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무인가게에 수학이 사용된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무게 센서 덕분이지요. 무게 센서는 진열대 위 물건의 무게가 줄어들면 손님이 물건을 몇 개 집었는지 알아차려요.  인공지능 카메라는 손님이 무인 가게에 들어올 때부터 나갈 때까지 관찰해요. 특히 손의 위치를 자세히 파악해, 무게 센서가 보내온 정보가 정확한지 한 번 더 확인해요 ... ...
                            
 
                        
                        
                                            
                                                            
                                                             - 사고력 두뇌 퍼즐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않고, 가로줄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세로줄은 위에서 아래로만 읽어요.  [별 만들기] 6개의 마름모로 별을 만들려고 해요. 111쪽 도안의 마름모 조각을 아래 파란 공간에 적절하게 붙여 별을 완성해 보세요 ... ...
                            
 
                        
                        
                                            
                                                            
                                                             - [가상 인터뷰] 국내 최초 물리탐사 연구선 ‘탐해 2호’ 퇴역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바다를 잘 알고 있어야겠지?  탐해 2호는 1997년 독도 주변 해역을 탐사하다가 바다 아래 3개의 거대한 해저산이 있는 것을 발견하기도 했어. 덕분에 국제수로기구에 ‘독도해산, 탐해해산, 동해해산’이라는 우리말로 해저지명을 수록할 수 있었단다. 왜 더 활약하지 않고 바다를 떠나는 거야? 202 ... ...
                            
 
                        
                        
                                            
                                                            
                                                             - [지구사랑탐사대 인터뷰] 지구사랑탐사대의 새로운 리더 등장! 자연과인간 팀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잘 먹는 지렁이를 직접 찾아오느라 집에 늦은 적도 있지요. 사마귀를 방생할 때 날개에 작은 표시를 했는데 나중에 같은 장소에서 다시 발견하기도 했어요.  Q. 나중에 해보고 싶은 일이나 꿈이 있나요? 일본 남쪽 오키나와 지역에 있는 난세이 제도에 가보고 싶어요. 아열대 생물에 관심이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3조 원짜리 공연장, 스피어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앞으로 사람들에게 어떤 경험을 선사할 수 있는지 함께 살펴봐요.  사람과 달리 쥐나 개 등 다른 포유동물은 빨간색을 구분할 수 없습니다. 빨간색을 볼 수 있는 영장류, 그리고 인간은 어떤 이득을 얻었을까요? 이후 문명의 발전에 따라 사람들에게 빨간색은 어떤 의미를 가졌는지 영상에서 확인해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무선 조종 탱크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제어하고, 로봇에 달린 카메라가 찍는 영상을 실시간으로 볼 수 있지요. 로봇은 2개의 팔로 환자의 혈압, 심박수를 측정해 조종자에게 정보를 제공합니다. 또 주사기 같은 의료 장비를 꺼내 부상자에게 적절한 응급처치를 할 수 있지요. 탱크처럼 무한궤도가 달려 있어 무거운 장비를 차체에 싣고 ... ...
                            
 
                        
                        
                                            
                                                            
                                                             - 영재학교 전교생이 열광하는 소수교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보이는 활동이지만, 억지스러운 활동은 아니다. 우리 신체 대부분은 첫 번째 소수인 2개인 것이 많으며, 18세는세이고, 학번 107은이듯 1과 소수만을 이용해 모든 수를 표현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교화 프로그램을 거친 뒤에 소수교 정식 부원이 되면 일주일에 한 번씩 모여 각자 소수를 공부한 내용을 ... ...
                            
 
                        
                        
                                            
                                                            
                                                             - 아직 다 밝히지 못한 정체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자연수 중에는 약수의 개수가 단 2개뿐인 수가 있다. 약수도 특별한데, 심지어 약수가 2개밖에 없는 수라니 특별한 수 중에서 가장 특별한 수가 소수인 셈이다.  1은 왜 소수가 아닐까? 1을 빼는 첫 번째 이유는 1을 소수로 인정하면 수학에서 유용한 일부 정리가 틀린 것이 되면서 복잡해지기 ... ...
                            
 
                        
                        
                                            
                                                            
                                                             - 인류의 소수 사랑은 적어도 8500년 전부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소수가 2, 3, 5, 7,…, p 라는 식으로 유한한 개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이 유한한 개수의 소수를 모조리 곱한 다음 1을 더한다. 이 값은 소수가 아닌 합성수다. p를 세상에서 가장 큰 소수로 가정했기 때문에 p + 1은 소수일 수 없다.   그렇지만 합성수는 소수를 곱해서 만들어지므로 반드시 ... ...
                            
 
                        
                        
                                            
                                                            
                                                             -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거대 소수 찾기수학동아                                        l2024년 02호
 
                            - 것이라 호언장담했다. 페이스보다 앞서 더 거대 소수 찾기에 빠졌던 수학자가 있다. 4개의 메르센 소수를 찾은 커티스 쿠퍼 미국 센트럴미주리대학교 교수다.  그는 2005년 43번째 메르센 소수 230402457-1을 찾은 것을 시작으로, 2006년 44번째, 2013년 48번째, 2016년 49번째(추정) 메르센 소수를 찾았다. ... ...
                            
 
                        
                        
                                         이전89101112131415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