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측"(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라온 호 '남극 200일'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1년 01호
- 농도와 풍향, 풍속을 측정할 수 있는 공분산기체교환측정시스템 등 60가지가 넘는 장비가 관측에 이용되고 있다. 바다와 땅속, 대기를 종합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다목적 측정실인 셈이다. keyword 3. 생물극한의 생물에게서 배운다남극은 기온이 영하 55℃까지 내려간다. 여기에 최고 초속 50m까지 ... ...
- 12월 7일에 눈이 올까요?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3호
- 서울에 첫눈이 내렸다고 발표했어요. 쌓이지도 않았는데 무슨 첫눈이냐고요? 각 지방의 관측소에서 맨눈으로 눈발이 날리는 것이 확인되면 첫눈이라고 발표하거든요. 이번에는 첫눈이 아주 조금 내린 탓에 보지 못한 친구들이 더 많을 거예요.하지만 실망하지 마세요. 학교 가는 길에 눈만큼 예쁜 ... ...
- 풍선으로 지구를 찍다!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1호
- 찍은 사진이랍니다. 지난 9월 4일, 충남대학교 형, 누나들이 헬륨 가스를 넣은 기상관측용 풍선에 카메라와 GPS를 달아 하늘로 띄웠어요. 이 풍선은 고도 30㎞ 상공의 대기권 밖으로까지 날아가 총 888장의 사진을 찍었는데, 다양한 기상현상은 물론 둥근 지구의 아름다운 모습도 담아냈답니다. 돈도 35만 ... ...
- 우주가 들썩 들썩~, 지구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1호
- 폭발했다. 당시 폭발음은 1만 6000㎞ 밖에서도 측정됐으며, 하늘에서 흰색 연기가 관측돼 지진이라고 생각한 주민들이 대피하기도 했다. 시속 7만 2420㎞로 지구 대기권과 충돌한 소행성은 핵폭탄 5만 톤의 폭발력과 비슷했으며, 히로시마에 투하된 원자폭탄의 3배 규모였던 것 으로 확인됐다.소행성, ... ...
- 특명! 태양 아르바이트 365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6호
- 지나가게 돼요. 이를 두고 ‘황도 12궁’이라고 한답니다.태양의 고도와 계절조도계로 관측했던 태양의 고도는 하루 동안에도 달라지지만 절기에 따라서도 달라요. 지구가 똑바르게 서 있지 않고 23.5° 기울어져 있기 때문이죠. 공을 비스듬하게 한 채로 전등 주위를 한 바퀴 돌아보세요. 이 때 공의 ... ...
- 나로호 2차 발사 실패, WHY ?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3호
- 말이야. 결국 발사 날짜를 하루 연기할 수밖에 없었단다.6월 7일 오후 4시1단 로켓의 지상관측시스템과 발사대 사이의 전기신호 불안정으로 나로 호를 세우는 작업이 5시간 늦춰짐.6월 9일 오후 2시발사 3시간 전, 소방시설 오작동으로 발사 하루 연기.6월10일 오후 5시 1분나로 호, 이륙 2분 17.19초(137.1 ... ...
- 제9회 전국학생 산업·기술·과학 논술대회 수상자 발표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3호
- 왔습니다. 측우기(강우량 측정).인지의 제작(토지를 측량), 연자방아, 디딜방아, 간의(천문관측), 혼천의 (천체운행 측정)를 만들어 냈으며, 항아리를 만들어 김치, 된장, 고추장이 발효되어 유산균이 만들어져 우리 몸에 좋다는 것을 알아낸 것도 생활 속에서 우리 조상들이 터득해 만들어진 ... ...
- 남해도 아열대 바다라고?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2호
- 바다가됐어요. 국립해양조사원은 2000년부터 2009년까지 격월로 남해의 수온 변화를 관측한 결과, 수심 1m의 표층 수온이 10년간 0.2∼1.7℃ 상승했다고 밝혔답니다. 아열대성 해양환경은 연평균 바닷물 온도가 18∼20℃ 정도인데, 남해 연안의 연평균 수온은 18∼19℃에 이르고 있지요. 아열대성 바다는 ... ...
- 하늘을 읽는 삼각법의 발견수학동아 l2010년 12호
- 가장 위대한 그리스 천문학자로 관측소를 세워 여러 관측도구를 발명해 천체를 관측했다. 잴 수 없는 거리를 재다 사인 값을 표로 만드는 일이 왜 필요했을까? 히파르코스의 스승인 아리스타쿠스는 지동설을 주장했고, 월식을 이용해 지구에서 달까지의 거리가 지구 크기의 35배임을 계산한 ... ...
- 지진 측정 오차 원인, 벤포드 법칙으로 밝혀수학동아 l2010년 12호
- 관측소 간의 차이가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이에 캔버라 지역의 다른 지진 기록을 캔버라 관측소 값과 비교해 같은 시간대에 캔버라 지역에서 발생한 지진의 영향 때문이라는 사실도 확인했습니다. 이 연구는 10월 14일 과학전문지 ‘뉴사이언티스트’ 인터넷판에 게재됐습니다 ... ...
이전14414514614714814915015115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