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d라이브러리
"
부위
"(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술, 담배, 마약 왜 끊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밝혀졌다. 특히 청소년기에 복잡한 정보를 처리하는
부위
인 전뇌피질과 기억을 담당하는
부위
인 해마에서 어렸을 때보다 신경 연결이 더욱 정교하게 구성돼 있는 사실을 확인했다. 청소년들이 과도한 음주를 반드시 삼가야 할 이유다.엑스터시는 메스암페타민의 구조를 약간 변형시킨 약물로, 외국 ... ...
3. 첨단 나노기술로 웰빙의약품 만든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한편 수화젤은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는데도 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골이 파괴된
부위
에 연골세포를 분산시킨 액을 투여하면 액이 굳으면서 빈 공간을 메운다. 그뒤 세포가 수화젤에서 자라면서 결국 조직이 재생됨이 동물실험으로 확인됐다. 외과적인 수술 없이 주사만으로 손상된 조직을 ... ...
뇌지문으로 거짓말 탐지할 수 있나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있다. 미 뉴욕시립대 퀸스칼리지 레이존슨 주니어 존스 박사팀은 거짓말 할 때 뇌의 어떤
부위
가 반응하는지 대해 2001년부터 연구해왔다. 브라질 도르병원 호르헤 몰 박사 연구팀도 자기공명영상(MRI) 장치를 이용해 도덕적 판단을 할 때 뇌의 반응을 조사하고 있다.한편에서는 체온이나 얼굴 표정, ... ...
만약 손가락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밀치면서 터득한 손의 감각이 뇌의 정교한 신경망을 창조해낸다는 것이다.인체 각
부위
의 기능을 관장하는 부분을 뇌 위에 펼쳐 지도를 만들면, 뇌의 핵심 부분인 운동중추 사령실 면적의 30%가 손에 해당한다. 사령실의 크기는 운동의 정밀도와 복잡성에 따라 정해지는데, 손가락이 얼마나 정교한 ... ...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함께 대표적인 육식공룡으로 꼽히는 알로사우르스였다.“발굴된 계룡이 화석의 어깨
부위
에서 알로사우르스의 이빨로 추측되는 화석이 발견됐어요. 계룡이가 알로사우르스에게 잡아 먹혀 죽은 뒤 화석이 됐을 가능성이 있어 알로사우르스의 화석도 함께 전시했습니다.”조한희 부관장이 재미있는 ... ...
장에 사는 인체의 수호천사 비피더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구조에 대한 추가연구를 진행 중이다.대장암과 식품 알레르기의 천적 우리나라 암 발생
부위
를 보면 대장암이 가장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장내 유해균이 생산하는 각종 유해물질은 대장암 발생을 증가시킨다. 이에 반해 유산균은 항암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필자의 연구팀은 ... ...
새만금 갯벌에 기댄 어민들의 삶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찔리면 견딜 수 없이 아프다. 심한 경우 구급차까지 부른다. 솔잎을 넣고 달인 물에 찔린
부위
를 담그면 효험이 있단다. 이렇듯 독한 놈이지만 매운탕 맛만큼은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고 ... ...
그의 뇌와 그녀의 뇌는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fMRI) 촬영이다. 이를 이용하면 의미있는 말이나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뇌
부위
가 어디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언어 전달과 같은 복잡한 활동에는 뇌의 특정 부분이 아닌 여러 부분이 관여하는데 성별에 따라 관여하는 부분이 다르다. 예를 들어 남성의 경우 좌측 측두엽의 일부분만 사용하는 반면, ... ...
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것인데, 생리적으로 무해한 자극이 자율신경계를 거쳐 자극
부위
에서만이 아니라 먼
부위
까지 병변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자를 구성하는 약 300여 종의 소립자 중의 하나 유럽 합동원자핵 연구소와 프랑스의 원자연구소가 280억 eV(전자볼트)의 가속장치를 사용하여 발견했다 양성자를 ... ...
혈관 다스려 난치병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새어나가는 엉성한 혈관을 만드는 경우가 있다는 사실. 이때는 혈관성장인자를 투여한
부위
가 붓거나 염증이 생긴다. 혈관성장인자가 혈관을 지나치게 많이 만들면 자칫 암으로 진행하는 부작용이 생길 위험도 있다.1996년 미 바이오벤처회사 리제네론의 조지 얀코풀로스 박사 연구팀은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