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측"(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암흑광자를 사냥하라과학동아 l2012년 06호
- 힘이 없을 경우, 우주 에너지의 밀도가 지금보다 더 커야 하며, 우주의 편평도도 관측결과와 달라진다”고 설명한다. 어떤 식으로든 암흑의 힘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물론 암흑광자가 정말로 암흑의 힘인 암흑전자기력을 만드는지는 아직 모른다. 하지만 만약 암흑광자가 정말로 암흑전자기력을 ... ...
- Part 2. 은하 안방 차지하고 무수한 별 먹었다과학동아 l2012년 06호
- 대한 활발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어 앞으로의 결과가 매우 기대된다.[허셜우주망원경의 관측 결과 거대질량 블랙홀이 지나치게 활발해 많은 에너지를 분출하면 온도가 높아져 주변에서 별이 잘 안 만들어진다는 사실이 최근 밝혀졌다. 중심에서 거대한 제트를 분출하고 있는 은하 Arp 220의 상상도. ... ...
- Part 1. 바닷물은 어디서 왔는가?과학동아 l2012년 06호
- 결과가 나오면서 지구 생성 당시부터 물이 존재했다는 주장이 나왔다.][NASA는 혜성 근접 관측을 위한 ‘에폭시’ 프로젝트를 통해 지난 2010년 혜성 ‘하틀리2’ 근접 촬영에 성공했다. 사진은 하틀리2를 근접촬영하는 장면을 사실에 가깝게 그린 상상도. 2011년에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과학자들이 ... ...
-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우주의 실체를 확실히 모르고 있다는 사실이다. 컴퓨터로 계산한 우주는 우리가 우주를 관측하는 방식을 모델로 구현한 것이다. 컴퓨터로 재구성하는 우주도 인간의 한계를 넘을 수 없다.이런 한계는 컴퓨터의 한계라기보다 인간의 한계다. 사실 탄생 100주년에 즈음해, 필자는 튜링이 사회적인 소외 ... ...
- 아리랑 3호 세계와 겨룰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2년 06호
- 6번째 수준이다(정찰위성 제외). 아리랑 3호보다 뛰어난 공간 구분 능력을 지닌 다목적 관측위성을 만들고 보유한 나라는 미국과 유럽, 이스라엘뿐이다. 세계의 고성능 광학 위성의 현황을 인포그래픽으로 알아봤다 ... ...
- 지옥보다 독한 극한실험실5과학동아 l2012년 06호
- 가장 낮은 온도는 지구에서 1500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 부머랭 성운(위 사진)에서 관측됐다. 영하 272℃로, 모든 원자 움직임이 정지하는 절대온도보다 1℃ 높다. 유럽에서는 독일항공우주센터(DLR) 등이 보다 낮은 온도를 측정하려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지금까지 과학실험실은 자연이나 우주의 ... ...
- 금성의 '미니일식'을 만나자! 태양일식 관측기과학동아 l2012년 06호
- 오래 쳐다보면 실명 위험이 있으므로 조심하자. 과학동아키트에서 출시한 ‘태양일식관측기’는 유럽 안전 기준을 통과한 ND5의 특수필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안심하고 관찰할 수 있다. ND5 기준이면 일반 조명의 빛은 전혀 보이지 않고 태양의 모양만 또렷하게 보인다.일식에 대한 원리 설명이 들어 ... ...
- 비상~! 보이지 않는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6호
- 값을 비교해 미세먼지 양을 알아내는 거야. 이렇게 얻은 값은 NASA가 인공위성과 비행기에 관측 장비를 실어 측정한 값과도 비교하지. 이렇게 해서 미세먼지의 양과 크기, 화학성분까지 자세하게 알 수 있는 거야.특히 우리나라는 중국에서 많은 양의 미세먼지가 날아오는데, 이 장치로 중국에서 오는 ... ...
- 시로 읊고 퍼즐로 푼다! 수학 삼국지수학동아 l2012년 06호
- 조사해 π=3.141666이라는 정확한 근삿값을 얻기도 했다. 행성의 위치에 대한 천문관측과 지리학 연구에 쓰이는 수학적 기법과 천문장비 등에 대해 연구했다.중국의 주판이나 인도의 숫자를 비롯한 아시아의 수학과 도구가 서양으로 전해져 수학 발전의 밑거름이 됐다. 그동안 서양 수학에 비해 많이 ... ...
- Part2. 끈이론 다중우주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중력(끌어당기는 힘으로, 결국 우주를 수축시킨다)에 대항해 우주를 팽창시킨다.현재 관측으로 확인된 우주상수는 대단히 작다(물리학자들이 쓰는 단위 없는 기준으로 10-123). 그리고 시간에 따라 변화하지 않는 값, 즉 상수다. 그런데 이 값이 정확히 지금의 값이 된 이유를 설명하기가 쉽지 않다. ... ...
이전1301311321331341351361371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