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d라이브러리
"
부위
"(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의 새 우주 무기 계획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하수 토양속에 많이 존재한다전체 게놈에서 단백질에 대한 유전정보를 담고 있는 암호화
부위
를 제외한 나머지 DNA 즉 게놈에서 유전자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다 유전자 안에서 의미 없는 부분인 인트론과 구별된다정보통신용어로서 공중정보망의 데이타 교환점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 ...
세상을 지배하는 붉은 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해당한다. 과거에는 공감각이 학습 효과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최근에는 뇌 변연계의 한
부위
, 예컨대 여러 감각기의 통로들이 모이는 해마 같은 곳에서 한 감각기의 정보 일부가 다른 감각기로 흘러 들어가 공감각이 생긴다는 의견이 우세해지고 있다.붉은 색은 다른 색보다 많은 감광세포를 ... ...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중증 치매 환자는 줄기세포 이식해도 완치는 어렵다”고 말한다. 지금도 뇌 좁은
부위
에서 신경세포가 손상된 파킨슨병을 줄기세포로 치료하려는 연구가 더 많이 이뤄지고 있다. 그럼 줄기세포로 가장 먼저 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질병은 뭘까. 오 교수는 “심장과 혈관 질환일 것”으로 ... ...
내 이빨은 모두 몇 개일까? 치아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아래턱관절 속에서 아래턱으로 뻗어 있다. 때문에 충치가 생기면 이 신경이 지나는
부위
가 모두 아픈 것처럼 느껴지는 것이다.또 아래 치아가 썩었는데 위 치아가 아픈 것처럼 느낄 때가 있다. 이는 치아의 감각을 담당하고 있는 신경, 즉 삼차신경에서 뻗은 여러 개의 가지 중 일부가 위턱을, 다른 ... ...
냄새는 뇌가 맡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뇌가 두 가지 성호르몬에 각각 달리 반응한다는 것을 나타내며 성적 성향과 뇌 활동
부위
간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즉 이는 동성애자의 뇌 구조가 이성애자와 어딘가 다르며, 성적 취향 역시 후천적인 게 아니라 선천적일 가능성을 제시하는 결과라는 것이다. 후각이 선천적 성 ... ...
의사가 안내하는 몸속 미시세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감독의 영화 ‘ET’에서 소년 엘리어트와 순수한 우정을 나누는 외계인을 닮았다. 눈
부위
는 콩팥에서 만든 오줌이 모이는 신우. 정상보다 많이 늘어나 있다. 07. 파란 장미서연림·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 병리과꿈속에서나 볼 수 있을 듯한 파란색 장미꽃밭. 특수 염색한 장딴지 신경조직 ... ...
CSI의 추억 혈의 누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자살과 타살을 구분하는데 주변 정황을 파악하는 것을 중요시한다”며 “목
부위
조직의 출혈 여부를 살피는 정밀 검사를 통해 더욱 정확한 사인을 밝히고 있다”고 말했다.조선시대 무원록도 수사에서 수집할 증거 목록과 이를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할 뿐 아니라, 정황 수사의 중요성을 ... ...
하비의 피의순환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약간 느슨하게 조절하면 정맥이 부풀어 오르고 묶은
부위
아래의 동맥은 위축됐다. 묶은
부위
위쪽으로 정맥을 따라 피가 흐르지 않는 것이다. 이런 현상이 관찰되는 이유는 정맥은 피부에 가깝게 있고 동맥은 피부에서 멀리, 깊숙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하비가 동맥과 정맥, 그리고 그 사이를 ... ...
헌혈은 정맥, 맥박은 동맥 - 혈관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뽑거나 혈액에 약을 넣을 때는 주로 팔에 있는 피부정맥을 쓴다.동맥과 정맥을 잇는 연결
부위
인 ‘동정맥연결’은 몸의 끝부분에 많다. 평소에는 동정맥연결이 닫혀 있어 혈액이 몸 끝부분의 모세혈관까지 전달된다. 그러나 추울 때는 피부에 있는 동정맥연결이 열려 혈액이 모세혈관으로 흐르지 ... ...
황우석 교수 맞춤형 줄기세포 시대 열다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분리할 때 동물 효소와 혈청이 필요하다고 한다.뿐만 아니라 만능 줄기세포를 질환
부위
에 딱 알맞은 한 종류의 세포로 분화시키는 연구는 아직 걸음마 단계다. 황 교수팀은 줄기세포를 동물에게 이식해 원하는 장기의 세포로 자라는지를 확인할 계획이다. 줄기세포가 대책 없이 계속해서 분열해도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