높은 최첨단 장비가 실리다보니 그보다 ... ...
"꾸준히 도전하세요. 처음부터 특별할 필요 없어요."
2019.11.01
박사학위를 받았다. 원래 전공 분야와는 전혀 달라 남들보다 오래 걸렸지만,
특유
의 버티기 정신으로 결국 박사학위를 받는 데 성공했다. 기계 전문 지식까지 갖추자 자동차 부품의 핵심인 구동 모터 분야를 연구할 기회도 생겼다. 그리고 그의 연구는 자연스레 차세대 자동차로 불리는 전기자동차 ... ...
미스터리 공룡 '데이노케이루스' 골격 50년만에 과학적 복원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10.25
것으로 추정했다. 최신 공룡 연구 성과를 반영해 등은 어둡고 배는 밝으며 표면에 파충류
특유
의 비늘이 덮인 모습일 것이라는 추정도 덧붙였다. 대형 공룡으로 몸에 털이 덮일 경우 몸의 열을 발산할 수 없기 때문에 잔털만 일부 가진 형태로 복원했다. 연구팀은 이번에 과학적으로 복원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액상 전자담배, 제2의 가습기살균제 되나
2019.10.01
화장품과 식품에 널리 쓰인다. 필자가 손에 묻은 액체에서 글리세롤의 존재를 추측한 건
특유
의 끈적끈적한 촉감과 함께 그 존재 이유를 바로 떠올릴 수 있었기 때문이다. 글리세롤은 향기 분자를 녹이고 휘발 속도를 늦추는 역할을 한다. 액상 전자담배의 용매로 쓰이는 프로필렌 글리콜(PG. ... ...
[애니멀리포트]개의 초롱초롱한 눈빛은 인간과 소통 위한 진화의 결과
과학동아
l
2019.09.21
가진 경우, 발끝이나 눈두덩 같은 특정 부위에만 짙은 색의 털을 가진 경우 등 각각이
특유
의 매력이 된다. 동물의 털 색깔을 가장 크게 좌우하는 건 유전자다. 기본적으로 개는 8개, 고양이는 7개의 유전자가 털 색깔을 결정하는 데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 가지 재밌는 사실은, 수컷이든 ... ...
상온 VOCs 제거 기술로 공기질 스마트하게 관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6
큰 톨루엔과 포름알데히드를 기준치 이하로 떨어뜨리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톨루엔은
특유
의 향기로운 냄새가 나는 투명한 무색 액체로 중추신경계 손상을 유발한다. 포름알데히드는 실온에서 자극성이 강한 냄새를 내는 무색 기체로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1급 발암물질이다. 연구팀은 ... ...
살금살금 문 열자마자..."삑! 침입입니다" 도둑·화재 잡는 소리센서 첫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9.03
모니터). 대전=윤신영 기자 박 연구원은 “화재가 나도 음장에 변화가 생기는데 화재
특유
의 음장 변화 패턴이 있어 화재로 금세 인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작은 방은 10초 이내, 교실 같은 커다란 방에서도 50초 이내에 화재 인식이 가능하다. 박 연구원은 “가정 등에 설치된 기존 화재 감지 ... ...
[프리미엄 리포트] 고추 vs. 마라…韓中 매운맛 대결
과학동아
l
2019.09.01
UC샌프란시스코) 연구팀은 산쇼올이 TRPV1과 ‘TrkC’라는 두 종류의 감각수용체에 결합해
특유
의 매운맛을 느끼게 만든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신경과학’ 2008년 6월 22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nn.2143 마라 요리의 익숙하면서도 화끈한 매운맛은 산쇼올이 캡사이신처럼 TRPV1과 결합한 ... ...
화학약품 없이 물 살균·소독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8.13
살균시스템의 성능을 테스트하고 있다. KIST 제공. 수영장에서 수영을 하다 보면 수영장
특유
의 냄새가 난다. 물 속의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를 살균하기 위한 소독약 냄새다. 수질을 유지하기 위해서지만 화학약품 사용에 꺼림칙할 때가 있다. 홍석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물자원순환연구센터 ... ...
약 1억6천500만년 전 화석서 현대 포유류 설골 확인
연합뉴스
l
2019.07.22
이는 포유류가 독특한 구조의 설골(舌骨·목뿔뼈)을 갖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데, 이런
특유
의 설골이 약 1억6천500만년 전 포유류 조상의 화석에서도 발견돼 학계에 보고됐다. 미국 시카고대학과 외신에 따르면 이 대학 생물·해부학 교수 뤄저시 박사가 이끄는 연구팀은 네이멍구(內蒙古) 자치구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