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노벨 물리학상 - 우주는 점점 빨리 팽창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가속팽창을
관측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두 번째는 최소한 두 가지 이상의 다른
관측
방법을 사용해 정확도를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가 모르는 새로운 물질을 도입해야 하는지 아니면 아인슈타인의 중력을 거시적으로 수정해야 하는지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시간여행을 할 수 있다.2011년에 불가능한 이유다른 모든 것이 가능하다고 하자. 아직
관측
되지 않은 우주끈도 있다고 하자. 그런데 과거로 시간여행이 가능하려면 질량이 1cm당 1경t이며 빛의 속도의 99.999999996% 이상으로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는 무한히 평행한 두 우주끈이 존재해야 ... ...
一石二鳥(일석이조)란 이런 것!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갤럭시 주는 은하 분류 작업을 감당할 수 없게 된 천문학자들이 만들었다. 지금까지
관측
한 수많은 은하의 사진을 온라인(www.galaxyzoo.org)에 공개하고 누구나 분류 작업에 참여할 수 있게 만든 것이다. 은하의 사진을 보고 나선은하인지 타원은하인지, 나선은하라면 나선팔은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 ... ...
금성에도 오존층 있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밝혀졌다. 2006년부터 금성을 돌고 있는 유럽우주국(ESA)의 ‘비너스 익스프레스’호의
관측
결과다. 비너스 익스프레스 호에는 금성의 대기를 조사하는 스펙트로스코프가 실려 있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금성의 오존층은 지표면에서 약 100km 상공에 있다. 지구 오존층의 100분의 1 정도 규모다 ... ...
때리거나 쓸어담거나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아니라 나무의 중간 높이나 숲의 우거진 윗부분에 사는 애벌레를 채집하고자 할 때는
관측
만으로 발견하기가 어렵다. 이럴 때는 식물을 때리거나(beating) 쓸어본다(sweeping).[반달누에나방(Mirina christophi ) 쓸어담기 방식으로 채집할 수 있는 종분류 : 나비목/반달누에나방과날개 편 길이 : 40~5 ... ...
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것이다.[남극의 ‘아이스큐브’실험장의 모습. 우주에서 날아오는 고에너지 중성미자를
관측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아인슈타인의 종횡무진 시공간 여행기PART 1. 타임머신의 탄생PART 2. 타임머신 터미널PART 3.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PART 4. SF꽁트 - ... ...
Part 1. 이랬다 저랬다 미스터리 양자월드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한다. 1948년, 네덜란드 물리학자 헨드릭 카시미르가 처음으로 예측했고, 약 50년 뒤에
관측
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두 금속판에 어떤 전자기력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고전물리학의 관점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카시미르의 힘은 양자역학에서 가장 유명한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와 관련이 ... ...
Part 3. 투수를 해부하는 메스, 투구추적시스템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스포츠비전 사에서는 이 시스템을 더 확장해 경기 중 수비수의 움직임을 하나하나
관측
해서 실제 수비수의 수비범위를 측정하려고 한다야구가 과학을 만나면서 야구계는 하루가 다르게 변하고 있다. 이런 자료를 더 많이 접하고 이를 야구팬이 폭넓게 즐길 수 있다면 국내야구 문화도 ... ...
별 삼키는 블랙홀 봤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지구에서 무려 39억 광년이나 떨어진 먼 은하에서 엄청난 일이 일어났다. 은하 중심에 꽈리를 틀고 있던 거대한 블랙홀이 주변을 지나가는 별을 집어삼킨 것. 블랙홀의 강력 ... 목적은 감마선폭발을
관측
하는 것이나 이번에 블랙홀이 별을 삼킬 때 나오는 제트를
관측
하는 개가를 올렸다. ... ...
우주 방사선이 구름도 만들어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결과 지금까지 하층 대기의 에어로졸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했던 수증기는
관측
할 수 있는 에어로졸 형성의 극히 일부만 설명할 수 있었다. 대신 우주 방사선의 이온화 효과가 에어로졸 형성을 크게 촉진한다는 것이다.연구팀은 수km 상공에서는 황산과 물의 증기가 빠른 속도로 결합하며,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