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희대의 난제 리만가설을 만든 리만수학동아                                        l2024년 02호
 
                            - 리만은 불과 3개의 영점만 일직선 위에 있다는 것을 밝혔다. 왜냐하면 그는 소수의 개수를 알 수 있는 식을 설명하는 게 중요했고, 가설은 부수적인 조건이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해당 논문에 그는 ‘이 가설은 엄밀한 증명을 거쳐야 한다. 나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증명을 시도해 봤지만 만족할 만한 ... ...
                            
 
                        
                        
                                            
                                                            
                                                             - 2000년 이상 난제, 쌍둥이 소수 추측수학동아                                        l2024년 02호
 
                            - 3034895 1290000이다. 무려 388342 자릿수의 수다. 또 1018보다 작은 쌍둥이 소수 쌍은 808675888577436개나 된다. 한편 2, 23, 37, 47, 53처럼 쌍둥이 소수가 아닌 소수를 ‘고립 소수’라고 한다. 쌍둥이 소수 추측 실마리 잡다! 쌍둥이 소수 추측은 일반화된 뒤에도 100년 넘게 별다른 성과가 없었다.  ...
                            
 
                        
                        
                                            
                                                            
                                                             - 앞으로 읽어도 뒤로 읽어도 똑같다 회문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000000000000066600000000000001 이 수의 특징이 눈에 보이는가? 첫 자릿수는 1, 그다음 0이 13개, 숫자 666, 다시 0이 13개, 마지막은 1로 끝나는 서른 한 자리 소수다. 기독교에서 불운하다고 여기는 숫자인 666과 13이 모두 담겨있어 ‘악마의 소수’, 혹은 ‘벨페고르의 소수’로 불린다. 벨페고르 ...
                            
 
                        
                        
                                            
                                                            
                                                             - [신의 책] 선택의 순간을 설명하는 몬티 홀 문제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수학에서는 증명이 굉장히 중요한데, 이를 위해선 알고 있는 것, 증명하고 싶은 것, 수학 개념 등을 먼저 정확하게 표현해야 해요. ‘정의’, ‘정리’, ‘문제’ 등의 형태로 나를 비롯해 모두가 이해할 수 있도록 표현해야 하죠.  현대 사회에서는 서로의 경험과 생각이 달라 같은 사실을 보고도 ... ...
                            
 
                        
                        
                                            
                                                            
                                                             - [과학뉴스] ‘뻥!’ 샴페인 터지는 소리 물리학적 비밀과학동아                                        l2024년 02호
 
                            - m인 음속보다 훨씬 빠른 수준이다. 또 병의 입구와 날아간 코르크 사이에서 하나 또는 두 개의 마하 디스크가 형성됐다가 사라졌다. 마하 디스크는 제트 엔진, 로켓과 같은 매우 빠른 추진기관에서 생성되는 정상파의 형태다. 연구팀은 샴페인을 터트릴 때 나는 뻥 소리가 압력파와 충격파 소리가 ... ...
                            
 
                        
                        
                                            
                                                            
                                                             - [하보]역동의 순간, 인간의 도전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위험과 극한을 추구하는 익스트림 스포츠만큼 인간의 도전이 빛나는 순간도 없다. 국제 익스트림 스포츠 사진 공모전, 레드불 일룸이 이번에도 그 순간을 모았다. 2023년 11월, 총 10개의 부문에서 우승작이 발표됐다. 그 중 일부를 소개한다.  ...
                            
 
                        
                        
                                            
                                                            
                                                             - Part2. 4족보행 로봇 AI에게 걸음마 배워 세상으로!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아기가 걷는 방법을 배우는 과정도 강화학습으로 설명할 수 있다. 걸음마를 배우는 수개월 동안 아기는 넘어지기를 반복한다. 넘어지면 아프다. 넘어지지 않으면 좋다. 이에 따라 수많은 시도를 반복하며 부정적 피드백은 피하고, 긍정적 피드백을 추구해가며 넘어지지 않을 최적의 전략을 터득한다 ... ...
                            
 
                        
                        
                                            
                                                            
                                                             - OUTRO. 똑똑한 로봇과 함께 살아갈 고민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미래 사회를 맞이할 준비를 해야 한다. 우리의 행복과 안전한 삶을 위해, 로봇기술 개발에 따른 새로운 법과 인증 등 규제도 빠르게 발맞춰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로봇윤리헌장에 대한 본격적인 공론화가 필요하다. 로봇이 어떻게 설계제작활용돼야 할지,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과 사회 ... ...
                            
 
                        
                        
                                            
                                                            
                                                             - 귤을 많이 담으려면 〇〇〇 모양으로? 귤포장에 숨은 수학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오류정정부호, 암호학의 격자기반 암호에서도 구 쌓기 문제가 응용될 수 있다”고 소개합니다. 구 쌓기 문제의 응용 범위가 엄청나게 넓은 거죠. 물론 수학자들이 응용을 염두에 두고 구 쌓기 문제를 고찰하는 것은 아닐 겁니다. 지난 400년 동안 수학자들은 대포알에서 시작된 구 쌓기 문제를 ... ...
                            
 
                        
                        
                                            
                                                            
                                                             - 혹등고래와 대화를 시도하다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배치해 언어 내 단어 간 패턴을 찾는 알고리즘이고, 비지도신경망은 전혀 모르는 두 개 언어가 주어졌을 때, 두 언어를 충분히 분석하기만 하면 두 언어를 번역하는 방법을 알아낼 수 있는 알고리즘입니다. 이를 통해 지구종프로젝트는 현재 까마귀, 벨루가, 얼룩말핀치새 등의 울음소리를 분석 ... ...
                            
 
                        
                        
                                         이전91011121314151617 다음