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d라이브러리
"
부위
"(으)로 총 2,363건 검색되었습니다.
줄기세포 치료의 열쇠는 분화 기술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경우 대량증식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뿐만 아니라 이식 후 성체줄기세포가 손상
부위
로 찾아가서 영구히 자리잡고 기능을 유지하게 하는 연구도 필요하며, 세포치료 후 생길 수 있는 합병증도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 줄기세포를 원하는 세포로 마음대로 분화시킬 수 있는 메커니즘 연구, 즉 ... ...
손목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이유 - 손목뼈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부러지는 경우가 많다. 이때 손배뼈가 쉽게 만져지는 해부학코담배갑(anatomical snuffbox)
부위
가 부어오르고 통증을 느끼게 된다. 손을 쫙 폈을 때 엄지손가락과 손목 사이에 생기는 고랑을 해부학코담배갑이라고 한다. 팔에서 손으로 가는 동맥이 2개가 있는데, 해부학코담배갑에서는 그 중 하나를 쉽게 ... ...
수면장애 환자 왜 깊은 잠 못들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설명할 수 있는 유전자를 찾아냈다.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신희섭 박사팀은 뇌의 시상
부위
에 있는‘T타입 칼슘채널’유전자가 손상되면 깊은 잠을 자지 못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미국과학원회보’(PNAS) 12월 15일자에 발표했다.정상적인 경우 깊은 잠에 빠지면 뇌에서‘델타파’라는 뇌파가 ... ...
정신병은 어떻게 치료할까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종종 우울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장기간 우울증에 빠진 환자의 경우 뇌 특정
부위
가 정상인보다 작아지고, 우울증 치료제를 복용하면 뇌세포의 생장이 증가하는 것이 동물실험으로 확인됐다.정신세계와 뇌의 상태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약물로 어느 정도 조절이 가능하다는 사실은 ... ...
4. 디지털 카메라에 숨어 있는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된 아주 작고 날카로운 칼’이다. 칼로 피부나 조직을 자르듯이 레이저로 원하는
부위
를 자른다.아인슈타인은 레이저의 아버지레이저를 처음 만든 사람은 미국의 물리학자 찰스 타운스와 러시아 물리학자 니콜라이 바소프, 알렉산드르 프로호로프다. 이들이 만든 것은 당시 레이저 대신 ... ...
전자 움직임 직접 본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발생하면서 간섭을 일으킨다. 간섭 패턴은 전자의 위치와 레이저 펄스를 맞은 분자의
부위
에 의해 결정된다. 이 과정은 2펨토초(펨토는 ${10}^{-15}$)만에 일어난다. 연구자들은 수천회의 펄스 실험을 통해 얻어진 간섭 데이터를 처리해 질소분자의 전자분포를 얻어내는데 성공했다.연구자들은 ... ...
대형유인원 화석 및 진화 지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불과하다이에 비해 방사선 생물학자들에게는 생체 내에 특히 방사선의 피해를 쉽게 받는
부위
를 조사하는 것이 방사선 생물학 초기의 연구과제였다그 후 많은 연구를 통해 척추동물의 조혈조직 · 장점막 등이 방사선에 특히 높은 감수성을 가진다고 밝혀졌다방사선의 조사(照射)로 인해 물질(주로 ... ...
동해에서 육지가 떠오른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대륙이 가라앉아 그곳에 동해가 생긴 것이다. 현재 동해 바닥 곳곳에서 발견되는 돌출
부위
는 동해가 만들어질 때 가라앉은 대륙 조각들로 밝혀졌다. 이 대륙 조각들 중 일부는 현재 한반도에 분포하는 중생대 쥬라기의 대보화강암과 백악기의 불국사화강암과 같은 종류다.일본열도가 떨어져 나간 후 ... ...
X-43A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수술의 한 방법 즉 동맥이나 정맥에 심한 협착(狹窄)이나 폐색성 병변(病變)이 있을 때 그
부위
의 중추측과 말초측(末梢側)에 대용혈관을 사용하여 문합(吻合)해서 대용혈관을 통해 충분한 혈액을 말초에 흐르게 하는 수술을 말한다 1836~1906 러시아의 화학자 독일계이며 페테르부르크 태생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불리는 이 자리는 언어운동을 관장하는
부위
다. 그뒤 많은 과학자들이 뇌의 특정
부위
와 기능을 연구해 ‘뇌지도’를 만들었다. 전체적으로 좌뇌는 주로 언어능력에 우뇌는 시각능력에 관여한다.그럼에도 대부분의 정보는 좌뇌와 우뇌의 협력 속에서만 제대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뇌가 ... ...
이전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