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작아서 강한 큐브샛, 인공위성 성능 뺨친다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위성의 자세제어 모듈이나 탑재체의 소형화 가능성을 실험해 볼 수 있다. 위성에 투입할
관측
장비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테스트도 가능하다. 무엇보다 우주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여러 실험을 저렴한 비용의 큐브샛으로 할 수 있어 우주공학자들의 눈과 귀를 끌어모으고 있다. 우주쓰레기 문제 해결 ... ...
태양과 ‘맞짱 뜬’ 혜성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태양계에서 가장 온도가 높고 중력이 강한 태양. 여기에 차갑고 부서지기 쉬운 혜성이 돌진하는 모습을 눈으로 볼 수 있을까. 미국항공우 ... 통해 표면의 모습을 상세히 관찰하고 특성을 깊이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하지만 SDO가
관측
한 이번 결과는 새로운 수수께끼를 던져주는 것 같다 ... ...
Intro. 우주의 불꽃축제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오늘밤에도 우주 어딘가 한두 곳에서는 화려한 불꽃이 터진다.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훨씬 짧은 감마선 불꽃이라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그 에너지는 어마어마하다. 불과 수 ... 우주의 불꽃축제 감마선폭발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 ...
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2008년 3월 19일 우연히 밤하늘을 바라본 사람들 가운데 일부는 평생 한 번 뿐일지 모르는 색다른 경험을 했을 것이다. 무려 74억 년을 여행해 마침내 지구에 도달한 빛을 맨 눈으로 ... 우주의 불꽃축제 감마선폭발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 ...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이끈다감마선폭발(GRB)은 빅뱅 이후 우주에서 일어나는 가장 강력한 폭발로 태양이 수십 억 년에 걸쳐 방출하는 에너지를 단지 수 초에서 ... Intro. 우주의 불꽃축제 감마선폭발Part1. 우주 극한 현상의 지존, 감마선폭발Part2. 감마선폭발
관측
우리나라가 ... ...
양자역학 토대 불확정성 원리 도전 받나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두 번째
관측
에서는 첫 번째
관측
에 의한 교란(스핀의 미세한 변화)을
관측
했다. 그 뒤
관측
결과 얻은 스핀 각도 등 물리량을 기존의 불확정성 원리 부등식과 오자와 교수의 부등식에 각각 대입해 비교했다.그 결과 기존 수식보다 오자와 교수의 부등식을 더 만족한다는 결과를 얻었다. 위치와 ... ...
우주에 흔한 게 행성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생긴다. 이 방법으로는 별에서 멀리 떨어진 행성도 찾을 수 있다.연구팀은 6년 동안
관측
한 자료를 분석해 외계행성 3개를 찾아냈다. 두 별이 정확히 일치하는 경우가 드물다는 점으로 보아 이는 굉장한 행운이거나 행성이 원래 흔하다는 뜻이다. 연구팀이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 별에 행성이 ... ...
[1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레이더에 잡히지 않은 채로 15km 상공을 비행하며 최첨단 카메라와 센서로 지상을
관측
할 수 있다. 드론 한 대에 미국의 첨단 군사과학 기술이 집약됐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미국은 스텔스 기술이 이란으로 유출되는 것을 우려하고 있다. 이란이 드론을 도포한 특수페인트의 화학 성분을 분석할 ... ...
6000년 전 배달국의 천문대장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기원전 1733년이면 고조선 시대다. 박 위원은 오성취루 기록을 통해 고조선이 천문현상을
관측
해 기록으로 남길 수 있는 조직과 문화를 소유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고 강조했다. 설사 환단고기가 다른 기록을 베꼈다고 해도 고조선이 건재했다는 사실은 당연히 영향을 받지 않는다.그는 고조선이 ... ...
롱다리 새, 펭귄의 진실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1호
말해요. 어두운 곳에서도 사냥을 잘하는데 말이죠. 최근에 미국 포인트레이즈 조류
관측
소(PRBO)의 그랜트 발라드 박사팀이 이 사실을 알아냈죠. 연구팀은 65마리 아델리펭귄에게 장치를 달아 조사했어요. 이들 대부분은 해수면에서 50~100m 깊이 바다에서 사냥했죠. 이 깊이의 남극 바다는 초저녁처럼 ... ...
이전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