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d라이브러리
"
부위
"(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고대의 하이테크 국가 백제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큰 칼은 백제의 여러 유적에서 발견된다. 칼을 분석해 보면 칼등에서 칼날에 이르는 각
부위
별로 조직과 강도가 서로 다르다. 백제의 칼은 강하고 날카로우면서도 부드럽고 충격을 잘 흡수했다. 이는 우리 선조 장인이 경험으로 익히고 스스로 터득한 ‘표면경화처리’(담금질) 기법에서 비롯됐다 ... ...
줄기세포의 줄기를 잡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줄기세포는 인체를 이루고 있는 200여 가지의 세포로 분화할 수 있다. 줄기세포는 상처
부위
를 재생하고 각종 난치병을 치료하는데 쓰일 수 있기 때문에 이미 세계 곳곳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이에 줄기세포 연구 관련 정보나 장비를 공유하면서 연구자들을 하나로 이어줄 중심지 역할을 할 곳이 ... ...
잃어버린 나를 다시 찾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인공해마를 뇌와 접속시키는 연구를 수행 중이다. 해마는 측두엽 깊숙이 위치하는
부위
로 새로운 기억을 형성하고 최근 기억을 유지하는데 필수다. 알츠하이머병 환자의 경우 해마가 특히 손상을 받으므로 기억력이 현저히 떨어진다. 이 연구가 성공하면 알츠하이머병이나 뇌졸중으로 해마가 ... ...
괴물 오징어 사진촬영 첫 성공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위의 특정유전자가 어디에 있는지 알 수 있다손가락을 움직여 손가락 끝 지문이 있는
부위
끼리 맞닿게 하는 동작 엄지는 다른 네 손가락과 각각 마주보기가 가능하지만 다른 네 손가락끼리는 마주보기가 불가능하다 엄지 아래에 있는 두틈한 근육인 '엄지맞섬근' 때문에 사람의 엄지는 강한 힘을 ... ...
로봇은 노인의 친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부분을 엑손(exon)이라고 부르며 정보를 전하지 않는 부분을 인트론(intron)이라고 한다 엑손
부위
는 인트론에 의해 여러 부분으로 나눠지는데, 인트론이 존재하는 이유와 인트론의 기능은 현재 잘 모르지만 DNA 구조를 안정화시키지 않나 여겨지고 있다어떤 실체의 성질을 설명하는 것이 그것을 ... ...
우리는 어떻게 행동을 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조화롭게 수행하기 위한 신경회로망이 척수나 뇌간에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
부위
를 ‘중앙패턴발생영역’(central pattern generators)이라고 부른다. 뇌는 운동을 조절하는 사령부우리가 하는 운동은 결국 척수운동신경계에 의해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의식적으로 계획하는 수의적 운동과 ... ...
일본의 소행성 탐사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를 뜻하는 우후루라는 이름을 얻었다도룡뇽과에 속하는 동물 등은 검고 날카로우며 배
부위
에는 선홍색 바탕에 불규칙한 반점이 있다 4-5월에 2-3백개의 알을 물 속에 낳으며, 늦가을에 물에서 나와 돌이나 나뭇잎 사이에서 동면에 들어간다신경과 신경을 화학적으로 연결해 주는 것 역에서 기차를 ... ...
초강력 허리케인 급격히 증가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유전인자다 게놈 증식과 무관하게 독자적으로 증식하고 이동한다염색체의 양말단
부위
다 염색체의 구조를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산식물인 담자리 꽃은 지난 빙하기 때 백두산 지역까지 남하해 서식하다가 지구가 더워지면서 서서히 높은 고도로 밀려나 지금은 백두산 정상부근에만 ... ...
생명과학이 만드는 아름다운 예술
과학동아
l
2005년 10호
중앙여고 (바이오예술상)나무에서 자라는 버섯일까? 로즈제라늄 잎 뒷면의 잎맥
부위
를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것. 배율은 310배다. 로즈제라늄은 잎 표면에 털이 많고 기름주머니가 잘 발달한 허브의 일종이다. 잎맥이 마치 나무줄기처럼 보이고 털은 나무의 잔가지처럼 잎맥에서 돌출돼 있다. ... ...
불에 탄 피부를 되살리는 태아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환자들의 화상
부위
에 이식했다. 환자들은 평균 15일 만에 상처가 나았다. 엉덩이 등 다른
부위
에 있는 세포를 이식하는 전통적인 방법보다 무려 6배가 빨랐다. 특히 이식된 태아 세포가 새로운 피부를 만들었을 뿐 아니라 손상된 주위 세포들도 되살아나 스스로 상처를 고쳤다.홀펠드 박사는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