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d라이브러리
"
관측
"(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Major eruption of Mt. Baekdu ‘possible’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현상’들이 목격된다고 말했다. 이 현상들의 빈도도 늘었다. 백두산의 화산활동을
관측
하는 한 중국 연구소는, 인간이 느끼기에는 너무 미약한 작은 지진이 하루 100회 이상 발생한다고 한다. 백두산이 분화할 가능성을 보여주는 또 다른 지표가 있다. 2002년 이후 백두산의 고도가 10cm 정도 높아졌다는 ... ...
Part 2. 과학으로 다시 보는 후쿠시마 원전 사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설명했다. 하지만 이 확률은 여름인 6월 이후로는 늘어난다.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지상
관측
위성이 촬영한 일본과 태평양 상공의 강우도. 주로 동쪽 태평양으로 향하고 있다. 작은 화살표는 1.5km상공의 풍향을 나타낸다. 대부분 서풍과 북서풍이 분다. 맨 위부터 3월 13일, 18일, 23일 자료다.]3 ... ...
천리안은 왜 일주일에 한 번 궤도를 바꿀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항상 지상을 향하고 있어야 한다. 인공위성은 수백km 또는 수만km 상공에서 지구를
관측
하므로 그 정도 높이에서 0.1°만 자세가 틀어져도 지상에서는 수십~수백km의 오차가 발생한다. 정밀한 자세 제어가 무엇보다 중요한 이유다.실제로 위성과학자들은 궤도를 ‘조정(maneuver)’한다고 하고 자세는 ... ...
우주까지 반백 년, 그리고 우주에 다다른 지 반백 년…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1952년 국제과학연합위원회는 1957년과 1958년을 ‘국제지구물리
관측
년’으로 정하고
관측
위성을 쏘아 올려 지구환경을 더욱 정확히 알아보기로 했다. 그때쯤 이미 소련은 대륙 간 탄도미사일 개발을 완료했다고 발표했음에도, 1957년 미국을 비롯한 많은 나라가 소련의 스푸트니크 1호 위성 발사에 ... ...
천체망원경 제작에 도전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우리는 많은 곳을 방문해 새로운 체험을 합니다. 그 과정에서 조금만 공을 들인다면 연구활동의 기회를 충분히 얻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천문대를 방문할 기회가 생긴다 ... 감춰져 있는 듯했다. 천체
관측
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다시 오면 그땐 다른 행성들도 한번씩
관측
해보고 싶다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만큼 꾸준히 노출될 수 있는 것이 문제다. 우리나라는 시간당 100μSv가 넘는 방사선량이
관측
되면 대피 경보 방송을 실시한다. Tip - 일본 원전 최악의 시나리오일본 후쿠시마 원전에서 냉각수가 사라지고 뜨거운 핵연료봉의 온도를 낮추지 못하면 핵분열 반응에 쓰이는 핵연료가 녹게 된다. 이 ... ...
'거짓말 없는 세상' 에서 수 읽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관측
해 얻어낸 값을 그래프로 나타내어 봤더니 종 모양의 그래프가 됐다. 즉 어떤 대상을
관측
했을 때, 계속해서 일정하게 나타나는 값들의 평균값이 중앙에 나타나는데, 이는 근사값을 의미한다. 이 그래프를 ‘정규분포곡선’ 이라고도 하지만 발견한 독일의 수학자 이름을 따서 ‘가우스 ... ...
Part 3. 수학과 과학은 서로 다르다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학문입니다. 과학에선 이론을 검증하는 방법으로 실험관찰이 강력한 힘을 발휘하지요.
관측
을 통해 새로운 행성 하나를 발견하거나 실험에 의해 치료 효과가 있는 물질을 개발하면 과학계의 새로운 발견으로 인정받으니까요. 하지만 수학 세계에선 실험 관찰을 이론의 증명방법으로 인정하지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때문이다.미국 해양대기청(NOAA)의 발표에 따르면 이번 센다이 지진해일은 외양에서
관측
한 것중에서 규모가 가장 컸다. 전문가들은 불행하게도 이번 지진이 ‘거대 쓰나미’를 만들 수 있는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었다고 말한다. 일반적으로 지진해일은 규모가 6.3 이상이고 진원 깊이가 80km 이하인 ... ...
내 별은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것 같다.] [청소년 금상 | 김경진 ‘NGC2244 (장미성운)’지난 1월 20일 강원 횡성군 별마실
관측
소에서 촬영한 NGC2244. 어둠 속에서 선명하게 빛나는 빨간 장미 모양이다.] [일반 입선 | 이명 ‘월식’지난해 12월 21일 서울 한강공원에서 원효대교 위 하늘을 5분 간격으로 촬영했다. 월식으로 보이지 않던 ... ...
이전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