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0억×10억 개가 넘는 입자들로 이뤄져 있다. 1027개에 달하는 입자들을 이런 식으로 일일이
관측
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과학은 수많은 불가능을 가능하게 만들면서 진보해 왔다. 택배업체들이 공간이동업체로 업종전환하는 날이 언젠가는 오리라 믿는다.양자와 중력은 20세기 초 물리학의 ... ...
Part 3. ‘가장 완벽한 이론’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동시에 각각의 사건이 존재하는 세계로 세계 자체가 갈라진다는 해석이다. 다시 말하면
관측
을 하는 순간 세계는 ‘슈뢰딩거의 고양이가 살아 있는 세계’와 ‘죽은 세계’로 갈라진다. 이 해석은 우주론에도 영향을 미쳐 현재 우주도 매 순간 무수히 많은 우주로 갈라지고 있다는 ‘다우주 ... ...
두 개의 태양을 가진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방법으로 외계행성을 찾는다. 행성이 별을 가로지르면서 별빛이 어두워지는 정도를
관측
해 외계행성을 찾는 방법이다. 0.002%의 매우 미약한 빛의 변화까지 감지할 수 있다.행성의 질량은 별빛가림 방법으로는 알 수 없어 별의 시선속도 변화를 이용했다. 계산 결과 케플러-16b는 갈색왜성과 같은 ... ...
MIE 수업 탐방 스케치 전북 군산대 과학영재교육원 태풍도 폭우도 수학동아 MIE를 막을 순 없다!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한 날 군산과 가까운 전북 정읍에서는 하루 동안 422mm의 ‘물 폭탄’ 이 쏟아져 그 지역
관측
사상 최고의 강수량을 기록했어요. 9월에는 맑은 날이 많을 것 같은데, 철사 같은 도구로 자신만의 비누막 모양을 만들어 보면 어떨까요 ... ...
해양
관측
바다를 보면 OO 이 보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앞서 말했듯이 태풍은 바다에서 생겨나요. 아르고 장비로 바다의 층별 수온과 염분 등을
관측
하면 어디서, 또 얼마큼 큰 태풍이 생길 수 있는지 예측할 수 있어요. 태풍이 일어나면 강한 바람 때문에 바다 표층의 따뜻한 물과 심층의 차가운 물이 뒤섞여요. 태풍이 생길 무렵에 아르고장비가 수집한 ... ...
‘다중우주’ 첫 검증, 실패로 끝나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연구팀은 “WMAP의 자료가 끝이 아니다”며 “유럽 우주국(ESA) 플랑크
관측
위성의 새
관측
자료가 축적되면 계속 시도할 것”이라고 말했다.이 연구 결과는 이론물리학계 저널 ‘피지컬리뷰레터’와 ‘피지컬리뷰D’에 동시에 실렸다 ... ...
NASA의 새로운 미션, ‘목성의 비밀을 밝혀라’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NASA는 탐사선 ‘주노’를 목성으로 보냈다. 주노는 태양빛으로 움직이며 목성을 5년간
관측
할 예정이다. 목성을 연구하는 이유는 행성의 기원과 진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다. 이 프로젝트는 NASA의 ‘뉴 프런티어스’ 프로그램의 두 번째 임무다. ...
우주에서 가장 어두운 행성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찾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케플러우주망원경은 뜨거운 열에서 나오는 적외선을
관측
해 이 행성을 발견했다.연구팀은 미세한 밝기 변화를 추적해 이 행성의 반사율을 계산했다. 먼저 행성이 앞에 있을 때 밤 부분의 밝기를 측정했다. 그리고 모항성 뒤에 있을 때 빛을 받는 낮 부분의 밝기를 측정해 ... ...
달에게 동생이 있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상당히 많이 개발했다. 하지만 지금까지 제시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관측
증거와 실제 증거가 필요하다. 인간은 아직 달 뒷면의 월석도 가져오지 못했다.사람들은 가장 가까운 천체로 인간이 유일하게 발을 디뎌본 달에 대해서라면 모든 것을 알고 있으리라 생각할지 모른다. 그러나 ... ...
별과 생명체의 씨앗 우주먼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사라지며(또는 중성자별이나 블랙홀로 바뀌며) 엄청난 양의 먼지를 내뿜었다는 것. 이번
관측
은 초신성 폭발이 정말로 충분한 양의 먼지를 만들어냄을 보여줬다. [➊ 우주탐사선 스타더스트호에 실린 우주먼지 채취장치. 나노 다공성 물질인 에어로젤이 채워져 있다.➋ 에어로젤에 부딪친 뒤 뚫고 ... ...
이전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