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d라이브러리
"
부위
"(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겨울철 불청객 감기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상세히 밝혔다.한방 감기 치료의 원칙적인 개념은 외부에서 침입한 사기가 존재하는
부위
에 따라 사기를 제거한다는 것이다. 감기 초기에 사기가 인체의 표면에 있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땀을 내는 한약을 복용하는 방법을 쓴다. 한약재로는 마황과 계지가 대표적이다.마황은 환자가 땀을 흘리지 ... ...
김희선이 중국에서 인기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있다”고 지적했다. 얼굴은 2차원이 아니라 3차원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실제로는 입
부위
의 윤곽이 돌출했는데 2차원 분석에서는 코가 낮고 턱이 약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이를 보완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 BAPA다. BAPA는 귓구멍, 미간, 코 끝, 위·아래 입술, 턱 등 얼굴에서 기준이 되는 11개의 ... ...
과학을 알면 나는야 겨울 스포츠 선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4호
*압력 덕분에 스키를 탄다?얼음에 압력을 가하면 어는점이 낮아져 힘을 받은
부위
가 일시적으로 녹았다가 압력을 제거하면 딱딱한 원래 상태로 돌아간다. 이와 같은 현상을‘복빙 현상’이라고 한다. 스키를 탄 사람의 압력이 눈을 녹여서 스키가 미끄러질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또한 이 때 눈 ... ...
흡혈박쥐의 역습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할 때 감염된다주로 숙주의 흉부 및 후지(後肢)의 바깥쪽 피하조직에 기생하고, 감염
부위
에는 유충에 의한 비후(肥厚)가 일어나 지름 5cm 크기의 결절(結節)이 생긴다이 피부병에 의해 가축은 육질(肉質)이 떨어진다나자식물 은행류(類)에 속하는 화석식물 주로 중생대 지층에서 나오며 오늘날의 ... ...
나선이 지그재그를 만날 때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B-Z 결합
부위
의 구조를 이용하면 B와 Z-DNA로 이뤄진 나노장치를 디자인 할 수 있다. 결합
부위
에서 돌출된 염기를 아미노퓨린(aminopurine) 같은 형광 염기로 바꾸면 구조 변화를 빛으로 알려 주는 스위치로 이용할 수 있어 나노센서로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네가티브 슈퍼코일링(negative supercoiling ...
세상의 모든 아픔 치유할 '약손'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뇌기능도 일시적으로 정지하죠. 수술하려고 그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나 싶어요. 수술할
부위
에서만 통증을 못 느끼면 되지 않겠습니까?”통증발현연구단을 이끄는 오우택 교수의 꿈은 모든 종류의 통증 메커니즘을 정복해 마취제가 필요 없게 하는 것이다. 캅사이신채널은 캅사이신 같은 화학적 ... ...
오른발보다 왼발이 더 길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이유에서다.심리학자들에 따르면 지극히 평범한 연인들도 발을 섹시한 매력이 있는 신체
부위
가운데 하나로 여긴다. 또 맨발은 성적 매력 수단으로 존재하고 발과 에로티시즘 사이에 깊은 관계가 있다고 본다. 미국의 저명한 정신과 의사인 칼 멘닝거는 ‘인간의 마음’이란 책에서 여러 나라의 ... ...
뇌는 블랙박스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생긴 뇌가 얼마나 가소성을 발휘해 회복하는지, 신경세포로 분화시킨 줄기세포를 병든
부위
에 넣어주면 뇌기능이 얼마나 회복 가능한지 풀 수 있을 것이다. 독자 여러분의 뇌가 재미를 느끼며 배워 이 같은 뇌 관련 난제들을 풀어내고 싶어지길 바란다. 그리고 꼭 누군가는 직접 풀어낼 수 있길 ... ...
질병 없는 세상, 더 이상 꿈이 아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만들어 내고 신경세포로 분화시킨 다음 몸에 넣어 주면 신경세포는 척추의 상처
부위
에 들어가 손상된 세포를 대신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마비되었던 하반신을 다시 원래처럼 쓸 수 있게 된다.당뇨병 |인슐린 분비세포피 속의 혈당이 높아져서 무서운 합병증에 걸리게 되는 당뇨병. 당뇨병 환자는 ... ...
철새 이동으로 조류독감 바이러스 유럽까지 전파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적당한 일장(日長) 처리를 한 식 물에는 꽃눈 분화가 일어나는데, 일장처리에 감응하는
부위
는 잎이므로 잎으로부터 줄기 끝에 있는 싹으로 어떤 자극인자(刺戟因子)가 이행하는 것으로 생각된다고(高)에너지 입자를 이용할 목적으로 제작된 가속기 기종으로는 양성자(陽性子) 싱크로트론이 ... ...
이전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