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개"(으)로 총 526건 검색되었습니다.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싶은 곳으로 만들었으면 합니다. 저희 연구가 향후 환자를 치료하는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데 기여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저와 함께 했던 학생들이 관련 연구 분야의 새로운 씨앗이 되길 바랍니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 ...
-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3.07
- 말했다. 프로바이오틱스, 면역과민질환(알레르기, 아토피, 자가면역질환) 치료물질을 개발하기 위한 그의 노력은 계속될 것이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기초과학연구원(IBS) 뉴스레터 구독신청 ... ...
- 양자컴퓨팅의 세계, 기초과학이 토대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3.07
- 특별한 문제 풀이에만 쓰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하지만 양자컴퓨터도 결국엔 성능이 개선되고 크기도 줄어들면서(가격도 내려가고) 지금 컴퓨터처럼 갖가지 문제 해결에 활용될 것이란 전망이 점점 설득력을 얻고 있다. * 본 콘텐츠는 기초과학연구원의 온라인 뉴스레터 IBS 뉴스레터에서 ... ...
- "최고 수준의 중이온가속기 건설에 모든 걸 걸었어요!"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동료들과 가속기 구축 및 운영까지 함께 하고 싶다"며 "정부 차원에서 고용 안정성을 개선해줬으면 한다"고 밝혔다. 인터뷰 중 세 사람의 일상도 전해들을 수 있었다. 경주에서 양성자가속기 구축을 위해 주말부부로 떨어져 있었던 박 연구위원은 가족과 캠핑을 즐긴다. 그는 "이전에 비해 여유로운 ... ...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있다. IBS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단장 : 염한웅)은 전자를 원하는 방향으로 한 개씩만 이동시켜 전류를 흐르게 하는 원자선을 발견해 2015년 10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영하 150℃ 이하의 저온에서 부도체인 인듐 원자선이 전자를 하나씩 옮기는 '카이럴 솔리톤(chiral ... ...
- 시스템 생물학의 눈으로 노화의 비밀을 들여다보다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찾고, 이들의 네트워크 작동 원리를 밝혀 노화 진단법이나 노화 리프로그래밍 약물을 개발해내겠다는 포부다. 황 부연구단장은 "노화를 되돌리는 것은 힘들다고 본다"며 "건강하게 나이들기위한 리프로그래밍, 즉 웰 에이징(well-aging)이 연구 목표"라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황 부연구단장은 ... ...
- IBS 5년간 땀과 노력, 한 권으로 집대성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 레이저 상전이로 차세대 반도체 소자 구현 23. 원자제어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 | 전자 한 개씩 흘려보내는 원자전선 24. 강상관계 물질 연구단 | 전자들이 강하게 상호작용하는 강상관계 물질의 비밀을 푼다 25. 초강력 레이저과학 연구단 | 세계 최고 출력 4PW 레이저 구현 * 본 콘텐츠는 ... ...
- 성인병의 주범? 콜레스테롤의 오해와 진실2016.12.21
- 테스토스테론 등의 호르몬과 소화액인 담즙의 재료이기도 하고, 특히 인체에 있는 60조 개의 세포를 보호하는 주요성분이기도 하다. 콜레스테롤은 건강을 해치는 위험한 물질로 무조건 낮아야 한다고 잘못 알려졌지만 적정 수준의 콜레스테롤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그러나 콜레스테롤이 정상 ... ...
- 기초과학은 모든 인류의 공통 관심사동아사이언스 l2016.12.21
- 1비트(bit)씩 총 96개 원자로 1바이트(bite)의 초소형 반강자성 메모리를 구현하는 방법도 소개했다. 그는 끝으로 IBM에서 STM으로 원자들을 조작해 촬영한 1분짜리 스톱모션 애니메이션 '소년과 그의 원자 : 세상에서 가장 작은 영화(A Boy and his Atom: The World's Smallest Movie)'를 보여줬다. 24시간동안 엄청난 ... ...
- 끈이론의 대가, 삼라만상의 정보에 심취하다동아사이언스 l2016.12.21
- 사람을 뽑을 것"이라며 "모든 것을 수학적으로 계산하기보다 지금 뭘 보고 있는지에 대한 개념 연구를 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삼라만상이 어떻게 돌아가나?'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는 수학 계산보다 아이디어가 중요하다"며 "아이디어에 바탕을 둔 연구성과는 논란의 ... ...
1234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