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 우주 페스티벌 광주과학관기사 l20251020
- 눈에 보이지 않는 빛도 있는데 특별한 필터를 사용해 그 빛을 보면, 태양이 다른 색으로 보이기도 합니다. 망원경 관측 후 태양관측 카드를 받았는데요, 이 카드는 태양만 뚜렷하게 보이고 다른 것들은 더 검게 나왔습니다.(우리나라에서 2번째로 큰 망원경)스페이스 360스페이스 360은 우리나라에 하나밖에 없는 장치로, 360도로 움직 ...
- [우주기자단] 우주기자단! 국립광주과학관에 모이다!기사 l20251013
- 망원경으로 낮 시간의 태양을 관찰했는데요, 흑점과 태양의 코로나현상을 주의 깊게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망원경 관측을 한 후 태양관측카드를 보니 눈이 아프지도 않고, 더욱 선명하게 보여서 신기했습니다. 또한, 천문대의 메인 망원경을 보여주셨습니다. 이 망원경은 한국에서 두 번째로 큰 망원경이라고 하셨습니다. 첫 번째로 큰 망원경은 ...
- 제39회 인촌상 시상식에서 김범준 교수님을 만나다.기사 l20251012
- 연구 장비가 없던 시절, 학생들과 함께 직접 실험 장비를 만들며 연구를 이어갔어요. 그 덕분에 세계에서 처음으로 스핀 네마틱상을 관측하는 데 성공했죠. 수상 소감에서 김 교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셨어요. "이 상은 저 혼자만의 것이 아닙니다. 함께 연구한 제자들과 동료 과학자들, 그리고 응원해 주신 가족 모두의 것입니다. "과학은 혼자가 아닌 ...
- 국립광주과학관 우주캠프를 다녀와서기사 l20251012
- 가지고 우주로 올라갈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강연이 끝나고 우리는 별빛천문대에서 태양 관측을 했습니다. 2개의 망원경으로 태양관측을 했는데요. 하나는 태양의 표면이 보이는 망원경이고 다른 하나는 태양 주변 뿔같은게 보이는 망원경입니다. 사진5,6:망원경들 그리고 별빛천문대 내부에 있는 큰 망원경을 봤는데요 이 망원경에 들어있는 ...
- 우리 민족의 혼, 한글과 세종대왕의 비밀을 파헤치다!기사 l20251009
- 입은 왕이 세종대왕, 편경을 연주하는 자가 박연),(작가: 이유태/ 1970년대 초)두 번째 그림은 서운관도입니다. 서운관은 조선시대 기상 관측을 담당하던 관청으로 세종대왕은 천문 역법을 연구하게 하였고 장영실, 이천 등이 앙부일구, 혼천의, 간의 등의 천문 과학 기기를 제작하게 하였습니다. 그림은 왕세자 이항(훗날 문종)과 함께 독창적인 조선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